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 0

현대 대형카페 공간에 나타난 영역 구성 및 프로그램 구성 분석 연구

Title
현대 대형카페 공간에 나타난 영역 구성 및 프로그램 구성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ea Composition and Program Composition of Modern Large Cafe
Author
백정재
Alternative Author(s)
Baek, Jeong Jae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상품보다는 다양하고 새로운 활동을 통한 경험에 중시하고 경험적 가치를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것이 사회적 추세로 떠오름에 따라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속에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카페는 단순히 음료를 즐길 수 있는 공간에서 카페 공간 자체를 즐길 수 있고, 다양한 문화생활과 체험을 경험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소비환경의 변화로 인해 현대의 카페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넓고 쾌적한 공간으로 대형화되었고 여러 프로그램과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대형카페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카페 공간은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여 차별화된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이 형성되었고 프로그램 및 기능의 구성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 공간 경쟁의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 대형카페 공간에 나타나는 영역 구성과 프로그램 구성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실질적인 공간 구성 유형을 모색하여 향후 대형카페 공간을 구성할 시 고려할 사항들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공간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이 소비되는 공간으로 성장한 대형카페 공간을 영역별로 구분 및 분류하고 프로그램과 기능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모색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며, 이를 통해 향후 대형카페 공간을 구성할 시 고려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대상 및 범위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카페, 영역 구성 그리고 프로그램 구성 등 본 연구의 키워드를 도출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카페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카페의 역사 및 배경과 국내 카페의 변화 그리고 카페의 대형화 현상 등을 조사하고 파악하여 대형카페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에 영역 구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영역의 정의 및 개념에 대해 탐구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영역’이라는 단어를 정의하였으며, 대형카페 공간을 구성하는 영역을 통로(Paths), 경계(Edges), 구역(Districts), 결절점(Nodes), 그리고 랜드마크(Landmarks) 등 다섯 가지로 구분 및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구성과 그 유형에 대한 문헌 고찰을 진행하는 것을 통해 대형카페 공간의 프로그램 및 기능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 탐구하였고, 분리형, 분산형, 중첩형 등 세 가지의 프로그램 구성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연구 설계를 하였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세부적으로 서술하였으며, 연구의 범위에 따라 선정된 사례대상지의 개요를 정리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제2장에서 진행한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영역 구성 구분 및 분류와 프로그램 및 기능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조사, 현장 조사 그리고 도면 분석을 통해 진행되며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경기도 지역에 가장 많은 카페가 위치해있기 때문에 지역적 범위를 경기도로 한정하였으며, 카페를 연면적을 기준으로 소형, 중형, 대형으로 분류하였고 분류 기준에 따라 연면적이 3,000㎡ 이상인 대형카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통해 면적 범위를 한정하였다. 하지만 사례대상지 조사 결과, 경기도 지역에 연면적이 3,000㎡ 이상인 카페의 수가 많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여 3,000㎡에 근접한 2,500㎡까지는 허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적 범위와 면적 범위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카페의 위치 및 연면적 등을 정부에서 제공하는 ‘건축물 대장’을 통해 확인 가능한 대형카페로 대상을 한정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구축한 분석의 틀을 기반으로 연구의 범위에 따라 선정된 10곳의 사례대상지 별 영역 구성 구분 및 분류와 프로그램 및 기능 구성 유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로메디 파씨니(Romedi Passini)의 건축 차원의 다섯 가지 영역 구성들이 대형카페 공간의 영역 구성을 분류 및 분석하기에 적절한 접근 방법일 것으로 판단하여 로메디 파씨니(Romedi Passini)의 이론을 활용하고자 하며, 대형카페 공간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통로(Paths), 경계(Edges), 구역(Districts), 결절점(Nodes), 랜드마크(Landmarks) 등 총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후, 각각의 영역을 형성하는 프로그램 및 기능들을 분석하여 분리형, 분산형, 중첩형 등 어떠한 방식으로 대형카페 공간이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종합분석을 통해 10곳의 사례대상지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과 공통점을 모색하고 분석하였다. 대형카페 공간의 개요, 프로그램 및 기능, 면적, 총 좌석 수, 좌석 한 개당 차지하는 평균 면적, 층수, 동선 유형, 계단 형태, 보이드(void) 구조 등을 종합하여 분리형, 분산형, 중첩형 등 유형별로 정리하였고 이를 종합하여 향후 대형카페 공간을 구성할 시 고려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제언하였다. 현대 대형카페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징들과 고려할 사항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0곳의 대형카페의 평균 면적은 3,215㎡이고, 평균 좌석 수는 430개이며, 좌석 한 개당 차지하는 면적은 7.47㎡이다. 분리형 대형카페의 평균 면적은 3,232㎡, 평균 좌석 수는 382개이고 좌석 한 개당 차지하는 평균 면적은 8.46㎡이다. 분산형 대형카페의 평균 면적은 3,069㎡, 평균 좌석 수는 484개이고 좌석 한 개당 차지하는 평균 면적은 6.34㎡이다. 중첩형 대형카페의 평균 면적은 3,264㎡, 평균 좌석 수는 436개이고 좌석 한 개당 차지하는 평균 면적은 7.49㎡이다. 둘째, 분리형, 분산형, 중첩형 유형별로 프로그램과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을 시각적, 공간적, 경험적 등 세 가지 측면으로 도출하였다. 시각적 측면은 마감재, 가구 그리고 조명 등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공간적 측면은 벽, 층, 그리고 보이드(void) 구조 등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적 특징들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경험적 측면은 시각적, 공간적 측면에서 활용한 방법들을 통해 소비자들이 대형카페 내부공간에서 분리, 분산, 중첩 등을 느끼고 경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다. 셋째, 현대의 대형카페 공간의 동선은 확산형, 방사형 그리고 순환형 등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다. 분리형 대형카페는 주로 확산형 형태로 동선이 구성되어있다. 