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 0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 사용 경험의 이해

Title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 사용 경험의 이해
Other Titles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Smartphone Use in Travel Processes: Focused on Digital Divide
Author
백승희
Alternative Author(s)
Baek Seung Hee
Advisor(s)
신학승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smart tourism is emerging, the digital divide phenomenon is affecting travel. However,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s at the travel stage is insufficient, and scar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pplication of digital divide in the tourism field. Regarding thi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20-30 generations and 60-70 generations of tourists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cusing on the digital divide phenomenon. In the theoretical review,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smartphones and digital divide phenomena in tourism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were considered. The functions and roles of smartphones in modern society and travel were considered. In the digital divide phenomenon, the unequal diffusion of smartphone adoption was considered.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concept of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were considered. This study presented two research problems by classifying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s in travel by travel stage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gener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is the meaning of smartphone use experience at the travel stage?' and 'How can we explai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each generation about smartphone use experience at the travel stage?' A total of 30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ing 15 tourists from the 20s and 30s and 15 tourists from the 60s and 70s,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personal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to July 2022, and the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seven-step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Colaizzi. The analysis procedure consisted of 'getting familiar with data', 'identifying important statements', 'forming meaning', 'bundling of topics', 'describing comprehensively', 'deriving essential structures', and 'verifying essential structures'. As a result, first, in the stage of daily interest, the topics of the 20-30 generation were "means to obtain travel-related information" and "catalyst to increase interest in travel," while the topics of the 60-70 generation were "smartphones with limited contact with travel" and "travel information that you experience unintentionally." While 20-30 generations actively use smartphones, such as obtaining travel information even in the stage of their daily interest, it is very rare for 60-70 generations to use smartphones to search for travel information. It was common that travel information was acquired accidentally between the two generation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gap in the amount of travel information acquired. Second, in the travel decision stag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was 'smartphones, which are essential for travel preparation', whil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60s and 70s was 'immature use of smartphones'. While those in their 20s and 30s tend to use smartphones as an essential tool for travel in the travel decision-making stage, those in their 60s and 70s feel that they cannot fully use smartphones for travel decision-making. Although distrust of smartphone advertisements was found to be common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gap in the fact that the smartphone usage method is much more familiar to the 20-30 generation than the 60-70 generation. Third, at the travel stag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was 'a medium that helps abundant travel', whil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60s and 70s was 'coexistence of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 use'. While the 20s and 30s feel that smartphones are a tool to make travel more convenient and rich in the travel stage, the 60s and 70s have a positive attitude that clearly show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smartphones in the travel stage. Between the two generations, travel has become rich through smartphones and rather negative features such as hindering tourism's immers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dependence on whether they voluntarily use smartphones or rely on others.