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0

사용자 인지 경험 유도를 위한 어포던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스마트 UI 사용성을 중심으로-

Title
사용자 인지 경험 유도를 위한 어포던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스마트 UI 사용성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Affordance Design to Induce User’s Cognitive Experiences -Focus on Smart UI Usability-
Author
김성훈
Keywords
Smart UI(스마트 인터페이스); Affordance; (행동유도성); User Experience Design(사용자 경험 디자인)
Issue Date
2014-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0, NO. 4, Page. 87-96
Abstract
현대 사회는 스마트화에 의해서 사람들의 정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스마트 미디어를 이용한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서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UI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가 자리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스마트UI에서 사용자의 인지 경험을 통한 보다 높은 사용성을 위한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UI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행동유도가 가능한 어포던스가 구현된 디자인의 필요성이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패러다임에 따른 스마트 UI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성 향상을위한 스마트 UI 디자인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어포던스 디자인의 중요요인으로 시각적 차원(이미지, 텍스트, 메타포, 볼륨)과 의미적 차원(시각적단서, 방향지시, 현상태표시, 행동표현)의 각 요인들을도출하였다. 그리고 사용성 향상을 위한 평가 요소로효과성, 효율성, 편의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도를 사례분석과 5점 척도의 통계분석방법을 통한 선호도 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차원과 의미적 차원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사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시각적 요인의 메타포가 높은 사용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만족도 부분에서 비교적 낮은 영향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부족으로 정보구조적 차원에서의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하는 바이다.;The contemporary society’s smart development is shifting the current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a new smart media-applied paradigm. Also, at the core, there are smart UI-applied user’s communication processes. At this point of time, further studies on the design methods to ensure higher usability through cognitive experiences of uses in various types of smart UI will be necessary. There is a need for the design materializing affordance that enables smart UI users to behave naturally. Therefore, the study aims to apply affordance design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with smart UI in accordance with the smart paradigm and to study smart UI design to improve usability of users. To achieve the goal, a focus interview with experts was conducted, resulting in the discovery of important factors of affordance design including visual terms (image, text, metaphor and volume) and significance terms (visual clues, directional instructions, expression of current conditions and behavioral expression). As the factors of assessment to improve usability, the levels of impact on effectiveness, efficiency,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followed by the five-point Likert scale and preference analysis. As a result, afforance design factors in terms of visuality and significance positively affected usability in general. Especially, the metaphor of visuality factors related to higher levels of usability. However, the level of impact on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his signifies that there will be further studies in terms of data structure due to lack of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313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38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