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 0

윤대녕 1990년대 장편소설 연구

Title
윤대녕 1990년대 장편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Yoon Dae-nyeong's 1990s Long Novels
Author
이지상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Yoon Dae-nyeong’s long novels published in the 1990s. Through it,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nature of the ‘origin’, a keyword in analyzing Yoon Dae-nyeong’s novels. It has been mainly analyzed that Yoon Dae-nyeong’s novels take a narrative that achieves ‘the return to the origin’ through poetic narratives. However, such discussions are limited to short stories. This paper attempts to re-examine the ‘origin’ and the ‘return’ through the ‘fantasy’ and the ‘retrospectiveness’, the concepts of Lacanian psychoanalysis. From this, the characteristics of Yoon Dae-nyeong’s long novels related to the ‘origin’ can be confirmed. Retrospectively, the ‘origin’ is formed, and the character in the novel responds to a predicament of reality.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return to the origin’ revealed in Yoon Dae-nyeong’s long novels is an action related to the subjective attempt to overcome the predicament of the subject. The ‘origin’ is an ontological foundation and a point of the root that the character pursues, and the ‘return’ means the ‘epic of comeback’ that seeks own source and finds its place. Lacan’s ‘fantasy’ emerge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world acceptable to the subject. Through the ‘fantasy’, the subject sews up a broken life and searches for acceptable causes. However, this cause is defined retrospectively from the present life, which corresponds to the outcome. In other words, this retrospective regulation can be seen as a way for the subject to acquire its existence. The nature of the ‘origin’ is supplemented through this. The ‘origin’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by a character to hold onto his existence in an unacceptable present. Yoon Dae-nyeong’s long novels open the horizon to look at the function of the ‘origin’ by portraying a character struggling with a crisis. Chapter II analyzes “I Went to See an Old Movie” and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to identify the retrospective nature of the ‘origin’. Section 1 analyzes the behavior of the character in “I Went to See an Old Movie” written by Yoon Dae-nyeong. The novel presents a character who is faced with a situation in which he cannot translate the situation into his language. And overcoming this situation is depicted as a disconnection from the recalled past person. The past consists of the situational elements of the character in the present. Through this analysis, this section analyzes the pattern of recall and materialization of memories from the present state. Section 2 investigates the retrospective nature of the ‘origin’ via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A character tries to structure an incomprehensible world based on his memories. However, the memory of the character is fragmented, and the past is made based on the present. “Eoran-ri”, which appears in the work, occupies the position of a very far place of memories’ through the situation that makes the present character feel ‘uncanny’. Through this, the memories as the ‘origin’ are expressed in an editorial way by the character, and the retrospectiveness of the ‘origin’ is revealed. Chapter III analyzes the “Lunar Horizon” and “A Coca-Cola Lover” to deal with the aspect of the subject pursuing the ‘origin’ to maintain himself. Section 1 discusses that ‘the return to the origin’ is a fantastic attempt by the character, with “Lunar Horizon” as the main text. In the novel, the character dreams of the ‘return’ to times when his existence was considered full. It is typical to long for a reunion with a separated lover and wife, which stems from the out-of-joint presence of the character. The narrative of seeking women is a character’s attempt to break through the present predicament by reestablishing the past. Section 2 analyzes “A Coca-Cola Lover”, the last novel of the 1990s by Yoon Dae-nyeong, and reveals that the ‘origin’, which is related to the ‘fantasy’, hides the character's ultimate ‘antagonism’. That ‘antagonism’ is his own ‘impossible relationship.’ The character who has lost temporal continuity tries to recover his ‘original’ self through the process of ‘retrieving memories’ even in an out-of-joint position. The character asymptotically approaches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hidden ‘truth’ is revealed. However, the more he tries to leap toward a normal state, the more he falls into a terrible abyss, revealing the ‘impossibility of relationship’ that is covered by the ‘fantasy’. Through four long novels that penetrate the period of the 1990s, Yoon Dae-nyeong depicts the passion of the ‘return’ toward the ‘origin’. This can be said to be the shape of the subject who is trying to overcome subjective deprivation. In other words, Yoon Dae-nyeong's long novels can be illuminated as a ‘Menschenromane’(human novel) that depicts the subject responding to a ‘hollow’ state in front of the incomprehensible Other.| 본고는 1990년대에 발간된 윤대녕의 장편소설을 검토한다. 그로부터 본고는 윤대녕의 소설을 분석함의 핵심어인 ‘시원(始原)’의 성격을 재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대녕의 소설은 주로 시적인 서사를 통해 ‘시원으로의 회귀’를 이룩하는 서사를 취한다고 분석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논의는 범위가 단편소설에만 국한되어 있다. 본고는 ‘시원’과 ‘회귀’를 라캉 정신분석학의 개념인 ‘환상’과 ‘소급성’을 통해 재조명을 시도한다. 이로부터 윤대녕의 장편소설이 ‘시원’과 연관되는 특질이 확인될 수 있다. 소급적으로 ‘시원’이 구성되며 소설 속 인물은 현실적인 궁지에 대응한다. 즉, 윤대녕의 장편소설에서 드러나는 ‘시원으로의 회귀’의 구조는 주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주체적 시도와 연관된 행동이다. ‘시원’은 인물이 추구하는 존재론적 토대이자 근원의 지점이며, ‘회귀’는 자신의 근원을 모색해 제자리를 찾는 ‘복귀의 서사’를 의미한다. 라캉의 ‘환상’은 주체가 세계를 받아들일 만한 것으로 삼는 과정에서 출현한다. 주체는 ‘환상’을 통해 이지러진 삶을 봉합하고 받아들일 만한 원인을 탐색한다. 그러나 이 원인은 결과에 해당하는 현재의 삶으로부터 소급적으로 규정된다. 즉, 이 소급적 규정은 주체가 자신의 존재성을 획득하는 방편으로 볼 수 있다. ‘시원’의 성격은 이를 통해 보충된다. ‘시원’은 받아들일 수 없는 현재에서 인물이 자신의 존재성을 붙잡는 시도로 해석되어야 한다. 윤대녕의 장편소설은 위기로부터 발버둥 치는 인물을 그리며 ‘시원’의 기능을 새롭게 조망할 지평을 연다. Ⅱ장은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와 『추억의 아주 먼 곳』을 분석하여 ‘시원’의 소급적 성격을 규명한다. 1절에서는 윤대녕의 『옛날 영화를 보러 갔다』에 나타난 인물의 행동을 분석한다. 소설에는 사태를 자신의 언어로 번역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 인물이 제시된다. 그리고 이 상황의 극복은 재소환된 과거의 인물과의 단절이라는 양상으로 그려진다. 과거는 현재 인물이 처한 상황적 요소로부터 구성된다. 본 절은 이 같은 분석을 통해 현재 상태로부터 과거 기억이 재소환되고 물질화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2절은 『추억의 아주 먼 곳』을 경유하여 ‘시원’의 소급성을 규명한다. 인물은 이해 불가능한 세계에 대해, 자신의 과거 기억을 준거로 이를 구조화하고자 한다. 하지만 인물의 기억은 파편화되어 있으며, 과거는 현재를 준거로 의미가 지어진다. 작중 등장하는 ‘어란리’는 현재 인물에게 ‘섬뜩함’을 불러일으키는 상황에 의해 ‘추억의 아주 먼 곳’의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원’적인 기억이 인물에 의해 편집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며 ‘시원’이 지닌 소급성이 드러난다. Ⅲ장에서는 『달의 지평선』과 『코카콜라 애인』을 분석하여 주체가 자신을 지탱하기 위해서 ‘시원’을 추구하는 양상을 다룬다. 1절은 『달의 지평선』을 주요 텍스트로 하여, ‘시원으로의 회귀’가 인물의 환상적 시도라는 점을 논의한다. 소설에서 인물은 자신의 존재성이 충만했다고 여겨진 시절로의 ‘회귀’를 꿈꾼다. 이별한 애인, 아내와의 재회를 갈구하는 것이 대표적인데, 실상 이는 인물의 탈구된 현재로부터 기인한다. 여자 찾기 서사는 현재의 궁지를 과거의 재정립을 통해 돌파하려는 인물의 시도이다. 2절에서는 윤대녕의 마지막 90년대 장편소설인 『코카콜라 애인』을 분석하여 환상적 ‘시원’이 인물의 궁극적인 ‘적대’를 숨기고 있음을 밝힌다. 그 ‘적대’란 자신의 ‘불가능한 관계’이다. 시간적 연속성을 잃어버린 인물은 탈구된 위치에서도 ‘기억 찾기’ 과정을 통해 ‘시원’적인 자신을 회복하려고 한다. 인물은 감춰진 ‘진실’이 드러나는 구조를 통해 점근(漸近)해 나아간다. 그러나 정상적인 상태를 향해 도약을 시도할수록 끔찍한 심연으로 빠지며 ‘환상’이 가리고 있는 ‘관계의 불가능성’이 드러난다. 1990년대의 시대성을 관통하는 4편의 장편소설을 통해, 윤대녕은 ‘시원’을 향한 ‘회귀’의 열정을 그린다. 이는 주체적 궁핍을 극복하려는 주체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즉, 윤대녕의 장편소설은 불가해한 타자 앞에서 ‘공동(空洞)’ 상태에 대응하는 주체의 모습을 그린 ‘인간소설’로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4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