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5 0

SNS 속 동료와의 상향사회비교가 선망(envy)을 통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맥클랜드(McClelland)의 욕구를 조절변수로

Title
SNS 속 동료와의 상향사회비교가 선망(envy)을 통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맥클랜드(McClelland)의 욕구를 조절변수로
Other Titles
Upward social comparison with coworkers in SNS(Social Network Service): Mediation of envy and moderation of McClelland's needs
Author
신경표
Alternative Author(s)
Gyeongpyo Shin
Advisor(s)
신유형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조직은 제한된 자원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직원 간의 경쟁을 부추긴다. 이러한 경쟁은 조직구성원 간 자원의 불균형한 분배를 유발하고, 이는 직장 내 부러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직장 내 선망은 최근 직장인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빈번히 발생하게 되었다. 또. 보상의 불균형에 민감하고 SNS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조직 내에서 점점 더 많아짐에 따라 직장 내 부러움이 더욱 만연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SNS를 통한 상향비교와 선망의 잠재적 효과를 살펴 볼 필요가 있으나 기존의 직장 내 선망 문헌에서는 간과되어 왔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맥락에서의 선망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단편적이다. 특히, 이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사회비교와 선망이 연결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NS 맥락에서의 상향비교와 선망이 오프라인 작업환경에서의 도움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동료들의 SNS 상향비교와 도움행동 간 관계를 선망의 두 가지 형태(악의적 선망, 선의적 선망)가 매개하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 McClelland(1975)의 욕구(성취욕구, 권력욕구, 소속욕구)가 SNS 상향비교와 악의적 선망, 선의적 선망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업종 및 직종에 종사하는 정규직 근로자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일방법편의를 예방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NS 상향비교, 두 가지 형태의 선망, 통제변수(나이, 성별, 근속기간, 부정정서)를 시점 1에서 측정하였다. 한 달 후 시점 2에서는 McClelland의 욕구와 도움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SPSS 25와 AMO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SNS 상향비교와 도움행동의 관계를 악의적 선망과 선의적 선망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SNS 상향비교는 악의적 선망을 통해 도움행동에 부(-)적인 간접효과를 미쳤으며, 선의적 선망을 통해서는 도움행동에 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맥락에서의 SNS 상향비교가 악의적 선망과 선의적 선망을 동시에 유발하지만 도움행동을 예측하는데 상반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SNS 상향비교와 두 가지 선망 간 관계에 대한 세 가지 욕구 유형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분석 결과 권력욕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권력욕구가 낮은 직원이 권력욕구가 높은 직원보다 악의적 선망과 도움행동의 부(-)적 관계가 더 뚜렷함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동료에 대한 SNS 상향비교가 두 가지 대조적인 형태의 선망을 통해 도움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도움행동의 선행요인으로서 SNS를 통한 상향비교와 이 관계를 매개하는 두 가지 형태의 선망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비교와 선망에 관한 문헌에 기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NS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도움행동을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하며 실무적인 시사점을 가진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735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