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2 0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among the Low-income Elderly
Author
박현남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 Nam
Advisor(s)
허수연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노인은 경제발전의 주역으로 청장년기 시기의 대부분을 경제활동과 가계 안정을 위한 일 중심적인 생활로 보내왔다. 또한 한국사회의 전반적으로 낮은 복지제도로 인해 가족의 부양을 담당하면서 노후에 대한 경제적인 대책 역시 충분히 세우기 어려웠던 특징을 지닌다. 이에 노년기에 대한 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로 노후의 여가를 맞이하게 되었고 노후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가시간을 그저 무료한 시간으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저소득층 노인의 경우 현재까지 이어지는 경제적 불안과 가족 부양의 책임감 등으로 활발한 여가활동에 참여하거나, 적극적인 여가활동의 기회를 갖는데 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대부분의 노인 여가 프로그램은 노인의 소득에 따른 특성 등 노인 계층이 가지는 다양한 어려움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고 제공된 결과 저소득층 노인들의 여가 프로그램의 접근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활동 경험 및 여가를 통한 생활 만족감에 대해 알아보고,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5명의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가활동의 참여 경험과 기회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여가활동을 가로막는 요소와 여가활동의 욕구, 여가활동 참여를 통한 생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여가활동 참여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 노인은 무료한 여가시간을 집안일, 산책, TV 시청과 같은 소극적인 활동으로 채우고 있으며 건강과 경제적 문제로 인해 여가활동 참여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현재까지도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노인의 경우, 여가활동 참여 시간이 맞지 않거나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지 못한 경우도 있었으며 노인들은 부탁을 하거나, 거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기하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또, 노년기의 여가활동을 무의미하게 여겨 스스로 포기하는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은 젊은 시절부터 여가활동보다는 가사일 혹은 경제활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으며 그로 인해 여가활동을 통해 부족했던 배움을 채우고자 하는 소망이 있다는 것 역시 확인되었다. 여가활동을 참여하는 노인들은 여가활동을 통해 건강을 회복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느끼며 삶의 활력을 느끼는 등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또한, 동료들과 어울리는 즐거움과 이웃들과의 친밀감을 형성함으로써 여가활동이 주는 삶의 의미를 진술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저소득층 노인의 여가활동의 장벽을 낮춰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상의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찾아가는 여가 프로그램 혹은 이동서비스를 병행하는 여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제활동을 지속해야 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말 및 유동적인 시간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기회를 늘려야 할 것이다. 셋째, 여가 참여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허물기 위해 노인이 주체적으로 욕구를 표출하도록 유도하고 욕구에 맞는 여가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심리적 위축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배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저소득 노인이 경험할 수 있는 소외와 고독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동아리 형식의 소규모 활동을 지원, 확대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느끼고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지원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내 여가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노인들에 대한 지방자체단체 및 복지기관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경제적 지원을 통한 사각지대 발굴도 중요하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후 더욱 심각해진 심리적 지원을 위해 여가활동 및 동료들과의 관계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Currently, the elderly are the main players in economic development, and have spent most of their youth as a work-oriented life for economic activities and family stability. In addition, due to the overall low welfare system in Korean society, it was difficult to fully establish economic measures for old age while responsible for supporting families. As a result, they faced leisure time in old age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y often spend their leisure time, which accounts for most of their old life, as just a free ti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derly from low-income families, there are more restrictions on participating in active leisure activities or having opportunities for active leisure activities due to economic anxiety and responsibility for family support. On the other hand, most leisure programs for the elderly so far have been provided without sufficiently considering various difficulties of the elderly,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s income, and as a result, the accessibility of leisure programs for the low-income elderly is fou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bout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low-income elderly through leisure, and to propose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the low-income elderly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Wit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of leisure activ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low-income elderly people living in Seoul.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hinder leisure activities, the desire for leisure activities, and changes in life through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practical measures were sought to increase access to leisur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lderly from low-income families fill their free time with passive activities such as housework, walking, and watching TV, and it is difficult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due to health and economic problems.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continue economic activities to this day, there were cases where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ime was not right or the desired program was not found, and the elderly tended to give up actively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due to fear of rejec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ase of giving up leisure activities in old age by considering themselves meaningles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or economic activities than leisure activities since they were young, and thus had a desire to fill in the learning that was lacking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were having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recovering their health through leisure activities,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as members of society, and feeling vitality in life. In addition, it stated the meaning of life given by leisure activities by forming the joy of hanging out with colleagues and intimacy with neighbors. .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make policy suggestions to lower the barriers to leisure activities of the low-income elderly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various leisure program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isiting leisure program or a leisure program that combines mobile services for the elderly from low-income families suffering from health difficul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by operating programs on weekends and flexible hours for the elderly who have to continue economic activities. Third, in order to break down the psychological barrier to leisure participation,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elderly to express their desire independently and to support and consider to overcome psychological atrophy by linking leisure programs that suit their needs. Fourth, it is necessary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society and seek support for various leisure programs by supporting and expanding small-scale activities in the form of clubs so that low-income seniors can overcome alienation and loneliness. Finally, active attention from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institutions is needed for the elderly who are alienated from leisure in the region. Finding blind spots through economic support is also important, but it should be possible to support leisur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for psychological support that has become more serious since the COVID-19 pandemic.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95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2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