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0

중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을 위한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 개발

Title
중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을 위한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Movement Media Contents for Junior High School Special Class
Author
이다솔
Alternative Author(s)
Lee, Da Sol
Advisor(s)
이해준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후 미래 교육의 주된 발전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는 온라인 미디어 플랫폼, 온라인 교육 방안, 교육 미디어콘텐츠를 활용하여 실제 학교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을 위한 움직임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중학교 특수학급 청소년에게 질 높은 움직임 수업의 경험을 제공하고,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움직임 수업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점진적 과제 등을 포함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와 델파이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미디어콘텐츠는 교수체계 설계과정 모형의 기초인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단계를 거쳐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 선행연구 분석과 과제분석을 통해 움직임 미디어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내용을 움직임의 기본요소와 중요 요소, 일반적인 오류 분석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설계단계에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수업목표를 선정하여 교수전략을 설계하였다. 마지막 개발단계에서는 움직임 미디어콘텐츠를 제작하고, 움직임 지식 패킷,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여 전문가 검증을 통해 수정과 보완의 단계를 거쳐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둘째, 움직임 미디어콘텐츠의 목적 및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현대무용의 기능을 익혀 창작 동작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다. 2. 신체와 움직임 요소의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동작과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신체와 움직임 요소를 이용하여 창작하고 감상하며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다. 셋째, 움직임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를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움직임 원리 5가지(신체, 공간, 시간, 힘, 움직임)를 움직임 요소로 선정하였으며, 동작의 요소는 이동 움직임과 비이동 움직임으로 구분하였다. 개발한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는 특수교육전문가 2인과 무용 교육 전문가 2인, 체육 교사 1인 등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전문가들은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가 실제 학교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운동능력과 사회적 기술, 창의성 신장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움직임 교수학습 미디어콘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미래 교육의 교육 방향과 방법을 활용한 전문 자료로써 적합하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장애 학생을 위한 움직임 수업 프로그램을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문 자료와 지도자료를 함께 제시하였으며,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을 통해 정확한 시범과 설명, 학생들의 동기유발 자료를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안하였다. 이를 계기로 미래 교육의 교육 방향에 따른 예체능 교육콘텐츠와 전문 자료에 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vement class program for teenagers in special middle school classes that can be applied to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real schools using online media platforms, online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edia contents presented as the main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fter COVID-19.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high-quality movement class experiences to middle school special class adolescents and to provide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with data includ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gradual tasks.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survey method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vement media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ADDIE model, which is the basis of the instructional system design process model. In the analysis stage,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movement media contents were derived as basic and important elements of movement, and general error analysi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asks. By synthesizing these analysis results, te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by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goals in the design stage. In the final development stage, movement media contents were produced, movement knowledge packets, and learning guidance plans were produced, and the final draft was complet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steps. Second, the purpose and goal of motion media content were set as follows. 1. You can learn the functions of modern dance to learn the sense of creative movement. 2. You can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body and movement elements and express them with various movements and feelings. 3. You can create, appreciate, and develop critical thinking using body and movement elements. Third,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movement program was selected by analyz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five selected movement principles (body, space, time, force, and movement) were selected as movement elements, and the movement elements were divided into movement and non-movement. The developed mov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dia contents were verified for validity of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two dance education experts, and on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xperts evaluated that mov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dia contents can be useful in actual schools and can have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athletic ability, social skills, and creativity. Through this, the educational effect of mov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dia contents was confirmed, and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suitable as a professional material using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profess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to use the movement class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developed and proposed programs including accurate demonstrations, explanations, and motivational data for students through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ntents and specializ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uture will be continuously discuss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09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2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ERFORMING ARTS(공연예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