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지성-
dc.date.accessioned2023-08-01T05:47:50Z-
dc.date.available2023-08-01T05:47:50Z-
dc.date.issued2011-06-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7, NO. 2, Page. 246-260-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403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89-
dc.description.abstract기생 또는 기녀라는 것은 엄연히 존재 해온 제도이고 문화였다. 그러나 기득권자인 남성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기에 애써 감추어지고 왜곡되어져, 학계에서 기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고 문화로조차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현실은 역사적 단절뿐 아니라, 잠재적 가치 발굴을 통해 국가의 고유 아이덴티티로 인식이 가능한 문화자산의 유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ㆍ중ㆍ일 기녀의 예술적, 사회적인 가치를 되짚어보고, 그들의 역사를 통해 나타난 사회진출여성으로서 여성의 미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종속구조 속에 나타난 미의식의 이해를 전제로 현대 디자인과의 연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남성화 시각에서 해석한 왜곡된 기녀 문화에 나타난 미의식을 여성 시각의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서는 기녀의 유래가 된 중국과 근대화 물결 속에 사라진 조선 후기의 기녀, 일본을 상징하는 예인으로 분류되는 게이샤를 비교하여 시각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 문화 속에 내재한 여성 고유의 미의식이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며 현재까지 발달하여 왔는지 규명할 것이다.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방법은 현존하는 풍속화를 중심으로, 민화에 표현된 유물과 회화, 현존하는 유물들을 통해 여성의 외형적, 내면적 미의식 구현 양상을 살펴보고, 남, 여의 시각을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관점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법론적 접근을 위한 국내외 논문과 서적, 학회지 등 문헌 조사를 기초로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과 결과로는 시대 변천에 따른 미의식의 변화를 분석하여, 조선 후기 여성의 미의식 특성을 도출하는 한편, 전통적 여성의 미의식이 현대 여성 소비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성을 살펴보고, 시대적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내는 현상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문화의 특성을 디자인에 활용할 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타 문화 간의 미의식의 관점에서 비교 연구함으로서 조선시대 유일한 사회 진출 여성이었던 조선기녀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올바른 재인식을 통해, 현대디자인에 의한 활용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However, this culture was covered up by a male-dominated society. Furthermore, academic circles didn`t concede geisha culture and the study has deteriorated quality. Unfortunately, This fact caused not only loss of the cultural properties which can be possible to improve more valuable things but also historical seve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rtistic and social values of China, Japan and Korea and to know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women which enter the society and economic activity. The understanding of the aesthetic sense which can show in the subordinative structure traditionally can make it easy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modern design. For this, It needs to change the perspective from men to woman in order to review Objectively. The point of the study shows the visual features in comparing the geisha originated from China, Korea geisha disappeared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the Japan geisha as classified into an artist. The study can investigate how h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woman developed. The investigation method of thesis is to examine aspects of realization by using the relic expressed by folk pictures, painting and existing antiquity. I analyzed distortion of the design images in comparing the standpoint between the men and woman and also I based on reference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thesis, books and literature in terms of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is thesis, I analyzed the change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time extrinsically and internally. Moreover, drew the features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woman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Meanwhile, I studied affection and correlation about how can three country`s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of woman affect modern woman`s spend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which was made by social atmosphere of the period. That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the features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field of the design. The point is to give the new idea about the traditional value of Korea geisha and make it to be more useful as adapting the modern design by correctly recognizing the traditional value of Korea geisha, which only entered society of Chosun dynasty.-
dc.languageko-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
dc.subjectA Gisaeng(기녀). Geisha(게이샤)-
dc.subjectCultural Value(문화적 가치)-
dc.subjectCultural Capital(문화자본). Cult-Duct(문화융합 상품)-
dc.subjectFemale Image Distortion(여성 이미지 왜곡)-
dc.title한ㆍ일 기녀의 문화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e Imagination to the KoreanㆍJapan’s Geisha-
dc.typeArticle-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17-
dc.relation.page246-260-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송지성-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세이-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디자인대학-
dc.sector.department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dc.identifier.pidjssong-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