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0

전략적 선택이 사용자단체 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략적 선택이 사용자단체 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trategic Choice on Employer Association Organizing
Author
김희진
Advisor(s)
임상훈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사관계 차원의 해법으로 산업별 단체교섭과 사회적 협의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사용자단체 관련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단체의 역할과 책임의 균형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한국 영화산업 사용자단체의 조직화 사례를 분석하여 사용자단체 조직화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했다. 지금까지 사용자단체 조직화를 설명하는 서구의 주된 이론에서는 강한 노조의 힘과 노동운동의 확산, 친노동 정부 정책과 노동법 제정 등 대응적이고 적응적인 방식을 강조했다. 이러한 주된 이론으로는 한국 영화산업 사용자단체 조직화 사례를 설명하기 어렵다. 전략적 선택론을 대안적 이론으로 삼아 영화산업 사례를 분석하고 사용자단체 조직화의 요인을 찾아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했다.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외부 환경, 즉 스크린쿼터 축소라는 산업 외부의 위협에 대해 사용자가 개별적인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았다. 영화노조와 한국영화제작가협회(제협)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졌고 노사는 스크린쿼터라는 경제적 위협에 함께 대응했다. 즉,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형성된 것이다. 제작자들의 단체인 제협이 스크린쿼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사간 상호의존성’이라고 하는 단체 외부의 자원이 필요했다. 스크린쿼터 국면이 종식된 이후에도 제협이 사용자단체로서 노조와 단체교섭 및 협약체결을 반복했던 것은 그들 자신의 집합이익을 추구한 것이었다. 특히 노동시장 규칙 설정이 중요했는데 이는 기존 사업자단체에서 나아가 사용자단체로서 기능과 사업을 영위해야만 가능한 것이었다. 즉, 제협은 기존 사업자단체에서 나아가 사용자단체로서 조직화되었다. 주목할 점은 영화산업 사측교섭단이 당시 사용자를 실질적으로 대표했다는 점과 실질적인 의제개발에 힘썼다는 점이다. 즉, 타산업 사용자들과 달리 ‘교섭용’ 사용자단체를 구성하거나 단체교섭 기능을 외주하는 등 회피적 선택을 하지 않았다. 영화산업 사용자단체는 노사관계 당사자로서 역할과 책임, 권한을 이행했다. 요컨대, 영화산업 사용자단체 조직화에는 사용자가 산업 위기에 노사 공동으로 대응하는 전략을 취한 것, 이를 토대로 노조와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형성한 것,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규칙설정이라는 집합이익을 추구했던 것이 주요했다.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주된 이론으로 설명이 어려운 영화산업 사례를 분석하여 사용자단체 조직화의 요인을 찾았다는 것, 전략적 선택론을 대안적 이론으로 삼고 자원의존이론을 활용하여 국내 사용자단체 조직화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것, 마지막으로 긍정적 상호의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사용자단체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는 것이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불평등, 노동자 내부 격차 심화라는 이슈에 대해 사용자(사용자단체)의 역할과 책임을 제시했다. 더불어 재정적 자원이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노사관계가 적대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자신의 이해를 추구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social consultation and industrial collective bargaining as solutions to social inequality in terms of industrial relationships. Accordingly, the number of research on employers and employer associations(EAs) has been increasing as well.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EA organizing mechanism by analyzing the case of EA organiz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s the balance betwee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 has been emphasized these days. Until now, the mainstream theory of the West on EA organizing emphasized responsive and adaptive way as the power of strong unions, the spread of labor movements, leftist government policies, and the enactment of labor laws. However, with this mainstream theory,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case of the Korean film industry employer association. Applying strategic choice theory as an alternative, I tried to analyze the case of the film industry, identify elements of organizing EA, and figure out the mechanism.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It was not effective for employers to respond in an individual way to the external environment – which is a threat outside the industry such as the reduction of screen quotas. Interaction took place between the film union and KFPA(Korean Film Producers Association), labor and employer together acted against the economic threat of screen quotas. In other words, a positive interdependence for cooperation was formed to achieve a common goal. KFPA, an organization of producers, needed resources outside the organization called "interdependence between labor and employer"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screen quota. Even after the end of the screen quota phase, KFPA repeatedly conducted collective bargaining and agreement deals with the union as an employer association, in pursuit of their own collective goods. It was particularly important to set rules in the labor market, which was achievable only when it operated functions and businesses as a employers association beyond its original role as a business organization. In other words, the association was organized as an employer association, going beyond the traditional business organization. What is notable is that the film industry's management bargaining team actually represented employers at the time and worked hard to develop practical agendas. Unlike employers in other industries, it did not take evasive choices, such as forming a employer organization for ‘negotiation’ or outsourcing collective bargaining functions. The film industry employer organization fulfilled its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as a party to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short, the employer organization was organized the following factors, collective response against the industrial crisis, formation of the positive interdependence with the labor union, and finally the pursuit of the collective interests of setting labor market rul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found the factors of EA organizing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film industry, explained the mechanism for organizing domestic EA with strategic choice theory used as an alternative theory, and expanded the discussion of EA.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suggested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employers(employer association) regarding the issues of inequality and the widening gap among laborers.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re could be non-hostile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that employers can pursue their interests based on positive interdependenc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737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