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 0

현대 불교 공간의 비(非)일상성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 불교 공간의 비(非)일상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nusuality of Modern Buddhist Space – Using Shklovsky's defamiliarization-
Author
김진호
Alternative Author(s)
KIM, JINHO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Christian architecture is a building built in the west that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country. ‘So what can play that role in the East?’ followed by a question like this. Perhaps buddhist architecture is placed there. Religious architecture exists from the past in a state that reflects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lthough a buddhist is now behind in its numbers, korea has long belonged to Buddhist culture. The Three Kingdoms period, Unified Silla,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y way of Goryeo, even in Joseon, a country of Neo-Confucianism couldn't completely ignore Buddhism. It is an important and interesting task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history and spatial style of Buddhist culture that has been rooted in the Korean Peninsula for a long time. Through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Through Chapter 2,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hronological Buddhist spac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examined. In the process, the traditional Buddhist space represented by the sty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 Transitional Urban Temple Space, After the 21st centur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contemporary Buddhist space created by entering modern society through modern times. Then, what is the contemporary Buddhist space? If modern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are applied and separated from urban temple spaces, will they all be included in the scop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Buddhist space and analyzed its scope and form. Finally, it was organized into a traditional, transitional, and modern style. In the process, we concentrate on the Unusuality factors of contemporary Buddhist space, This phenomenon will be viewed based on Shkrovsky's unfamiliar process. What is unfamiliar here is the critical theory created by 20th century Russian formalists to discover true literary character through scientificization of literature. The principle is as follows. ‘breakaway from automated perception’, ‘lively perceptual activity’, ‘a deep understanding of the object’ a three-step process. In this study, this theory and concept are used as important tools for viewing contemporary Buddhist spaces where unfamiliar is detected. Through Chapter 3, set up methods and criteria for applying concepts and theorie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space. Through Chapter 4, analyze the three types of spaces derived, among Shklovsky's defamiliarization techniques, extraordinary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breakaway of automated perception' were found. In particular, that degree appeared a lot in modern styles. Furthermor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the remaining two processes that we were ‘defamiliarization’ with based on one target location of this type. It was analyzed based o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are used to analyze data. Through Chapter 5,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If you look at the summary of the interview, Items corresponding to ‘Q1’ and ‘Q2’ were examined through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When people appreciate and understand modern Buddhist spaces, The range of answers was wider than in everyday spaces and formed various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and in-depth thinking expansion occurs, such as based on one's own experience and imagination.This corresponds to 'lively perceptual activity' dur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efamiliarization theory. Next,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s of the senses related to "deep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ccurred. We organized people's responses and derived insights with three themes. The three themes mean different themes, If you look at the essence, there is a constant action of thinking about the Buddhist space, Attempts to make the essence of the object into intrinsic capital appeared consecutively. A series of results, It shows that a sensory effect corresponding to a 'deep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ccur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extraordinary modern Buddhist sp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effect that formalist critics tried to achieve in literature through defamiliarization is being shown in the modern Buddhist space. Through Chapter 6, Summarize a series of processes and results to conclude the topic. Finally,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is study summarizes the stylistic understanding and scope of contemporary Buddhist space, when people appreciate the modern Buddhist space where unusuality is the most dramatic, i saw the process of working the formalistic literary theory, "Taking it unfamiliar," happen. And it confirmed its appreciation and willingness to accept the Buddhist space from its traditional norms and out-of-form appearance. In this study, the fact that the subjects were in their 20s and 30s was quite meaningful. If unusuality in the 20th century's conceptual art field aroused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audience, For today's people, the unusuality nature of modern Buddhist space has been shown to work in the same way as it appeared in the art field of the 20th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establishing the stylistic aspects and meanings of contemporary Buddhist space and the fact that concepts that have already been established in other fields play the same role in modern Buddhist space.