109 0

모바일 환경 진화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만족도 평가 연구

Title
모바일 환경 진화에 따른 휴먼 인터페이스 만족도 평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Human Interface Followed by the Evolution of Mobile Environmen
Author
김성훈
Keywords
Mobile Computing; Human Interface; Usability; 모바일 컴퓨팅; 휴먼 인터페이스; 유용성
Issue Date
2010-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6, NO. 4, Page. 69-78
Abstract
최근 사용자들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급속한 기술발전으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발달이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의 한 요소인 인터페이스의 발달이 과연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켜 주고 있는지 확인 하고자 하였다. 즉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유용성(Usability)의 발전을 가져왔는지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여 국내 모바일 산업에 있어서 기능적인 측면만을 생각하는 것보다는 유용성이 함께 발전해야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방안을 제안을 최종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요소의 발전을 문헌연구와 학술지, 온라인 DB를 통하여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휴먼 인터페이스 요소를 추출하였다. 사용자 요소는 크게 GUI와 PUI으로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입력 방식에 영향을 받는 시각요소와 내비게이션(정보설계) 요소 부분을 중점적으로 유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용성 평가 방법은 크게 3가지 질문법, 검증법, 감정법을 검토하여, 모바일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제이콥 닐슨(Jaocb Nisen)의 사용자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휴먼 인터페이스는 감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주관적 평가로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로는 입력 방식은 발달하고 있지만 유용성이 함께 발전하고 있지 않으며, 모바일 산업의 발달과 인터페이스의 기술적 발달에 비해 유용성은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키패드 입력 방식이 터치 형태의 입력 방식보다 유용성은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술적인 발전은 이루었지만 유용성 측면에 있어서 많이 부족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국내산업에 있어서 국내 대기업 정도만 유용성 연구를 위해 투자를 하고 있을 뿐 아직 유용성에 관한 연구 투자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모바일 산업 발전에 있어 입력 방식의 기술발전과 함께 유용성 발전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cently, users are experiencing user interactions applied to various products in virtue of rapid technology development of multimedia devices. This means the advancement in various interfaces suggests more various experiences to users. But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advancement in interface technology brought the advancement in its usability.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ugges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rather than focus only on the functionality in the domestic mobile industry, through illustrating the proven result whether the advancement in technology brought the advancement in usability. In this study, the advancement of the mobile elem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academic journals and online DB, and, based on this, the elements of human interface were extracted. The elements of user interface were largely divided into GUI and interaction, and an assessment of usabilit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teraction element which is influenced by Physical User Interface device. As the methodology for the assessment of usability, three methods were reviewed and Jacob Nisen`s user assessment method was used among them, which is the most popular method in mobile UI. And the assessment of human interface was conducted in subjective evaluation because it was an element to give an influence on the emotional satisfaction level.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is study did not show that the advancement in the sector of Physical User Interfac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advancement in the usability. In other words, mobile industry is developing very rapidly but its usability is deemed to be rather insufficient yet when compared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face technology. In case of Korean industry, the reality is that only big companies are investing on the usability research but overall investment for the usability research is insufficient.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obile industry, the investment on the usability research, based on this experimental result, should be made more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interface technology.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28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69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