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 0

김수영 시의 현대성 연구

Title
김수영 시의 현대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ity in Kim Soo-young’s Poetry
Author
김미애
Alternative Author(s)
Kim, Mi Ae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글은 김수영 시의 현대성이 현실 인식을 통해 새로움을 제시한 것과 인간 회복의 가치를 지향한 과정을 논의한다. 김수영 시의 현대성은 현실 인식을 통해 새로움을 제시한다. 현대성에서 새로움 추구는 인간 상실의 시대에 인간 회복의 가치를 지향한 행위이다. 이 과정을 진행하는 데 한나 아렌트의 정치적 사유가 논점을 풀어나가는 측면에서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입장이다. 김수영과 아렌트 사이의 공통된 가치관을 확인하면서 김수영 시의 현대성이 구체화하는 과정을 정립할 수 있다고 본다. 김수영은 모더니즘의 도량기를 거쳐 참여시의 도량기로 들어온 한국 시사의 거의 유일한 시인이다. 4·19 혁명이 계기가 된 그의 시적 변모는 시에서 현대성 정신의 강조와 동일한 궤적을 그린다고 할 수 있다. 시의 현대성은 생활현실의 인식을 통하여 시적 ‘새로움’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는 한나 아렌트의 ‘새로운 始作’과 비견하는 개념이며, 혁명, 개시, 행위의 의미를 함의하는 점에서 인간 공존, 혹은 인간 회복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정향한다. ‘어두운 시대’를 고뇌했던 시인으로서 김수영은 한편에서 문화의 후진성을 자각하고 우리의 삶을 넘어서는, 현실 너머의 현실을 구하고자 했고 정치 철학자로서 한나 아렌트는 다른 편에서, 사적영역에 은폐된 전체주의의 악의 어둠을 밝음과 평등의 공공영역으로 이동시키려고 분투했다. 김수영이 시에서 현대성을 작동시키는 충동의 힘은 우리 사회의 후진성이다. 1960년대, 근대화라는 명분 아래 외부에서 들어오는 강압적 침입, 획일적 문화 그리고 총체적으로 뒤처진 현실은 지식인으로서 시인의 참여 정신을 발동하게 했다. 진정한 참여시는 행동주의자들의 시임을 말하면서 김수영이 현대성 정신에서 생성된 참여시는 우리 문학사에 하나의 좌표를 설정하게 된다. 김수영은 시에 곡진한 생활현실의 표현에서 ‘새로움은 자유다. 자유는 새로움이다.’라는 말로 언론의 자유를 희구한다. 시에서 새로움을 생성하는 기본 바탕이 자유이고 혼돈의 자유가 주어질 때 양심을 가진 시, 큰 침묵의 시가 생성된다고 단언한다. “어두운 시대는 어디에서나 있고, 어느 시대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는 한나 아렌트의 말은 말의 현재성과 동시성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렌트는 정치적 사유와 새로운 始作으로 그 대비책을 마련했으며 판단의 독립성을 정립한다. 김수영이 대비한 현대성 정신에서 나온 새로움도 그 결을 같이 한다. 새로움은 그것의 탄생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전반기는 재현의 의미로서의 새로움이 아니라 죽음에서 나오는 새로움을 제시한다. 이후,「시작노트 6」에서 제시한 자코메티적 발견은 새로움을 발견하는 자세의 변모라고 말할 수 있다. ‘보는 대로 충실하게 그린다’로 표상되는 이 새로움은 어떤 고정된 이미지를 배제하는 이미지를 중요시한다. 김수영이 새로움을 모색하는 시각은 어두운 시대를 대비한 김수영의 예지력에서 나온 것이고, 당대의 빈궁한 삶의 현실 인식에서 나온 자의식적 사유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김수영의 고유성은 이러한 현대성의 전위성을 단순한 기술적(記述的) 쇄신이나 형식의 쇄신만이 아니라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온몸의 힘으로 詩作한다는 표명에서도 나타난다. 현대성이 현실의 바탕을 통하여 얻은 시적 새로움은 한시적인 것이 아니다. 현실은 생성과 소멸의 차원에서 하나의 유기체이다. 현실을 직시한 현대성은 생활과 몸에 자각되고 실재하면서 그 가치는 현대를 넘어 영원과 접한다. 그런 의미에서 김수영의 현대성은 미래에 시선을 두는 동시에 시의 미학을 가로지른다고 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47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