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0

야마모토 리켄의 건축적 요소가 LH 강남 3단지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야마모토 리켄의 건축적 요소가 LH 강남 3단지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Architectural Elements of Riken Yamamoto on the Community Formation of Apartment Building in LH Gangnam Block 3
Author
도원정
Alternative Author(s)
Do, Won Jung
Advisor(s)
황희준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고령인구와 1~2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가족의 형태는 분화되고 가족 공동체는 깨어지고 있다. 가정은 사회와 연결의 역할을 지속하기 어려워졌고 도시 주거는 고립화 되어간다. 인간의 외로움은 타인을 향한 적대감과 연관성이 높다. 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는 도시 내에서 차별과 배제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과 함께 사회적 경제적으로 고립되어 사회적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야마모토 역시 민간주택업자와 시장의 논리에 맡겨지는 일본의 주택정책을 건축가의 입장에서 바라보면서 새로운 주거형태인 ‘지역사회권’을 제안하였다. 야마모토는 여러 프로젝트를 거쳐 오면서 지역사회권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하였고 2013년 공공임대주택 강남 3단지에도 적용하였다. 공동체성은 지역성과 공동의 유대, 사회적 상호작용과 유기체의 속성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된다. 강남 3단지는 야마모토 리켄이 공동체 형성을 돕기 위한 지역사회권 개념을 담은 건축적 요소들을 적용하였다. 야마모토가 지역사회권 개념을 성취하기 위해 적용한 건축적 요인들이 지역 주민들의 공간 활용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여부와 함께 서로 다른 건축적 요소들이 적용된 저층부와 고층부의 차이를 비교하는 실증분석을 진행하여 일부 공간 활용에 대한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현장답사를 통한 분석에서 공유공간인 공부방, 공동작업장, 텃밭, 옥상정원은 반공적 공간이지만 일정기간 반사적 공간으로 활용되는 점에서 부정적인 사용으로 이어졌고 반사적 공간인 사랑방의 투명한 유리는 불투명하게 왜곡되어 사용하여 사랑방이라는 반사적 공간은 완전한 사적 공간이 되었다. 실증분석 연구에서 유의미한 결과는 커뮤니티 공간 활용 측면에서 저층부 주민들은 접근성이 좋은 열린마당을 중심으로 긴밀한 소통이 일어날 수 있는 반공적 공간을 주로 이용한 반면, 고층부는 가벼운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공적공간을 주로 이용하는 차이를 보였고 공동체성 형성의 측면에서는 강남 3단지에 대한 자부심과 장기거주에 대해 저층부에서의 긍정적 답변을 도출하였으나 그 외, 실증분석연구를 통해 저층부와 고층부의 서로 다른 건축적 요인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간 활용측면과 공동체성 형성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 없이 저층부와 고층부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공간 활용측면이나 공동체 형성측면에서 바라본 실증분석에 대한 가설에는 충분히 충족 되지 못하였다.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않은 상태에서 위축된 심리는 고립감과 외로움을 가중시킨다. 이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공간 활용과 공동체 형성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강남 3단지가 건축되고 9년이 지난 시점에서 야마모토가 추구하는 지역사회권의 건축적 요소들이 지역 주민들의 공간 활용과 공동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주요어 : 야마모토 리켄, 지역사회권, 저층부, 고층부|Because of an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family types are diversifying, and family communities are breaking down. Families are finding their role of being a link to society difficult to perform, and urban dwellings are becoming isolated. Human loneliness is highly correlated with hostility toward others. Residents of public rental housing often experience social conflict due to social and economic isolation along with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due to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city. As an architect, suggested “Local Community Area” as a new form of housing after examining Japan’s housing policy. As Yamamoto went through several projects, he embodied the concept of “Local Community Area” and applied it to Gangnam complex 3 of public rental housing in 2013. Communality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ity, common bonds, social interactions, and organic properties. For Gangnam complex 3, Yamamoto applied architectural elements containing the concept of “Local Community Area” to help form a sense of communit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hich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ow and high-rise to which different architectural elements were applied, along with an analysis on whether the architectural factors that Yamamoto applied to achieve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sphere have an impact on the use of space by local residents and help to form a community.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some items on space utilization. The site survey showed that shared spaces such as the study room, common workshop, kitchen garden, and rooftop garden were used as semi-private spac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lthough they are semi-public spaces, indicating negative use. The transparent glass of Sarangbang which is a semi-private space, was opaque. With distorted use, the semi-private space of the Sarangbang became a completely private space.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In terms of community space utilization, the residents of the low-rise mainly used the semi-public spaces where close communication could occur centered on the ‘Yeolin madang’ with good accessibility, while those of high-rise mainly used the public spaces where. In terms of community formation, positive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the residents of the low-rise regarding in Gangnam complex 3, but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no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e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architectural factors between the low and high-rise.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or community formation was not fully satisfactory. A depressed psychology, stemming from not being economically prosperous, adds to the sens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The psychological factors had some influence on space utiliz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This study observed the influence of the architectural elements of the 'Local Community Area' pursued by Yamamoto on the space utilization and community formation of local residents nine years after Gangnam apartment complex 3 was built. Keywords: Local Community Area, Riken Yamamoto, low-rise, high-ris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67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