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as a new discovery that people in their 20s and 30s can practice eco-friendly tourism through smartphones. Finally, in the travel recall stag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was "essential tools for finishing and organizing travel," while the theme of the generation in their 60s and 70s was "only tools for storing photos." While 20-30 generations often use smartphones as a means of sharing travel appreciation through SNS in the travel recall stage, 60-70 generations only use smartphones as a tool to store photos in the travel recall stag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lso used smartphones to reveal themselves, but the difference was that people in their 60s and 70s did not have a desire to show off and used smartphones only as a photo storage tool. As an implic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digital divide phenomenon in the tourism field. Second, the digital divide that occurs between generations in the tourism field was actually identified through phenomenological studies. Third, it ma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bridging the digital divide gap. Keywords: Smartphones, Digital Divide, Technology Adoption, Diffusion of Innovation |디지털 시대의 해결 대안으로 스마트 관광의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이 여행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여행 단계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관광 분야에서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이 적용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여행 단계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을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을 중심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20-30 세대 관광객과 60-70 세대 관광객의 세대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 본질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관광에서의 스마트폰과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 그리고 현상학적 연구의 개념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관광에서의 스마트폰에서는 현대 사회에서의 스마트폰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여행과 스마트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에서는 디지털 디바이드와 세대 간 디지털 디바이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현상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여행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을 여행 단계별로 구분하고 세대별 차이를 분석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 사용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가?’,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 세대별 공통점과 차이점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20-30 세대 관광객 15명과 60-70 세대 관광객 15명 총 30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6월부터 7월에 걸쳐 개인 심층면담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Colaizzi가 제시한 7단계의 분석절차를 따랐다. 분석절차는 ‘자료 익숙해지기’, ‘중요한 진술의 식별’, ‘의미 형성’, ‘주제 묶음’, ‘포괄적 기술하기’, ‘본질적 구조 도출하기’, ‘본질적 구조 검증하기’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여행의 4가지 단계별로 20-30 세대와 60-70 세대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를 통해 의미단위 295개와 이를 학문적 용어로 변환하여, 변형된 의미단위 64개, 하위주제 26개, 주제 9개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상관심단계에서 20-30 세대의 주제는 ‘여행 관련 정보를 얻는 수단’, ‘여행에 대한 관심을 고조하는 촉매제’인 반면, 60-70 세대의 주제는 ‘여행과는 접점이 적은 스마트폰’, ‘의도치 않게 경험하는 여행 정보’이었다. 20-30 세대는 일상관심단계에서도 여행 정보를 얻는 등 활발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반면, 60-70 세대는 스마트폰으로 여행 정보를 검색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드문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두 세대 간에 우연적으로 여행 정보를 취득한다는 점은 공통점이었지만 여행 정보를 취득하는 양이 차이가 많이 나는 점은 격차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여행결정단계에서 20-30 세대의 주제는 ‘여행 준비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인 반면, 60-70 세대의 주제는 ‘미숙한 사용에 대한 아쉬움’이었다. 20-30 세대는 여행결정단계에서 스마트폰을 여행에 있어서 필수 도구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60-70 세대는 여행결정단계에서 스마트폰이 필요하지만 미숙한 사용으로 인해 안타까워하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두 세대 간에 스마트폰 광고를 불신하는 것이 공통점으로 나타났지만 스마트폰 사용 방식은 20-30 세대가 60-70 세대보다 훨씬 익숙하게 사용한다는 점은 격차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여행 단계에서 20-30 세대의 주제는 ‘풍요로운 여행을 돕는 매개체’인 반면, 60-70 세대의 주제는 ‘사용에 대한 양가적 태도의 공존’이었다. 20-30 세대는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을 여행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도구로 느끼는 반면, 60-70 세대는 여행 단계에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장단점이 확연히 나타나는 양가적 태도가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세대 간에 스마트폰을 통해 여행이 풍요로워진 점과 오히려 관광의 몰입을 방해하는 등 부정적인 면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공통점으로 나타났지만 자발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 타인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지 의존도는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0 세대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여행에서 친환경 관광을 실천할 수 있다는 점이 새로운 발견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여행회상단계에서 20-30 세대의 주제는 ‘여행의 마무리와 정리를 위한 필수 도구’인 반면, 60-70 세대의 주제는 ‘사진 저장용 도구에만 그침’이었다. 20-30 세대는 여행회상단계에서 SNS를 통해 여행 감상을 공유한다든지 과시용 수단으로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반면, 60-70 세대는 여행회상단계에서 스마트폰을 단순히 사진을 저장하는 도구에만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 세대는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60-70 세대는 과시 욕구가 없으며 여행 그 자체에 만족하여 스마트폰을 사진 저장용 도구로만 사용하는 것이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한 시사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관광분야에서 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에 대한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관광 분야에서 발생하는 세대 간, 즉 연령 간에 나타나는 디지털 디바이드를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실제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디지털 디바이드 격차 해소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요 용어: 스마트폰, 디지털 디바이드, 기술수용, 혁신의 전파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85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