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 0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지역홍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활용 방안 연구 -지역별 소주를 중심으로-

Title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지역홍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활용 방안 연구 -지역별 소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Mobile Application for Local Promotion Using Augmented Reality -Focus on Regional Soju Brandings-
Author
송지성
Keywords
Augmented Reality(증강현실); Local Promotion(지역홍보); Mobile Application(모바일 어플리케이션); Soju(소주)
Issue Date
2018-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4, NO. 4, Page. 181-192
Abstrac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재 스마트미디어 산업에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잡고 있다. 현실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를 동시에 걸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 기술과 관련하여 연구와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증강현실의 기술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사용자의니즈(Needs)를 반영한 콘텐츠의 개발은 아직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스마트 미디어 발전과 더불어 증강현실의 콘텐츠는 사용자의 경험과 인지를 바탕으로 하는 발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통해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별로 생산되는 소주 라벨디자인의 분석을 통하여 지역 아이덴티티를 보여줄 수 있는 라벨디자인에 증강현실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문기관의 자료, 인터넷을 활용한 국내외 정보검색과 논문 등 사례연구와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분석⋅연구하였으며, 각 지역별로 생산되는 대표적인 지역 소주 10개 브랜드 중에서 작년도 2017년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도를 대표하는 6개 서울⋅경기, 강원도,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국의 NCRC(The National Consumer-Retailer Council)의 정의에 따른 라벨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인 로고타입,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과 언어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국내의 지역별소주 라벨디자인의 구성요소인 브랜드 컨셉, 로고타입,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언어표현방법, 지역이미지의 조형적 요소를 분석한 결과, 제주도 한라산 소주를 제외한 나머지 라벨디자인에서 조형적 유형이나 모티브 소재등 대체로 지역과의 연관성이 부족하여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나타났다. 이에 지역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라벨디자인의 구성요소인 시각적요소로서 각 지역이미지, 관광명소와 지역축제, 그리고 언어적 요소로는 신체의오감각 중 소주와 어울리는 미각을 표현할 수 있는단어인 “달다”를 각 지역언어(사투리)로 변환하였다. 이를 적용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각 지역의 소주를 접했을 때 지역 아이덴티티 구축과 더불어 지역을 활성화 시키고 효율적인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Augmented Reality(AR) has been positioning as a major keyword in current smart media industry.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in association with AR technology that simultaneously displays two images of both real and virtual worlds into one.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the AR technology itself and no sufficient development of contents that reflect users’ needs is performed yet. Therefore, the contents in AR need an improvement on top of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users together with a development of smart media in this modern society. This study employs the AR in label design, which is considered as a method to maximize the active needs and usability of users under the AR-based mobile application environment, to demonstrate the identity of each region through analysis of a label design of the regionally produced Soju.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and research wi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in the papers and literature search, the information search on the paper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 by the Internet and the data from the specialized institutions. Moreover, this study selected 6 Soju brands based on the market share in 2017 representing 6 regions, such as Seoul, Gyeonggi-do, Gangwon-do, Choongchung-do, Jeolla-do and Jeju-do out of 10 Soju brands regionally produced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not only the linguistic factor but also the visual factors of the label design such as logo type, typography and illustrat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NCRC (The National Consumer-Retailer Council) in US. In the results analysis on the components in domestic regional Soju label design including brand concept, logo type, illustration, linguistic expression method, modeling elements for regional image, all brands except Hallasan Soju of Jeju-do didn’t form the regional identity because they overall lacked an association with each corresponding region in terms of modeling type or motif subject in label design. Therefore, Although AR, which is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 power recently due to various applications, is a technology that was originated from Information Technology (IT), it is necessary to study AR together with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the moment technical convergence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work as an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to vitalize each region.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894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866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18.24.4.18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