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한이-
dc.contributor.author손세라-
dc.date.accessioned2023-05-11T12:09:27Z-
dc.date.available2023-05-11T12:09:27Z-
dc.date.issued2023.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362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감염병 전담병원의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서울시 소재 1곳의 종합병원에서 2022년 7월 18일부터 2022년 8월 1일까지 감염병 환자를 6개월 이상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간호근무환경인식은 Devillis(2012)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영주(2019)가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에서 개발한 의료기관 평가항목 중 국제환자안전목표(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의 6개 영역과 부합하는 항목을 박현희(2016)가 설문지 형태로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는 Van de Ven & Ferry(1980)의 개인성과구성요소를 기초로 고유경, 이태화, 임지영(200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으로는 평균 연령은 30.5±5.7세였으며, 총 임상경력은 평균 7.2±5.6년, 현재 근무하는 병원에서의 임상경력은 평균 6.4±5.3년 이었다. 2020년 3월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 이후 소속부서 변경 경험은 45명(28.0%)가 있었고, 116명(72.0%)은 없었다. 근무부서가 변경된 경험은 148명(91.9%)이 있었고, 5회 이상 이동 경험이 있는 대상자도 35명(21.7%)있었다.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14명(70.8%)이었다. 2. 대상자가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은 Likert 척도 4점 만점 중 평균 2.84±0.46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Likert 척도 5점 만점 중 4.53±0.50점이었으며, 간호업무성과는 Likert 척도 5점 만점 중 평균 4.08±0.5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로는 간호근무환경은 총 임상경력(F=5.582, p<.001), 현 병원 임상경력(F=2.949, p=.022), 근무부서 이동횟수(F=3.855, p=.023), 감염병 환자 간호 기간(F=6.914, p=.001),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t=3.151,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연령(F=3.678, p=.027), 근무부서 이동횟수(F=3.547,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업무성과는 결혼상태 (F=-2.426, p=.016), 근무부서 이동 경험(F=2.026, p=.044), 근무부서 이동횟수(F=3.017, p=.032),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F=2.307,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변수간의 상관관계 결과, 간호근무환경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1, p<.001)가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인식과 간호업무성과도 양의 상관관계(r=.480, p<.001)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도 양의 상관관계(r=.595, p<.001)를 보였다. 5.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Moedel 1에서 근무부서 이동횟수 1~2회인 경우(β=.291, p=.040), Model 2에서 간호근무환경인식이 높을수록(β=.382,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Model 1에서 기혼인 경우(β=.243, p=.002), 근무부서 이동횟수 1~2회인 경우(β=.405, p=.004)와 3~4회인 경우(β=.295, p=.037),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경우(β=.214, p=.005)에서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Model 2에서 기혼인 경우(β=.171, p=.017), 근무부서 이동횟수가 1~2회인 경우(β=.334, p=.009), 3~4회인 경우(β=.290, p=.025)가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간호근무환경인식이 높을수록(β=.415, p<.001) 간호업무성과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종감염병은 지속되고 있으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에 접어들었으나,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근무환경의 변화는 환자에게 제공될 간호의 질 또한 저하될 수 있어, 감염병 시기 최전선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와 이들을 믿고 돌봄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안전 및 양질의 간호를 위하여 감염병 시기 간호근무환경 개선과 간호직의 전문성을 존중하기 위한 근무환경의 기준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감염병 시기 감염병 전담병원의 간호근무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 :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근무환경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 간호업무성과-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f Nurses in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Nursing Performa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손세라-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