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4 0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위험요인 분석의 관점에서

Title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위험요인 분석의 관점에서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 in the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 From the Perspective of Risk Factor Analysis
Author
이정진
Alternative Author(s)
Lee, Jung Jin
Advisor(s)
김태윤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ims to prevent wasting of budgets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fiscal management in the mid to long-term R&D investment. Since the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verifies the project plan to be realized in the future, there is high uncertainty according to future forecasts, 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so that it can respond to uncertainty and possible risks of R&D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cused on analysing the project design, so it lacked consideration of risk factor in the R&D project. In the evaluation items of policy propriety, there is only financial procurement and legal and institutional risk factors as a risk factor for project, so it is composed of too fragmentary elements to reflect various uncertainties, and the contents of evaluation are limited to declarative suggestions. Recently, uncertainty has increased as cases of developing high-tech technologies with high risks and high failure potential or pioneering new technological areas have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risk analysis frame to check whether the risk factors that could occur in the R&D project were properly reviewed in advance. The risk analysis frame was applied to the case of the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which i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risk analysis frame. First, in order to present the objective analysis standards for various risk factors, R&D risk factors and risk factors from R&D uncertainty were discussed. Next, it was review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risk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ject management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isions. But there was a limit to reflect the high uncertainty of R&D only with the risk factors reviewed in general project management. In the case of developing a new technical area or developing high-tech technology, securing researchers and research competitiveness can act as important variables of working on a project. And highly complex and uncertain convergence R&D has a high possibility of failure,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sult. Therefore, this study additionally utilized the investment decision factors of venture capital that pursues high-risk, high-return while securing uncertainty. A risk analysis frame was presented by selecting risk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project management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ision. The risk analysis frame was grouped into 4 areas: technical risk, managerial risk, organizational risk, and external risk, and consisted of 9 risk factors. The national R&D project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by purpose, field, and character, so it is difficult to classify them to one criteria. Risk fac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national R&D projects.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R&D projects by type and present a risk analysis fra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type. But there is a limit to the classification of R&D project types, and risk factors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iming, and external conditions, so it must be applied flexibl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cas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isk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usefulness of the risk analysis frame by project type and similar trends in risk factors could be confirmed. This study showed that various risk factors can occur in national R&D projects, and it could be confirm to risk evaluation method weren’t enough of the current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he case analysis has a limit in that the subjective judgment may be involved in interpreting the to actual cases. Despite this limi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various risk factors related to the national R&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s a risk analysis frame. It is expected that this critical mind can be used as a data for more effective institutional improvement later.|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는 중장기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예산낭비를 방지하고,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는 미래에 실현될 사업 계획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므로 미래 예측에 따른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다.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대한 많은 정보를 파악하고, R&D 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는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업 설계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사업 수행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정책적 타당성 평가항목에서 사업추진상의 위험요인으로 재원조달과 법․제도적 위험요인만 제시하고 있어 다양한 불확실성을 반영하기에는 너무 단편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검토 내용은 선언적 제언에 머물고 있다. 최근에는 위험부담이 크고 실패 가능성이 높은 첨단기술개발이나 새로운 기술영역을 개척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대로 검토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험분석프레임을 제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위험분석프레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R&D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R&D 위험요인과 R&D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기법 관점과 벤처캐피탈 투자결정 관점에서 위험요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기법에서 검토하는 위험요인만으로는 R&D의 높은 불확실성을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새로운 기술 영역을 개척하거나 첨단기술개발의 경우, 연구자의 확보와 연구경쟁력이 사업 수행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고도로 복잡하고 불확실한 융복합 연구개발은 실패의 가능성이 높고,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을 담보로 하면서 고위험 고수익을 지향하는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요인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였다. 프로젝트 관리기법 관점과 벤처캐피탈 투자결정 관점에서 위험요인을 선별하여 위험분석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위험분석프레임은 기술적 위험, 관리적 위험, 조직적 위험, 외부적 위험 4개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9가지 위험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국가 R&D 사업은 목적별, 분야별, 성격별로 다양한 특성을 띠고 있어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어렵지만, 국가 R&D 사업의 추진 성격이나 내용에 따라 위험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D 사업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사업유형별 위험분석프레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R&D 사업유형 분류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업 수행 환경, 시기, 외부 여건 등에 따라 위험요인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사업별 특성을 반영하여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 위험분석프레임을 활용하여 실제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사례 분석결과, 사업유형별 위험분석프레임의 활용가능성과 중점 위험요인의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R&D 사업에서 다양한 위험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현행 예비타당성조사의 위험요인 평가가 미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은 사례 해석 과정에서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어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가 R&D 예비타당성조사와 관련된 다양한 위험요인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의식은 향후 보다 실효성 있는 제도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3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CIENCE-TECHNOLOLY POLICY(과학기술정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