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f Nurses in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Nursing Performance
Author
손세라
Advisor(s)
이한이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감염병 전담병원의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서울시 소재 1곳의 종합병원에서 2022년 7월 18일부터 2022년 8월 1일까지 감염병 환자를 6개월 이상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 간호근무환경인식은 Devillis(2012)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영주(2019)가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에서 개발한 의료기관 평가항목 중 국제환자안전목표(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의 6개 영역과 부합하는 항목을 박현희(2016)가 설문지 형태로 작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는 Van de Ven & Ferry(1980)의 개인성과구성요소를 기초로 고유경, 이태화, 임지영(200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으로는 평균 연령은 30.5±5.7세였으며, 총 임상경력은 평균 7.2±5.6년, 현재 근무하는 병원에서의 임상경력은 평균 6.4±5.3년 이었다. 2020년 3월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 이후 소속부서 변경 경험은 45명(28.0%)가 있었고, 116명(72.0%)은 없었다. 근무부서가 변경된 경험은 148명(91.9%)이 있었고, 5회 이상 이동 경험이 있는 대상자도 35명(21.7%)있었다.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14명(70.8%)이었다. 2. 대상자가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은 Likert 척도 4점 만점 중 평균 2.84±0.46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Likert 척도 5점 만점 중 4.53±0.50점이었으며, 간호업무성과는 Likert 척도 5점 만점 중 평균 4.08±0.53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로는 간호근무환경은 총 임상경력(F=5.582, p<.001), 현 병원 임상경력(F=2.949, p=.022), 근무부서 이동횟수(F=3.855, p=.023), 감염병 환자 간호 기간(F=6.914, p=.001),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t=3.151,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연령(F=3.678, p=.027), 근무부서 이동횟수(F=3.547, p=.01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업무성과는 결혼상태 (F=-2.426, p=.016), 근무부서 이동 경험(F=2.026, p=.044), 근무부서 이동횟수(F=3.017, p=.032),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F=2.307,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변수간의 상관관계 결과, 간호근무환경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1, p<.001)가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인식과 간호업무성과도 양의 상관관계(r=.480, p<.001)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도 양의 상관관계(r=.595, p<.001)를 보였다. 5.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Moedel 1에서 근무부서 이동횟수 1~2회인 경우(β=.291, p=.040), Model 2에서 간호근무환경인식이 높을수록(β=.382,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Model 1에서 기혼인 경우(β=.243, p=.002), 근무부서 이동횟수 1~2회인 경우(β=.405, p=.004)와 3~4회인 경우(β=.295, p=.037), 감염병 환자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경우(β=.214, p=.005)에서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Model 2에서 기혼인 경우(β=.171, p=.017), 근무부서 이동횟수가 1~2회인 경우(β=.334, p=.009), 3~4회인 경우(β=.290, p=.025)가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간호근무환경인식이 높을수록(β=.415, p<.001) 간호업무성과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종감염병은 지속되고 있으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에 접어들었으나,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사는 간호근무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간호근무환경의 변화는 환자에게 제공될 간호의 질 또한 저하될 수 있어, 감염병 시기 최전선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와 이들을 믿고 돌봄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안전 및 양질의 간호를 위하여 감염병 시기 간호근무환경 개선과 간호직의 전문성을 존중하기 위한 근무환경의 기준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감염병 시기 감염병 전담병원의 간호근무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는 연구라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 : 감염병 전담병원, 간호근무환경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 간호업무성과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36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3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