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0

청소년의 어휘력 수준에 따른 온라인 읽기 전략 인식 양상 분석

Title
청소년의 어휘력 수준에 따른 온라인 읽기 전략 인식 양상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Online Reading Strategies Recognition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s of Adolescents
Author
최지연
Advisor(s)
김정선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reading strategies recognition patterns of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of vocabulary and online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vocabulary recognition.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prior studies on vocabulary and reading strategies were reviewed. It is required to diagnose and derive detailed causes and solutions for the decline in learners' vocabulary has emerged as an urgent educational problem.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ragmentary methodologies for enhancing vocabulary, various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what factors are fundamentally related to vocabular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e how vocabulary works in a 'reading' situation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vocabulary, and among th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online reading', the dominant reading environment in the digital era. Chapter II examined the concept of vocabulary,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strategy and vocabulary, and online reading. As seen in this chapter, vocabulary is a total knowledge of the form, meaning, and utility of vocabulary, and is closely related to reading ability. In addition, vocabulary was also related to reading strategies. Vocabulary influenced the choice of reading strategy, and reading strategy use and reading strateg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and preservation of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online reading had a unique reading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at of print media, and accordingly, an independent and characteristic reading strategy different from traditional reading strategies was required. Chapter III presents research subjects and procedures, research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on vocabulary and online reading strategies was distributed to 272 1st high school students, and a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ults as statistical data. Chapter IV examined the perception of using online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vocabulary and vocabulary recognition. The resul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use of strategies by category for all learners, the perception of use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overall reading strategies was relatively high, while the support strategies were low enough to be less than normal (3.0). It can be assumed that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strategies among the support strategies that seem to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fast and immediate online reading. However, support strategies are important strategies that actively support learners' reading to enable more skilled rea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learners at all levels about the use of support strategies when educating reading strategi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online reading strategy perception according to vocabulary level, the upper group of vocabulary showed higher perception of overall reading strategy and problem-solving strateg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n the lower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in all process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among them,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strategies used during reading. In particular, learners with high vocabulary spend more time and cognitive effort to understand text when reading online text than learners with low vocabulary, and in addition, they are actively judging logic and validity without unconditionally accepting text. This suggests that when educating on reading strategies in the educational field, students with low vocabulary should be given priority to overall reading strategies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It also suggests that they should focus on the strategies of the process during reading, especially on how to read the text carefully and critically, and on train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ose processes and enable them to use the strateg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online reading strategies by vocabulary group, the strategy perceived most by upper learners was the strategy to 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while the strategy perceived most by lower learners was the strategy to utilize information given in the text. This proves that upper learners read by interconnecting knowledge by activating what they have known when viewing text online, while lower learners read relatively focusing on a single text.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strategies such as taking notes, printing and marking underlines or circles, and visualizing information were used most immaturely by both upper and lower learners of vocabular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guide both learners of both levels to use additional strategies such as handwriting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o help them understand, such as when dealing with print media text, in online text reading.