분산형은 대형카페는 주 출입구, 카운터 및 작업대 혹은 한 곳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향하는 방사형 동선이 구성되어있다. 중첩형 대형카페는 보이드(void) 구조를 따라 순환하는 형태로 동선이 구성되어있으며, 소비자들이 여유롭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도록 순환형 동선과 확산형 동선으로 구성되어있다. 넷째, 계단 형태는 ㄷ자 꺾은 계단, L자 꺾은 계단, 계단 참이 있는 곧은 계단(일자형) 등 크게 세 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분리형 대형카페의 계단은 ㄷ자와 L자 꺾은 형태로 구성되어있으며, 주로 주 출입구 근처와 내부공간 안쪽으로 두 곳에 따로 구성되어있다. 분산형 대형카페는 단층으로만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따로 계단이 구성되어있지 않다. 중첩형 대형카페는 계단 참이 있는 곧은(일자형) 형태의 계단을 주 계단으로 보이드(void) 구조를 활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식음의 기능과 결합하였다. 또한, ㄷ자와 L자 꺾은계단 형태로 부 계단을 따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분리형 대형카페는 수직적으로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키기 위해 보이드(void) 구조를 활용하지 않는다. 그에 반해, 중첩형 대형카페는 보이드(void)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유형이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후속연구에서 다뤄야 할 점들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의 소비 특징에 따라 벌크업 사이징, 즉, 대형화된 카페 공간에 프로그램과 기능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고 유형별로 나타나는 실질적인 특징들과 공통점을 모색하여 대형카페 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을 도출하고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지의 지역적 범위를 경기도로 제한하였다는 점, 그리고 대형카페의 수를 10곳으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국내 대형카페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형카페 공간의 지역적 범위를 국내 전체로 확장하고, 사례대상지의 수를 더욱더 늘려 대표성을 키우며, 또한 각 영역의 세부적인 면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A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value experience rather than products has emerged as a social trend, Cafes, which have become a culture in our lives today, have begun to transform into a space where people can enjoy drinks and experience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Due to these change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modern cafes have been enlarged into a wide and pleasant space to provide consu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the number of large cafes is constant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large cafe space gradually changed and developed and various areas were formed to form a differentiated space. The composition of programs and functions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spatial competition is being advan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 practical type of space composition through analyzing the area composition and program composition that appear in modern large cafe spaces and present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large cafe spaces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rge cafe spaces that have grown into spaces where various experiences are consumed so that consumers can enjoy the space itself, and analyze how programs and functions are organized and each type of characteristic. Matters to be considered should be derived and suggested when constructing a large cafe space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one, it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the subject and scope of this study. In Chapter two, the keywords of this study, such as cafe, area composition, and program composition, were derived and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cafes,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cafes, changes in domestic cafes, and the phenomenon of large-scale cafes were investigated and identified so that the current status of large cafes could be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composition of the area, the word 'area' used in this study was defined, and the areas constituting the large cafe space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Paths, Edges, Districts, Nodes, and Landmarks. Lastly,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program composition, it analyzed how the programs and functions of the large cafe space were composed, and derived three types of program composition: Separate, Distributed, and Overlapping. In Chapter three,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prior to research analysis,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an overview of the selected case targets was summariz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study. In addi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areas deriv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conducted in Chapter two, and the analysis method of programs and functions. Research methods a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field surveys, and drawing analysis, and the scope of research is as follows. Since the largest number of cafes are located in Gyeonggi-do in Korea, the regional scope was limited to Gyeonggi-do. Cafes were classified into small, medium, and large based on the total area, and the area range was limited by targeting large cafes with a total area of 3,000㎡ or mor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However, as a result of the case site survey, considering that there are not many cafes with a total floor area of more than 