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용순-
dc.contributor.author히라야마 나츠미-
dc.date.accessioned2023-05-11T12:09:36Z-
dc.date.available2023-05-11T12:09:36Z-
dc.date.issued2023.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076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본 간호사의 돌봄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예측 설계연구이다. 일본에서 근무하여 병원, 시설, 또는 가정에서 간호를 직접 제공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2022년 7월 14일부터 2022년 11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2부를 제외한 최종 73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Mac ver.26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10명(13.7%), 여자가 63명(86.3%)이며, 평균 연령은 32.29±7.75세였다.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2.96±0.95점이었다. 돌봄로봇 관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0±1.09점이며, 돌봄로봇 사용경험 있는 자가 22명(30.1%)이었다. 대상자의 개인혁신성은 5점 만점에 평균 2.96±079점이며, 조직지원은 5점 만점에 4.37±0.59점이었다. 돌봄로봇 사용의도는 5점 만점에 지켜보기/의사소통로봇 평균 4.05±0.79로 가장 높았고, 목욕지원로봇이 3.78±0.95, 개호업무지원로봇이 3.52±0.99, 이동지원로봇이 3.43±0.89, 배설지원롭봇이 3.39±1.04, 이승지원로봇이 3.36±0.88 순으로 나타났다(x2=30.96, p<.00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로봇 사용의도는 돌봄로봇별로 다음과 같다. 이승지원로봇은 돌봄로봇 관심도가 보통이상 관심있는 경우가 관심없는 경우보다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z=2.061, p=.039). 지켜보기/의사소통로봇은 직무만족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직무만족 보통이상인 경우 만족하지 않는 경우보다 사용의도가 높앗다(z=-2.212, p=.027). 개호업무지원로봇은 돌봄로봇 관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돌봄로봇 관심도가 보통이상인 경우가 관심이 없는 경우보다 사용의도가 더 높았다(z=1.964, p=.049). 이동지원로봇과 배설지원로봇, 목욕지원로봇의 사용의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승지원로봇 사용의도는 연령(r=-.239, p=.042), 임상경력(r=-.278, p=.017), 돌봄로봇 관심도(r=.308, p=.008) 및 개인혁신성(r=.338, p=.003)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동지원로봇 사용의도는 돌봄로봇 관심도(r=.281, p=.016) 및 개인혁신성(r=.336, p=.004)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배설지원로봇 사용의도는 돌봄로봇 관심도(r=.269, p=.021), 개인혁신성(r=.372, p=.001) 및 조직지원(r=.242, p=.039)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켜보기/의사소통로봇 사용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돌봄로봇 관심도(r=.296, p=.011) 및 조직지원(r=.337, p=.004)이었다. 목욕지원로봇 사용의도는 돌봄로봇 관심도(r=.362, p=.002)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개호업무지원로봇 사용의도는 돌봄로봇 관심도(r=.260, p=.026)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6가지 모든 돌봄로봇의 사용의도는 각각의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 및 업무관련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돌봄로봇별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이승지원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β=.613)과 개인혁신성(β=.163)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66.5%였다(F=18.880, p<.001). 이동지원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관련성(β=.445)과 인지된 유용성(β=.322)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72.3%였다(F=27.902, p<.001). 배설지원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β=.489)과 업무관련성(β=.449)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84.1%였다(F=48.753, p<.001). 지켜보기/의사소통로봇 사용의도는 인지된 유용성(β=.799)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은 73.6%였다(F=29.628, p<.001). 목욕지원로봇 사용의도 영향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β=.669)과 인지된 용이성(β=.210)이었으며(Adj.R2 =.835, F=61.948, p<.001), 개호업무지원로봇 사용의도 영향요인은 인지된 유용성(β=.629)으로 나타났다(Adj.R2=.827, F=58.483, p<.001). 따라서 일본 간호 분야에서 돌봄로봇을 활용하려면 먼저 공통으로 간호사가 유용성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돌봄로봇에 종류에 따라 용이성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돌봄로봇이 간호사의 업무 내용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인지한 제품을 개발하며, 간호사들이 돌봄로봇 같은 새로운 기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인혁신성과 관련된 교육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추후 사용자가 될 수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6가지 간호 영역별 돌봄로봇의 사용의도를 규명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일본 간호사의 돌봄로봇 사용의도 영향요인-
dc.title.alternativeFactors Affecting 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Care Robots among Japanese Nurs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히라야마 나츠미-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