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as a small indicator in the examination of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modernization of Buddhist space and the expansion of missionary work in the future.|서방에서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잘 반영하여 담고 있는 건축물은 기독(基督) 건축이다. ‘그렇다면 동방에서는 무엇이 그 역할을 수행하나요’라는 질문이 뒤따라온다. 아마 불교(佛敎) 건축이 그 자리에 놓여 있을 것이다. 종교건축이란 과거부터 현재까지 그 지역의 문화와 특색을 잘 반영한 상태로 존재하는 건축물이다. 지금에서야 기독교에 그 수세가 밀리는 형국이지만, 우리나라는 오랜 시간 불교 문화권에 소속되어 발전을 이룩해 왔다. 삼국(三國)이 그러하였고 통일신라(統一新羅)와 후삼국(後三國), 고려(高麗)를 경유하여, 성리학의 나라 조선(朝鮮)조차도 불교를 온전히 등한시하지는 못했다. 이렇듯 한반도에 오랜 시간 뿌리를 내린 불교문화의 발전사와 공간적 양식을 들여다보는 행위는 중요한 것이며 꽤 흥미로운 작업이다. 1장을 통해서 연구를 실행하게 된 배경과 그 목적에 관하여 흐름을 정리하였다. 2장을 통해서 한반도에서 연대기적 불교공간의 발전사를 큰 흐름으로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조선 후기 양식으로 대변되는 전통 불교공간, 과도기적 형식인 도시형 사찰공간, 그리고 21세기 이후 근대를 지나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탄생하게 된 동시대 양식의 불교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대체 동시대 불교공간이란 무엇인가? 현대적 공법과 소재가 적용되고 도시형 사찰공간과 구분되는 지점이 있다면 전부 그 범주에 포함이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 불교공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를 타진하였고 그 범위와 형식적인 측면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그 유형을 전통의 형식을 답습하는 형식, 과도기적 형태, 현대적 양식으로 정리하였다. 그 과정에서 동시대 불교공간의 비일상적인 요인에 집중하였으며 이 현상을 쉬클로프스키의 ‘낯설게하기’ 기법의 작동 과정에 의거하여 바라볼 것이다. 여기서 낯설게하기란, 문학의 과학화를 이뤄 진정한 문학성을 발견하고자 20세기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이 창안해 낸 비평이론이며 작동 원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자동화된 인식의 탈피’, ‘생동감있는 지각활동’,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에 해당하는 세 가지 단계. 본 연구에서는 이 이론과 개념은 비일상성이 감지되는 동시대 불교공간을 바라보는데 있어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3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개념과 이론을 공간에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방법과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했다. 4장에서는 도출된 세 가지 유형별 불교공간 세 곳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행하였고, 쉬클로프스키의 낯설게하기 기법 중 ‘자동화된 인식의 탈피’에 해당하는 비일상적인 요소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현대적 양식에서 그 정도가 두드러졌다. 그리하여 본 고는 이 유형의 대상지 한 곳을 기준으로 삼아 낯설게하기의 남은 프로세스 두 가지를 규명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정리된 내용을 질적 자료분석을 동원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전통적 내용분석과 주제분석이 동원된다. 5장에서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정리된 인터뷰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Q1과 Q2에 해당하는 파트를 전통적 내용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사람들이 비일상성이 느껴지는 현대 불교공간을 감상하고 그 본질을 규명할 때, 일상성의 공간에서보다 답변의 범위가 넓고 다양한 군집으로 나타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응답의 이유를 말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경험이나 상상력에 기반을 두는 등 다양하고 심층적인 사고의 확장 작용이 일어나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낯설게하기 이론의 작동과정 중 ‘생동감있는 지각활동’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주제분석을 통해 마지막 남은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련된 감각의 작용이 일어났는지를 규명하였다. 피실험자들의 응답을 정리하고 세 가지 테마로 인사이트를 도출해 분석한 결과 응답의 테마는 각기 다른 주제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본질을 살펴보게 되면 불교공간에 대한 끊임없는 사고의 작용이 발생하여 대상의 본질적인 것을 내재적 문화자본으로 만들기 위한 끊임없는 시도의 연속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일련의 결과는 비일상성이 나타나는 현대 불교공간의 감상과 이해에 있어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에 해당하는 감각적 작용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증거하며, 형식주의 비평가들이 낯설게하기를 통해 문학에서 이룩하고자 하였던 목적과 동일한 작용이 현대 불교공간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6장에서 일련의 과정과 결과들을 종합하여 연구를 시작하며 던져진 화두에 대한 결론을 내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본 연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동시대 불교공간에 대한 양식적 이해와 그 범위를 정리하였으며 그 중 비일상성이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는 현대적 불교공간을 사람들이 감상할 때, 형식주의 문학론인 ‘낯설게하기’ 이론의 작동 원리가 정확히 발생하는 모습을 확인했고, 불교 공간의 새로운 형식이나 전통적 규범에서 벗어난 모습을 통한 기호의 표현을 통해 예찬과 적극적인 수용의 의지를 내비쳤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피실험자 연령대 범위가 20.30대라는 사실은 꽤 유의미하다. 20세기 개념미술에서 비일상성이 관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였다면,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현대적 불교공간의 그러한 요인은 20세기 미술에서의 그것과 동일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연구의 결과는 동시대 불교공간의 양식적인 측면과 그 의미 정립과 이미 과거에 정립된, 타(他)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던 개념이 오늘날 현대적인 불교공간에 넘어와서도 같은 작용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 자체에 의미를 둔다. 추가적으로 본 결과는 추후 불교공간의 현대화나 포교의 확장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 등의 검토에 작은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0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1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