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 0

영화 이미지와 얼굴의 미학 - 유럽의 무성영화이론을 중심으로

Title
영화 이미지와 얼굴의 미학 - 유럽의 무성영화이론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Film image and the aesthetics of human face : Focused on european film theory in the silent film days
Author
김호영
Keywords
film image; face; close-up; Simmel; Balázs; Epstein; Benjamin; 영화 이미지; 얼굴; 클로즈업; 짐멜; 발라즈; 엡스탱; 벤야민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Citation
외국문학연구, NO. 35, Page. 69-90
Abstract
본 논문은 영화 속에 나타난 ‘얼굴’ 이미지를 통해 영화 이미지의 다양한 특성들을 살펴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무성영화시대의 유럽의 주요 영화이론가들- 발라즈, 엡스탱, 뒬락, 벤야민 등-의 논의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먼저, 유럽의 무성영화인 들의 얼굴의 미학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선구자로 게오르그 짐멜을 꼽을 수 있다. 이미지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및 얼굴의 미학적 특성에 관한 그의 논의는 1920년대 전후 만개하는 무성영화이론가들의 얼굴의 미학 담론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짐멜의 주장을 계승하여, 벨라 발라즈는 ‘인상’(피지오노미크)과 ‘표정’ 개념을 통해 영화 속 얼굴의 조형적 통일성에 대해 설명했고, 장 엡스탱은 포토제니 개념을 근간으로 인간의 내적 정서와 영혼을 표현해내는 영화 속 얼굴 이미지의 속성에 대해 강조했다. 이들과 달리, 발터 벤야민은 영화 속 얼굴의 이미지가 이미 제의가치를 잃어버려 개인의 영혼이나 내적 정서를 담아낼 수 없다고 보았지만, 영화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초창기 사진에서는 개인의 영혼(혹은 아우라)을 담은 얼굴의 이미지들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1910년대에 등장한 ‘클로즈업’은 얼굴 이미지를 가장 잘 나타내는 영화 형식으로 영화 속 얼굴의 미학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무엇보다, 유럽의 무성영화인들에게 있어 클로즈업된 영화 이미지는 ‘공간적 확대’ 뿐 아니라 ‘시간적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들은 영화 이미지가 그러한 이중적 확대를 통해 현실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시공간 및 정신적 세계를 드러내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무성영화 작품들에서 클로즈업은 ‘부분’이자 ‘전체’인 그 분절적 성격으로 인해 하나의 ‘자족적 전체’로 기능할 수 있었는데, 즉 클로즈업된 얼굴 이미지는 무성영화인들에게 영화적 서사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 그 나름의 자족성을 얻는 이미지로 인식되었고, 나아가 정신성과 인격성까지 얻어 ‘재현된 그 무엇’이 아닌 ‘현전하는 그 무엇’으로 간주되기도 했다.;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concept of face in the european film theory in the silent film days.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verse concepts of face, generated by Bela Balazs, Jean Epstein, Germaine Dullac, Walter Benjamin, it aimed to review how the early european film theorists described the human face in a film when sensation consumes the spectator with an overwhelming and indescribably profound intensity. Trying to define the meaning of human face in a film image, Bela Balazs describes it as the moral character of every mobile and personal aspects of the world, beings or souls that are enhanced by film reproduction. Jean Epstein is focusing on the power of the human face that could apply to the movement of the close-up. The close-up of human face is designed to account for that which is inarticulable, that which exceeds language and hence points to the very essence of cinematic specificity. In a similar spirit, Germaine Dullac argues that it is notable that the human face is the privileged site for the condition of the film image. For the european film theorists in the silent film days, the close-up which was “the technical condition of the art of film” or the “soul of the cinema”. They try to define the close-up as the mark of cinematic difference and specificity, especially as the invocation of an otherwise unknown dimension. They asserts that the close-up represent the sublime moment individual, personal, and subjective, suggesting that it cannot be defined absolutely or resolved conclusively. It is through this stylistic technique that we are able to reveal human subjectivity in film.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336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697
ISSN
1226-444X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FRENCH STUDIES(프랑스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