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2 0

수술 전 투석여부에 따른 신장이식 환자의 자가간호 영향요인 비교

Title
수술 전 투석여부에 따른 신장이식 환자의 자가간호 영향요인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elf-Care Behaviors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according to Preoperative Dialysis
Author
임혜연
Alternative Author(s)
Im Hyei-Yeon
Advisor(s)
장혜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mpare the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according to preoperative dialysis. This descriptive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better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and education to increase the duration of transplant kidney maintenance by promoting self-nursing in kidney transplant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PKT(Preemptive kidney transplant) patients and 108 NPKT(Non-preemptive kidney transplant) patients who regularly visited the organ transplant center after kidney transplant surgery at S hospital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2nd to August 29th, 2022, and after obtaining consent,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as completed. In this study, str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family and healthcare provider support)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of self-care. SPSS 29.0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ᅠ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ᅠ   1. Stress was PKT patients 97.23±24.16 points and NPKT patients 96.13 ±24.16 points out of 185 point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PKT patients 9.99±2.67 points and NPKT patients 10.04±2.40 points out of 15; Family support was PKT patients 53.77±6.09 points and NPKT patients 49.06±10.65 points out of 60 points; Health care provider support was PKT patients 49.45±7.70 points and NPKT 46.74±8.72 points out of 60 points; Self-care was PKT patients 84.20±9.49 points and NPKT patients 83.56±9.92 points out of 100 points. ᅠ   2. In self-care, gender (t=-2.46, p=.016) and spouse (t=-2.23, p=.028), occupational status (Z=-2.33, p=.02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KT patients, gender (t=-2.00, p =.048), spouse (t=-2.90, p=.004), occupational status (Z=-2.96, p=.003), religion (Z=-2.33, p=.020) and postoperative elapsed period (F=3.86, p=0.24)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PKT patients. ᅠ   3. The self-care of PKT pati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r=.35, p<).001), healthcare provider support (r=.25, p=.011), and self-care of NPKT pati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care provider support (r=.20, p=.034). ᅠ   4. For PKT patients, presence of spouse (β=-.19, p=.040), higher family support (β=.27, p=.008), the higher self-care can be determined and the explanatory power(Adj R²) was 19.1%. For NPKT patients, presence of spouse (β=-.29, p=.002), unemployed (β=.27, p=.013), postoperative elapsed period (β=.40, p=.002), the higher self-care can be determined and the explanatory power(Adj R²) was 22.2%. ᅠ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edictive factors of self-care of PKT patients and NPKT patients were differ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o have preoperative dialysis so that kidney transplant patients can perform better self-ca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nursing strategies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patient characteristics to promote self-care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현재 우리나라는 만성 신부전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예후와 삶의 질 측면에서 가장 좋은 신대체 요법으로 평가되는 신장이식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최근 이식 전 투석기간이 짧을수록 이식 후 예후가 좋다고 보고되며 이식 전 투석을 시행하지 않는 선제신장이식(Preemptive Kidney Transplant, 이하 PKT)이 증가하고 있다. PKT 환자는 비선제신장이식(Non-preemptive Kidney Transplant, 이하 NPKT) 환자들과 신장 이식과 관련된 치료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식 후 자가관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 투석여부에 따른 신장이식 환자의 자가간호 영향요인을 비교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S 상급종합병원에서 신장이식 수술을 받고 주기적으로 장기이식센터 외래를 내원하는 PKT 환자 101명, NPKT 환자 108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3월 22일부터 2022년 8월 29일까지였으며, 동의를 얻은 후, 자가보고 형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가간호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족과 의료인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으며,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하였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KT 환자와 NPKT 환자의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자가간호 정도는 스트레스는 185점 만점에 PKT 환자는 평균 97.23±24.16점, NPKT 환자는 평균 96.13±24.02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15점 만점에 PKT 환자는 평균 9.99±2.67점, NPKT 환자는 평균 10.04±2.40점, 가족 지지는 60점 만점에 PKT 환자는 평균 53.77±6.09점, NPKT 환자는 평균 49.06±10.65점, 의료인 지지는 60점 만점에 PKT 환자는 평균 49.45±7.70점, NPKT 환자는 평균 46.74±8.72점, 자가간호는 100점 만점에 PKT 환자는 평균 84.20±9.49점, NPKT 환자는 평균 83.56±9.92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자가간호는 PKT 환자는 성별(t=-2.46, p=.021), 배우자 유무(t=-2.23, p=.028), 직업 유무(Z=-2.33, p=.020)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NPKT 환자는 성별(t=-2.00, p=.048), 배우자 유무(Z=-2.90, p=.004), 직업 유무(Z=-2.96, p=.003), 종교 유무(Z=-2.33, p=.020) 수술 후 경과기간(F=3.86, p=.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주요 변수들 간 상관관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KT 환자에서 자가간호와 가족 지지(r=.35, p<.001), 의료인 지지(r=.25, p=.01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NPKT 환자에서는 자가간호와 의료인 지지(r=.20, p=.034)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자가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PKT 환자에서 배우자 유무, 가족 지지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β=-.19, p=.040),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β=.27, p=.008) 자가간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Adj. R²)은 19.1%이었다. NPKT 환자에서 배우자 유무, 직업 유무, 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β=-.29, p=.002), 직업이 없는 경우(β=.265, p=.013), 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이 72개월 이상보다 36개월 미만인 경우(β=40, p=.002) 자가간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Adj. R²)은 22.2%이었다. PKT 환자와 NPKT 환자의 자가간호 영향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신장이식 환자가 자가간호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수술 전 투석 여부를 고려하여, 자가간호 수행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간호전략 수립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04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