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 0

적정낙찰가 산정모형을 활용한 입찰담합에 관한 연구

Title
적정낙찰가 산정모형을 활용한 입찰담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Bid Rigging Based on a Successful Bids Calculation Model:Focusing on an Analysis of Damages Caused by Bid Rigging in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Author
이정웅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Woong
Advisor(s)
이성욱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re is often an issue between an ordering agency and acontractor over if estimated results of damages caused by bid rigging are reasonable. To resolve these issues, it should be an urgent agenda to adopt reasonable and standardized damage calculation model. Therefor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estimation of damages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using the dummy variable approach, taking the case of collusion in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as an example. Of course, collusion is an offense. However, in the absence of a standardized analysis model, it would not be a legitimate method to estimate the amount of damage if it is not overcome the theoretical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capture al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ork and hold the collusion accountable based on the results.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discuss all the ways to overcome these theoretical limitations in this study, still,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reasonable way to sympathize socially, starting from the most understandable poi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damages of the four major river fixing cases according to the pre-expansion model and the expansion model, respectively,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wo models, and to overcome the theoretical limitations based on the results. Second, it is to ensure that some points discussed in the extension model could be used in estimating the amount of damages for future construction work collus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targets a total of 25 instruments ordered on a turnkey basis among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A total of 25 tools refer to the 15 tools involved in the appraisal report by Kim Jin-woo et al (2019), threeinstruments that were collusive but excluded from the appraisal at the time, and seven tools that were not involved in collus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del constructed by adding the river maintenance and the fourth quarter performance difference was defined as the “expansion model.” Second, the model excluding the river maintenance and the fourth quarter performance difference from the extension model was defined as the “pre-expansion model”. Third, through empirical analysis, hypotheses testing was conducted on the newly added river maintenance and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in the fourth quarter. Fourth, the virtual successful bid rate was analyzed using the coefficient value shown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n, the virtual successful bid price was calculated and the amount of damage was estima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of variables already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was omit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river maintenance and performance differences in the fourth quarter are as follows. First, for river maintenance, the successful bid rate during the period when river maintenance was intensively implemented was lower than the successful bid rate during other periods by 1.6% to 2.1% p, depending on specific variables.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quarters, the successful bid rate was lower for companies with poor order performance of previous year’s fourth quarter at the time of receiving orders in the current year. That is, both research hypotheses for the two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sis results. The sampl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was 725 valid bid data out of 733 bid data, referred to as a technical bidding method. The summary of the damage estimatio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pre-expansion model, the loss of all 25 districts was estimated at KRW 92,328 million. In addition, 13 out of 25 tools were predicted as the number of tools with damages. Second, in the extended model, the loss of all 25 districts was estimated at KRW 92,781 million. In addition, 14 out of 25 tools were predicted as the number of tools with damages. The results of the different analysis between the loss estim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two mode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the damage for all 25 construction sites was estimated to be KRW 453 million larger in the extended model. Second, in the prediction of the number of tools with damages among 25 tools, the extension model had one more tool than the pre-expansion model.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higher by 8.6% p in the extension model than in the pre-expansion model. The extended model of this study showed a slightly higher model explanatory power than with the model of Park Min-soo et al (2017). Therefore, the comprehensive model can be explained as a slightly improved model not only before the expansion model but also the model of an existing preceding studyby Minsoo Park et al (2017).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tended model is somewhat low becaus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bidding data is limited and mor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successful bid rate cannot be included in the extended model.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damage and its results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has no interest with a contractor or its stakeholders.| 공공공사의 발주기관과 시공사 간에는 입찰담합으로 인한 손해액 추정 결과가 합리적인 수준인지를 두고 종종 쟁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쟁점을 다소라도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합리적이고도 표준화된 손해액 분석모델 구축과 관련된 논의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배경은 4대강 사업의 담합건을 예로 들어 더미변수접근법을 이용하여 학문적인 관점에서 손해액 추정과 관련된 논의를 해 보고자 함이었다. 물론, 담합행위는 위법행위이다. 그렇지만, 표준화된 분석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건설공사만의 특수성을 모두 담아낼 수 없는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손해액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담합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면 정당한 방법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모든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무리가 있었지만, 가장 알기 쉬운 지점부터 시작하여 사회적으로도 공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확장전 모형과 확장모형에 따른 4대강 담합건의 손해액을 각각 분석하여 두 모형의 분석 결과 간 차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확장모형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몇몇 지점들이 향후 건설공사의 담합건에 대한 손해액 추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다. 4대강 사업 중 턴키방식으로 발주된 총 25개 공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25개 공구는 김진우 외 4인(2019)의 감정보고서가 다루었던 15개 공구의 담합건과, 담합건이었지만 당시에 감정 대상에서는 제외되었던 3개 공구 그리고, 비담합건 7개 공구를 말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 정비와 사사분기 실적차를 모형에다 새로 추가하여 구축한 모형을 “확장모형”으로 정의하고 둘째, 확장모형에서 하천 정비와 사사분기 실적차를 제외한 모형을 “확장전 모형”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실증분석을 통해 새로 추가한 하천 정비와 사사분기 실적차에 대한 가설검증을 해 보았다. 넷째, 실증분석에서 나타난 계수값을 이용하여 가상낙찰률부터 분석하고 이어서, 가상낙찰가 산정 및 손해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이미 검증된 변수들에 대한 논의는 생략하였다. 하천 정비와 사사분기 실적차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 정비는 하천 정비가 집중적으로 시행되던 기간의 낙찰률이 다른 기간의 낙찰률보다 구체적인 변수에 따라 1.6%∼2.1% p만큼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사분기 실적차는 당해 연도 수주 시점에서 전년도 4/4분기 수주실적이 저조한 기업일수록 낙찰률이 낮았다. 즉, 2가지 변수에 대한 연구가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분석 결과를 보였다. 실증분석에 사용한 표본은 기술형 입찰방식으로 일컬어지는 입찰자료 총 733개 중 유효한 입찰자료 725개이다. 본 연구의 손해액 추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확장전 모형에서는 25개 공구 전체의 손해액이 92,328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손해액이 존재하는 공구 수로 25개 공구 중 13개 공구를 예측하였다. 둘째, 확장모형에서는 25개 공구 전체의 손해액이 92,781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손해액이 존재하는 공구 수로 25개 공구 중 14개 공구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2가지 모형에 따른 손해액 추정 결과 간 차이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5개 공구 전체에 대한 손해액의 크기는 확장모형에서 453백만원이 더 크게 추정되었다. 둘째, 25개 공구 중 손해액이 존재하는 공구 수의 예측에서는 확장모형이 확장전 모형보다 1개 공구가 더 많았다. 셋째,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확장모형이 확장전 모형보다 8.6% p만큼 더 높았다. 본 연구의 확장모형은 박민수 외 3인(2017)의 모형과의 비교에서도 모형 설명력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확장모형은 확장전 모형뿐만 아니라, 기존 선행연구인 박민수 외 3인(2017)의 모형보다도 다소 개선된 모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입찰자료에서 제공된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낙찰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더 많은 요인을 확장모형에 포함하지 못함으로써, 확장모형에 대한 설명력이 다소 낮게 나타난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학문적인 관점에서 손해액 추정 방법과 그에 따른 결과를 논의해 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범위와 관련된 시공사나 그 관계자들과는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다는 점을 서두에 밝혀두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6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5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SURANCE & FINANCE(금융보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