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 75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Thomas Britten Hove-
dc.date.accessioned2023-05-17T01:30:36Z-
dc.date.available2023-05-17T01:30:36Z-
dc.date.issued2015-02-
dc.identifier.citation홍보학연구, v. 19, NO. 1, Page. 162.0-182.0-
dc.identifier.issn1229-2869;2671-8227-
dc.identifier.uri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301191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58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tests how media messages that have different risk presentation formats andinclude fear independently and jointly affect people’s risk perceptions. An online experimentwas conducted nationwide among South Korean adults regarding three major health risktopics: carcinogenic hazards, H1N1, and mad cow disease. The risk presentation formats usedwere numeric and verbal presentation of risk information. Fear was manipulated through thepresence versus absence of laypeople’s expressions of fear in the message stimuli. Analysisof Covariance (ANCOVA) results among 914 samples indicate that the message conditions withfear and with verbal risk presentation format respectively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riskperceptions than those without fear and with numeric risk presentation format. Some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such that the message condition with fear and verbal riskpresentation format generated the highest level of risk perception in the context of mad cowdiseas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regarding media strategies in various riskcircumstances.; 이 연구는 위험을 언어 혹은 숫자 형식으로 제시하는 미디어 메시지와 공포 소구 메시지가 각각 사람들의 위 험인식과 위험인식 변화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2 (위험제시형식: 숫자 대 언어) x 2 공포소구제시 여부의 피험자간 설계(between-subject design)로 온라 인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914명의 실험 참가자들은 위험 주제인 발암물질, 신종인플루엔자(H1N1), 광우병 과 관련된 세 가지 조작된 메시지 중 하나에 무작위 할당되었다. 공변량 분석(ANCOVA)결과, 신종플루와 발 암물질 맥락에서 숫자로 제시된 위험형식은 언어로 제시된 위험형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위험 인 식 변화가 있었으며, 공포가 제시된 광우병 관련 위험 메시지는 공포가 제시되지 않은 위험 메시지에 비해 더 높은 위험인식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광우병 맥락에서 공포제시 여부와 위험제시 형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공포가 제시되고 언어로 위험이 제시된 메시지에 노출된 실험참가자들이 가장 높은 수 준의 위험인식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위험 상황에서 어떻게 위험 메시지를 전달해 야 하는지 메시지 전략을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sponsorshipThis project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of Hanyang University (HY-2014-G)-
dc.languageen-
dc.publisher한국PR학회-
dc.subjectrisk presentation format-
dc.subjectuncertainty-
dc.subjectnegative emotion-
dc.subjectfear-
dc.subjectrisk perception-
dc.subjectmedia-
dc.subject위험 제시 형식-
dc.subject불확실성-
dc.subject부정적 감정-
dc.subject공포-
dc.subject위험인식-
dc.subject미디어-
dc.titleEffects of Risk Presentation Format and Fear Message on Laypeople’s Risk Perceptions-
dc.title.alternative위험 제시 형식과 공포 메시지가 위험 인식에 미치는 효과 연구-
dc.typeArticle-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9-
dc.identifier.doi10.15814/jpr.2015.19.1.162-
dc.relation.page162.0-182.0-
dc.relation.journal홍보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Thomas Britten Hove-
dc.contributor.googleauthor백혜진-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언론정보대학-
dc.sector.department광고홍보학과-
dc.identifier.pidtbhove-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