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연숙-
dc.contributor.author상금-
dc.date.accessioned2023-05-11T12:05:49Z-
dc.date.available2023-05-11T12:05:49Z-
dc.date.issued2023.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73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93-
dc.description.abstract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어린이 환경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는데 특히 어린이박물관은 디지털을 활용하여 어린이의 재미와 흥미를 자극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박물관은 어린이들이 만지고 생각하는 과정에서 얻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재미와 흥미를 느끼며, 교육과 놀이를 통해 창의력을 향상하고 인지발달을 유도하는 공간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는 공간과 사용자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특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공간 경험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에 따른 체험 전시공간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의 디자인적 특성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공간적 특성을 종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 전시공간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는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 전시공간의 표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성, 복합성, 네트워크성, 조작가능성, 감각성 5가지 특성이 나타났다. 둘째,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 특성은 상호작용성 > 복합성 > 감각성 > 조작 가능성 > 네트워크성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의 표현 특성 중 상호작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간에는 영상, LED 램프, 사운드 등의 요소를 사용해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몰입감을 있는 체험을 유도하지만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요소는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행동 동작을 통해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상호작용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통한 체험 요소가 보다 더 탐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의 표현 특성 중 네트워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시물을 원격 제어하는 요소를 제공하지만 인터랙티브 미디어 연출 방식이 비슷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공간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사례에서 앱과 QR코드 등을 이용한 전시물의 정보를 보완하는 요소가 나타나지 않아서 네트워크성이 낮게 조사되었다. 넷째, 어린이박물관 체험 전시공간은 입체영상, 터치스크린, 애니메이션 등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연출 방식을 활용하고, 터치스크린과 프로젝션 등을 통한 직접 체험공간과 영상, 사진 등을 볼 수 있는 간접 체험공간이 모두 제공되어 이용자들이 한 공간에서 다양한 체험전시 유형을 경험할 수 있는 복합성이 높게 나타났다. 체험 전시공간에서 이미지, 입체투영, 홀로그램 등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반복적으로 활용하고, 인터랙티브 미디어 환경 구축을 통해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을 자극해 사용자가 직접 공간을 체험하도록 유도한다. 공간 내 시설 재료는 목재, 부드러운 가죽, 잔디 및 기타 재료가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융합되어 감각 기관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감각성은 높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박물관 체험 전시공간을 분석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박물관 체험 전시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체험 전시공간의 신규 개관이나 인테리어 사례가 많지 않다. 또한 2016년 이전 박물관 시설은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사례가 적어 사례 선정에 있어서 제한적이다. 향후 관람 대상별, 기능별 등다양한 범위를 설정하고 보다 많은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의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박물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체험공간을 통한 사용자 설문 만족도 조사나 심층 인터뷰 조사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수렴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brought new changes to children's environments. Particularly, the children's museum uses digital to stimulate children's fun and interest. Also, the children's museum makes children feel fun and interested through direct experience gained in the process of touching and thinking. And it is a space that enhances creativity and induces cognitive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and play. Interactive media acquires learning functions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based on the basic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of space and users. Furthermore, it stimulates the user's emotions and expands the space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And it is to figure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interactive media applic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the preceding study analysis was confirmed.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interactive media were synthesized. A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was derived. Also, based on the checklist,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was analyzed. As a result, five characteristics interactivity, complexity, network, manipulability, and sensitivity were found.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appeared in the order of interactivity > complexity > sensibility > manipulability > network. Amo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interactivity was the highest. In the space, elements such as videos, LED lamps, and sounds are used to stimulate users' curiosity and induce an immersive experience. However, the element that users can communicate with was low. Therefore, while interacting with interactive media through the user's behavior, experimental elements through the user's communication space should be explored more. Third, among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the network was found to be the lowest. It provides elements to remotely control exhibits, but the interactive media directing method was similar. And it turned out that the space used for this was also small. Also, in most cases, the network was investigated low because no element supplemented the information of exhibits using apps and QR codes. Fourth, the children's museum'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tilizes interactive design methods such as stereoscopic images, touch screens, and animations. Both a direct experience space through touch screens and projections, and an indirect experience space where you can see videos and photos are provided. Therefore, it has a high complexity that allows users to experience diverse experience exhibition types in one space. Interactive media such as images, stereoscopic projections, and holograms are repeatedly utilized in the experience exhibition space. And through the interactive media environment construction, induces the user to directly experience the space by stimulating the user's vision, hearing, and touch. Facility materials in the space are wood, soft leather, grass, and other materials. These are fused with interactive media to stimulate sensory organs, and they have high sensibility so that users can approach them. In this study, the children's museum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is analyzed. And we tri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museum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Currently, there aren't many new openings or interior cases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in Korea. Also, in the case of museum facilities before 2016, the selection of cases is limited because there are few cases using interactive media. In the future, diverse ranges such as by audience and function will be set. And based on more cases, research on the children's museum using domestic interactive media should be conducted. Also, diver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ollect user opinions through user survey satisfaction surveys or in-depth interview surveys with experience space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인터랙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박물관의 체험전시 공간 특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 Experience Exhibition Space using Interactive Media-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상금-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HANG J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실내건축디자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