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tudents' vocabulary perception on online reading strategies, it was predicted that the perception of vocabulary has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reading strategies, problem-solving reading strategies,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ocabulary perceived by students themselves, the higher the confidence in improving vocabulary, and the more they thought vocabulary was helpful for online reading, the global reading strategy, the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the support strategy were affected in order.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faith in one's vocabulary, confidence in improvement, and understanding the need for online reading strategies help use online reading strategies. And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learners' attitudes toward vocabulary play an important role in online read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ise practical educational measures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so that students can increase their awareness of not only cognitive abilities but also these affective areas.|이 연구는 어휘력 수준이 상 수준인 집단과 하 수준인 집단의 온라인 읽기 전략 인식 양상 및 어휘력 인식에 따른 온라인 읽기 전략 간의 관계를 살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어휘력과 읽기 전략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학습자의 어휘력 저하가 시급한 교육 과제로 대두된 것에 대한 세밀한 원인 진단 및 해결 방안 도출이 요구되는데, 그간 어휘력 신장을 위한 단편적인 방법론을 다룬 선행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것에 반해 근본적으로 어휘력이 어떠한 요인과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각도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고는 어휘와 떼놓을 수 없는 ‘읽기’ 상황 속에서 어휘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고자 하였고, 그중 디지털 시대 지배적인 읽기 환경인 ‘온라인 읽기’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어휘력의 개념과 읽기 능력 및 읽기 전략과 어휘력의 관계, 온라인 읽기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살펴본 바로, 어휘력은 어휘의 형태·의미·화용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으로서 읽기 능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아울러 어휘력은 읽기 전략과도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어휘력이 읽기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읽기 전략 사용과 읽기 전략 교육이 어휘의 학습과 보존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한편 온라인 읽기는 인쇄 매체 읽기와는 다른 고유한 읽기 환경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전통적 읽기 전략과는 다른 독자적이고 특징적인 읽기 전략이 요구되기도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 및 절차,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어휘력과 온라인 읽기 전략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적인 자료로써 검증하는 차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어휘력과 어휘력 인식에 따른 온라인 읽기 전략 사용 인식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와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범주별 전략 사용 인식을 분석한 결과, 문제해결 전략과 전반적 읽기 전략의 사용 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지원 전략은 보통(3.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낮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지원 전략 중 빠르고 즉각적인 온라인 읽기의 특성과 다소 동떨어진 듯한 전략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지원 전략은 학습자의 읽기를 능동적으로 지원하여 더 숙련된 읽기를 가능하도록 돕는 중요한 전략이므로, 국어 교육 현장에서 읽기 전략 교육 시에 모든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원 전략 사용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다. 둘째, 어휘력 수준에 따른 온라인 읽기 전략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휘력 상위 집단은 하위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전반적 읽기 전략, 문제해결 전략에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또 읽기 전-중-후의 전(全) 과정에서 읽기 전략 사용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중에서도 읽기 중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어휘력 상 수준 학습자는 하 수준 학습자보다 온라인 텍스트를 읽을 때 텍스트 이해를 위해 시간과 인지적 노력을 더 많이 들이며, 이와 더불어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능동적으로 논리성과 타당성을 판단하며 읽고 있다고 예측되었다. 이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 전략에 대한 교육을 시행할 때 어휘력 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전반적 읽기 전략과 문제해결 전략을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하고, 특히 읽기 중 과정의 전략, 그중에서도 텍스트를 신중하고 비판적으로 읽는 방법과 그러한 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에 집중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어휘력 집단별 온라인 읽기 전략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위 학습자의 경우 가장 높게 인식한 전략이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전략인 것에 반해, 하위 학습자가 가장 높게 인식한 전략은 글에 주어진 정보 활용하기 전략으로 상반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상위 학습자는 온라인에서 텍스트를 볼 때 그간 알고 있었던 것을 활성화하여 지식을 상호 연결하며 읽는 반면, 하위 학습자는 상대적으로 단일 텍스트에 집중하여 읽는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한편 메모하기, 인쇄하여 밑줄이나 동그라미 표시하기, 정보 시각화하기 등의 전략은 어휘력 상위 및 하위 학습자 모두가 가장 미숙하게 사용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보아, 양 수준 학습자 모두에게 필요한 경우에 온라인 텍스트 읽기에서도 인쇄 매체 텍스트를 다룰 때와 같이 이해를 돕기 위한 필기나 정보 시각화 등의 부가적 전략을 사용할 것을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의 어휘력 인식이 온라인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결과, 어휘력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 읽기 전략, 문제해결 읽기 전략, 지원 읽기 전략에 각각 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즉 학생 스스로 인식하는 어휘력이 높을수록, 어휘력 향상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어휘력이 온라인 읽기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전반적 읽기 전략, 문제해결 전략, 지원 전략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나타났다. 결국 자신의 어휘력에 대한 믿음, 향상에 대한 자신감, 온라인 읽기 전략에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온라인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어휘력을 대하는 학습자들의 태도가 온라인 읽기를 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의적 영역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안을 구안할 것이 요구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62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