3,000㎡ in Gyeonggi-do, this study intend to allow up to 2,500㎡ close to 3,000㎡. Finally, in order to ensure the regional scope and area range, the target is limited to large cafes that can be checked through the "building ledger"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Chapter four,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in Chapter 3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study, the area composition classification of 10 selected cases, and the type of program and function composition were analyzed. Judging that Romedi Passini's five architectural area compositions are an appropriate approach to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area composition of large cafe spaces, this study tried to use Romedi Passini's theory, and classified the areas that make up large cafe spaces into five categories: Paths, Edges, Districts, and Nodes Land. After that, programs and functions forming each area were analyzed how large cafe spaces were formed, such as separation, distribution, and overlapping. In Chapter fiv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10 case target site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of each type were analyzed. The outline of large cafe spaces, programs and functions, area, total number of seats, average area per seat, number of floors, movement type, stair type, void structure, etc. were summarized by type, and items to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large cafe spaces were derived and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that appear in modern large cafe spac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rea of 10 large cafes is 3,215㎡, the average number of seats is 430, and the area occupied per seat is 7.47㎡. The average area of separated large cafes is 3,232㎡, the average number of seats is 382, and the average area occupied per seat is 8.46㎡. The average area of distributed large cafes is 3,069㎡, the average number of seats is 484, and the average area per seat is 6.34㎡. The average area of overlapping large cafes is 3,264㎡, the average number of seats is 436, and the average area occupied per seat is 7.49㎡. Seco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programs and spaces for each type of separation, decentralization, and superposition was derived in three aspects: visual, spatial, and empirical. The visual aspect is a method of utilizing elements that make up a space, such as finishing materials, furniture, and lighting. The spatial aspect is a method of utilizing structural features that make up space, such as walls, floors, and void structures. The empirical aspect is to organize a program so that consumers can feel and experience separation, dispersion, and overlap in the interior space of a large cafe through methods used in terms of visual and spatial aspects. Third, the movement of modern large cafe spaces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types: diffuse, radial, and cyclic. Detachable large cafes are mainly composed of diffusion-type routes. The distributed large cafe consists of a main entrance, counter, and a workstation, or a radial movement toward all directions. The superimposed large cafe consists of circulating routes along the void structure, and consists of circular and diffuse routes so that consumers can move freely and freely. Fourth,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stairs: a ㄷ-shaped bent staircase, an L-shaped bent staircase, and a straight staircase. The stairs of the separated large cafe are formed in a ㄷ-shape and L-shape, and are mainly composed of two separate places near the main entrance and inside the inner space. Since the distributed large cafe consists of only a single floor, there are no stairs. The overlapping large cafe was constructed using a void structure as the main staircase with a straight staircase and combined with the function of drinking and eating. In addition, auxiliary stairs were separate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ㄷ-shaped and L-shaped stairs. Fifth, the separated large cafe does not utilize a void structure to completely separate the space vertically. On the other hand, overlapping large cafes are a type that actively utilizes void structures. In Chapter six, it summariz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nd describ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points to be dealt with in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how programs and functions are organized in bulk-up size, that is, large cafe space, and derives and suggests matter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large cafes by analyzing for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entire large cafe in Korea in that the regional scope of the case target site was limited to Gyeonggi-do and the number of large cafes was limited to 10.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gional scope of large cafe spaces to the entire country, increase the number of case sites to increase represent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1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