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0

The image of Salome in Art Nouveau at the fin de siècle - Ideologies of Gender and Race -

Title
The image of Salome in Art Nouveau at the fin de siècle - Ideologies of Gender and Race -
Other Titles
세기말 아르누보 예술에 보이는 살로메의 이미지 - 성과 인종의 이데올로기 -
Author
이형규
Keywords
Salome; Judith; Femme fatale
Issue Date
2014-01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 14, NO. 1, Page. 11-22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Salome, a representative material of the Decadent, as a typical femme fatale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Seeing Salome as a stereotypical fatal woman of the period requires more special considerations. In the view of critical reception, the hypersexual image of Salome transcends the simple boundary of feminism. Sexual figure of Salome is charged with varying layers of ideologies. Curiously, the fatal woman is frequently related to the exotic.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of the femme-fatale image of Salome, the Oriental woman, within the European culture in the fin de siecle. In doing so, it reveals Salome’s image as a Jew is primarily constructed by the reciprocal action of an inclusionary stereotype of the seductive woman and Jewish identity. In this paper that reconsiders this stereotype in the specific moment of the fin de siècle, the image of Salome completely speaks for the whole of European elitism, in addition to the fatal woman stereotype. The threatening aspect of the exotic woman jumps into an imperialist ideology that dehumanizes and dehistoricizes the Oriental peopl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uccess of the construction of European imperialism, which was closely linked with corrupting the national, racial character of their colonial people. This paper suggests Salome is not dangerous female sexuality, but rather considered as a special product of the European male artists who responded in the way in the specific period of time.;19세기말 20세기 초, 세기말의 우울과 공포의 퇴폐적인 분위기 속에서 탐미주의 예술과 문학에 등장했던 살로메는 거부할 수 없는 아름다움으로 남성을 유혹해 파탄으로 이끄는 요부로 세기말 유행했던 팜므파탈(femme fatale)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되었다. 여전히 엄격한 성윤리와 도덕성이 강조되던 빅토리아 시대에 성녀와 창녀라는 이원적 대립구도에 젖어 있던 남성들은 동등한 성의 자유를 주장하고 해방을 부르짖는 신여성들에게 두려움과 경계심을 느꼈다.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대표적 팜므파탈의 소재였던 살로메 이미지의 폭발적 증가는 당대의 유럽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집단 공포심리를 잘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말에 활동했던 데카당트와 탐미주의 성향의 아르누보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당대의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논의해 보는 것이다. 본고는 19세기말 유럽이라는 특별한 시, 공간에서 펼쳐진 살로메 이미지 과잉에 대한 현상에 주목함으로써 유럽백인 남성들이 만들어낸 문화적 파장과 함께 특이한 성과 인종의 이데올로기 간의 긴장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당시 유럽에 팽배해 있던 제국주의의 팽창이라는 역사적 시점에 유혹과 공포를 동시에 품고 역사에 재등장한 유대여인의 다면적, 다층적 함의성에 대해 살펴보는 동시에 그 이미지가 갖는 문화적 상징성과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함이다.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538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13
ISSN
1598-2319
DOI
10.17280/jdd.2014.14.1.00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JEWELRY & FASHION DESIGN(주얼리·패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