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0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승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itle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승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Owner Mind of Family Business Successors and their Effects on Succession
Author
이종환
Alternative Author(s)
Lee, Jong Hwan
Advisor(s)
조남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successor of a company should be able to handle the business beyond simple business processing, with a leading and active judgment, and have a culture that can respond to the field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the members and synthesizing them. In particular, creative ideas for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and voluntary actions based on entrepreneurship can be reborn as companies that survive and develop in the present and future. In order for a company's successor to induce entrepreneurial behavior, it is judged that it basically begins when he or she has a thorough the owner mind. Meanwhile, the possibility of the absence of a corporate successor is expected due to Korea's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owner mind of the successor of the family company. We examine how the owner mind of the successor to the family company, which was found to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previous studies, is formed, and how the owner mind of the successor to the family company affects the succession. In addition, when owner mind exerts influence, it is intende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variables that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mpirical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s, and a total of 100 successors of family companies were survey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set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ust of the current manager & personal motivation, and consistency between the family company goal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forming the owner mind of the family company successor. As the successor to the family company has seen the current manager since childhood, he builds trust, and listening to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family company,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successor's motivation and opportunity that the family company can provide, the more positive it seems to have. Second, a sense of self-efficacy of the successor of the family company could 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linear relationship in the formation of owner consciousness, but the relationship of the "reverse U" of the secondary model was confirmed. To a certain level, a sense of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owner mind, but excessive a sense of self-efficacy seems to hinder the formation of owner mind toward the family enterprise of the success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or's owner mi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If a family company successor's owner mind is formed to strive with the same interests as the current manager without ownership, it seem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by forming an interest in having ownership and management rights of the family compan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manager's ownership distribution pla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 mind and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With the owner mind formed, If the current manager is planning to distribute legal ownership to the successor and is exercised within the company, the successor has the effect of recognizing how to receive ownership of the family business and gaining legitimacy. Through this, it seems to exert a moderating effect on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Fifth, owner mind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the current manager & the consistency between personal motivation and the family company goal, and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These results mean that if the current manager manages a company in consideration of succession to the successor, the importance of owner mind is confirmed, and that the successor should show trust and try to recogniz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successor's motives and family company goals. Sixth, it was found that expectations for future compensa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It was found that material compensation and psychological compensation such as value preservation, and long-term stability received when succession procee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owner mind of the successor to the family business. If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I thin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strateg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uccession as a study of owner mind conducted on family business successors.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owner mind was confirmed in the formation of the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In addition to this study, since variables other than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 mediating role of owner mind in the formation of a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future studies can suggest ways to form a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through owner mind I'm going to judg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business successors. Since both the current manager and the successor play an important role in succession, I think it is necessary to study successor's owner mind and successor's willingness of succ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manager. Through thi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earch results between the current manager and the successor, it is judged that an interpersonal or sufficient conversation on this part is necessary.|기업의 후계자는 단순 업무처리를 넘어,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판단하에 업무처리 할 수 있어야 하고, 조직원의 의견을 듣고 종합하여 현장에 대처할 수 있는 문화를 갖춰야 한다. 특히 4차산업 변화 적응을 위한 창의적 발상을 키워야 하며, 기업가정신에 입각한 자발적 행동이 현재와 미래의 생존과 발전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게 한다. 기업의 후계자가 기업가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주인의식을 갖추어졌을 때부터 시작된다고 판단한다. 한편, 한국의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한, 기업의 후계자 부재의 가능성이 예상된다. 하여, 본 연구는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확인하고, 형성된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이 승계에 어떤 영향을 발휘하는지 알아본다. 또한 주인의식이 영향력을 발휘할 때, 조절 효과를 가져올 변수의 유무를 알아보고자 한다. 주인의식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여 가족기업에서 후계자 주인의식의 중요성과 역할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설정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가족기업 후계자 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족기업 후계자의 주인의식 형성에는 현 경영자의 신뢰와 개인 동기와 가족기업 목표 간의 일치성이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족기업 후계자가 어린 시절부터 현 경영자를 봐오면서 신뢰를 형성하게 되고, 가족기업에 대한 많은 정보를 들으면서 후계자가 생각하는 동기와 가족기업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회나 목표가 일치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후계자의 주인의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족기업 후계자의 자기효능감은 주인의식 형성에 선형관계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찾을 수 없었지만, 2차 모형의 “역 U자”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일정 수준까지 자기효능감은 주인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과도한 자기효능감은 후계자의 가족기업에 대한 주인의식 형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후계자의 주인의식은 후계자의 승계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업 후계자가 소유권이 없는 상태에서 현 경영자와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노력하려는 마음 상태인 주인의식이 형성되면, 가족기업의 소유권과 경영권을 가지는 것에 관한 관심과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내적 욕구를 형성하여 후계자의 승계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한다. 네 번째, 현 경영자의 소유권 분배계획은 주인의식과 후계자의 승계 의지 간의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인의식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 경영자가 후계자에게 법적 소유권을 분배하려는 계획을 세웠고, 회사 내에서 발휘되는 상태라면, 후계자는 가족기업의 소유권을 받는 방법을 인식하고, 정당성을 얻는 효과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후계자의 승계 의지에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 번째, 주인의식은 현 경영자의 신뢰, 개인 동기와 가족기업 목표 간의 일치성과 후계자의 승계 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인의식의 중요성이 확인되는 부분이며, 현 경영자가 후계자에게 승계를 고려하여 기업을 경영한다면, 현 경영자는 후계자에게 현 경영자의 신뢰를 보여주고, 후계자의 동기와 가족기업 목표 간의 일치되는 정도를 인식시키려고 노력하여 주인의식을 통하여 후계자의 승계 의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많은 대화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 번째, 미래의 보상에 대한 기대는 후계자의 승계 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계를 진행하게 되면 받게 되는 물질적 보상과 가치 보전, 장기적 안정성과 같은 심리적 보상이 후계자의 승계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족기업 후계자에 관한 주인의식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선행연구가 종업원의 주인의식에 관한 연구로 대부분 진행되었다면, 본 연구는 다음 세대를 이어갈 가족기업 후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주인의식 연구로, 성공적인 승계의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을 제공한다는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후계자의 승계 의지 형성에 주인의식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연구 외의 변수에서도 후계자의 승계 의지 형성에 주인의식의 매개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부분에서 추후 연구에서 주인의식을 통한 다양한 요인의 후계자 승계 의지 형성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판단한다. 본 연구는 가족기업 후계자의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승계는 현 경영자와 후계자 모두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현 경영자를 대상으로 후계자의 주인의식과 승계 의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서 현 경영자와 후계자의 연구 결과 차이가 있다면, 이 부분에 대한 대안이나 충분한 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45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