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훈-
dc.date.accessioned2023-08-02T01:14:35Z-
dc.date.available2023-08-02T01:14:35Z-
dc.date.issued2014-03-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0, NO. 1, Page. 531-543-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301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48-
dc.description.abstract미디어에서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은 스마트기기의발전으로 인해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경제와 서비스및 소비생활 전반을 넘어 인간생활양식에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으며, 시대의 흐름을 움직이는 하나의 문화로 재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의 사용자커뮤니케이션을 미디어 소비와 사용방식의 일부로써인터페이스와 컨텐츠의 관점에서만 해석하여 제품에적용하거나, 사용성의 측면에서 대부분 연구되고 있다. 문화적으로 발현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방식에 적용시키고, 인간생활양식의 변화가 가져오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발전 경향에 대해 사회의 총체적 현상으로 바라보고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퍼미디어에서 시작된 컨버전스미디어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문화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발현 방식과 과정을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현 방식의 특징에 따른 현상들을 분류하여 각 활동 범위와 내용을 알아보고, 사회 총체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미디어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적 발전 경향에 대한 연구의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범위는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적발현 과정의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하여 하이퍼미디어에서 비롯된 스마트기기의 발전 과정과 그로 인한 컨버전스 문화에 대해 고찰하고,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문화의 총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커뮤니케이션 문화를 공간에 따른 개인화, 집단화, 가상화 커뮤니케이션 문화로, 대상에 따른 사회적, 육체적, 관계적 커뮤니케이션 문화로 분류하고, 커뮤니케이션 주체인 기술, 미디어, 인터페이스, 사용자 별로 발전경향과 현상,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대상과 공간에 따른 문화적 특징과 상호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이 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사회에 영향을미치는 총체적 문화 현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현상을 인터페이스 및 컨텐츠에 반영할 수 있도록, 문화로써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이 변화하는 방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The user communication has been rediscovered as one culture to move the trend of the times. And it has been adapted to exercise influence on the Service life and thinking style, economy and general consumption in the media,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However, the user communication on the media usability has studied and interpreted only in view of the content and the interface or usability as a part of the using media or consumption. Today, the user communication on the media interface affects even the way of life for human beings. Therefore, the development tendency of user communication is needed to analyze on the culture theory view point as a status of social overall in order to predict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lifestyle of the human being and adapt the interaction. This study has approached the user communication started from media convergence due to hypermedia in a cultural point of view and defined the process of expression as a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solidify the cornerstone of research on cultural development trend for the user communication on the media which revealed as a social collective phenomenon·through classified the phenomenon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expression and each scope. This study mak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user communication process of cultural expression through research the culture of convergence revealed by the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comes from the hypermedia and analyzes the culture of user communication at the cultural point of view overall.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culture of user communication as a social, physical, rela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and classified personalization, clustering, virtualization culture of the user communication by user`s using space. Through that, this research draws the range of cultural features, scopes, effectiveness and relations among the subject in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media, interface and user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culture space and target. As a result of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standards for the consequences of user from technology development, society and culture from users. So that, we need to study more detail for the culture of user communication as our total culture phenomenon.-
dc.languageko-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subjectHyper Media(하이퍼미디어)-
dc.subjectSmart Device(스마트기기)-
dc.subjectCommunication(소통)-
dc.subjectConvergence (컨버전스)-
dc.title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적 발전 경향에 관한 연구-하이퍼미디어, 스마트기기의 컨버전스 현상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ndency of Development for User Communication as a Culture -Focus on Phenomenon of Convergence for Hyper Media and Smart Device--
dc.typeArticle-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20-
dc.relation.page531-543-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진이-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성훈-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디자인대학-
dc.sector.department영상디자인학과-
dc.identifier.pideagl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