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0

안산 사동 한국인 주민과 고려인의 상호 관계 형성 연구

Title
안산 사동 한국인 주민과 고려인의 상호 관계 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Koryo-saram’ at Sadong, Ansan
Author
박채환
Alternative Author(s)
Park, Chae Hwan
Advisor(s)
송도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the late 2000s, as 'Koryo-saram' Migrants have flowed into Korea, an ethnic enclave of Koryo-saram has been formed in various area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local Korean residents create and chang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Koryo-saram Migrants, taking the example of ‘Sa-dong' in Ansan, which formed an ethnic enclave due to the influx of Koryo-saram Migrants. Ansa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ethnic enclave of Koryo-saram in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a field study in Ansan's ‘Sadong' area. To conduct the research, the formation of the Sadong and Ansan region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ident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Koryo-saram migrants, and the changes in Sadong were examin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in the Sadong area, the researcher studied how Korean residents in the area formed relationships with Koryo-saram an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lso researcher examined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Koryo-saram i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korean residents of Ansan were immigrated from outside of Ansan. It is related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nsan, which was formed as a planned city. The Sadong area was developed as a residential and Hanyang university district when the construction of 'Banwol New Town'. The main members of this area are residents engaged in rental business and commerce, university students, and Koreans who moved to the Sado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Gojan New Town. As the Koryo-saram moved to the Sadong area, various changes occurred in Sadong. Koryo-saram migrants moved to the Sadong area because they wanted a better place with cheaper housing costs and a better living environment. As a result, in the Sadong area, the formation of a densely populated area of Koryo-saram, changes in the local commercial district, and changes in residents appeared. Korean residents of Sadong initially had negative perceptions of Koryo-saram Migrants.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daily conflicts they experienced in the neighborhood caused negative perceptions. However, as the influx of migrants continued, Korean residents began to communicate with the Koryo-saram mainly through economic opportunities. The financial interaction in Sadong allowed the Korean residents to form a lasting relationship with the Migrants. Also, in this process, Korean residents contacted and interacted with Koryo-saram and became accustomed to their existence. Korean residents' perception of Koryo-saram began to change during this process. As a result, Korean residents current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targeting Koryo-saram migrants in the Sadong are forming a positive perception. Some of the Korean residents are changing to practice coexistence with Koryo-saram migrants. On the other hand, residents have no economic interests or do not have an opportunity to form a contact point with Koryo-saram through work or study. They have a fractured relationship in which they maintain an indifferent attitude or avoid living together.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ing Korean residents, a subject that has not been dealt with in foreign immigrant space studies so far. Through this, the ne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immigrants was raised. Until now, studies on foreign migrants and spatial concentration have mainly focused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migrants and the formation of enclav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grants themselves. But interest in Korean residents, another subject related to the migrant population, was limited. Also,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the actu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foreign migrants in the region. Therefore, the researcher's focus o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changes in perceptions of Korean resident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examine the nation-centered perspective, which presumes that migrants will one-sidedly assimilate into the mainstream society of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a case in which Korean residents of the Sadong area form positive perceptions through contact with Koryo-saram.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presented an example in which prejudice was reduced,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as created by forming daily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migrants in multicultural pla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Migrants can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reduce prejudice, and further expand the basis for coexistence. Currently, Korean society has an increasing number of migrant populations, while the contact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migrants is also gradually widening. This situation supports the ne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groups in multicultural areas. Until now, Korean society has demanded responsibility for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to mainstream society from foreign migrants.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itment and practice for coexistence should be expanded not only to migrants but also to Korean residents.|2000년대 후반 고려인 이주민이 국내에 유입되기 시작한 이후 한국 사회 각지에는 고려인의 밀집 거주 지역이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려인 이주민의 유입으로 밀집 거주지가 형성된 안산의 ‘사동’을 사례로, 지역의 한국인 주민들이 고려인 이주민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변화시켜 가는 양상을 살피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사동 및 안산 지역의 형성 배경, 한국인 주민 구성원의 성격, 고려인 이주민의 유입 배경과 사동의 변화를 살폈다. 또한 사동 지역에 대한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지역의 한국인 주민들이 고려인 이주민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했는지, 이들의 인식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 지역의 한국인 주민과 고려인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안산의 한국인 주민들은 계획도시로 형성된 안산의 지역적 특성의 영향으로 대부분 외부로부터 유입된 배경을 갖는다. 사동의 경우 반월신도시 형성 당시 대학가 배후 주거지로 개발된 지역이다. 지역의 한국인 주민들은 임대업 및 상업을 하는 주민들과 대학생, 고잔신도시 건설로 유입된 주민들이 주된 구성원을 이뤘다. 이후 사동에는 저렴한 주거비와 거주 환경이 나은 지역을 찾아 고려인 이주민들이 유입되었다. 이에 사동 지역에는 고려인의 밀집 구역 형성, 지역 상권의 변화, 주민 구성원의 변화가 나타났다. 사동 지역의 한국인 주민들은 초기에 고려인 이주민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지만, 이후 이주민의 유입이 지속되며 한국인 주민들은 고려인 이주민과 주로 경제적 요인을 계기로 소통을 시작했다. 사동에서 경제적인 상호작용은 한국인 주민들에게 고려인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한국인 주민들은 고려인과 접촉하고 교류하면서 이들의 존재에 익숙해졌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 주민들의 고려인 이주민에 대한 인식에는 변화가 나타났다. 그 결과 현재 지역에서 고려인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한국인 주민들은 긍정적 인식이 형성되며 일부는 공존을 실천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반면 고려인과 경제적 이해관계가 없고, 직업과 거주 상황의 차이로 고려인과 접점을 형성할 계기가 없는 주민들은 무관심한 태도를 유지하거나 함께 살아가기를 기피하는 분절되는 관계가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외국인 이주민 공간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대상인 한국인 주민들을 연구해, 한국인 주민과 이주민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간 외국인 이주민과 이들의 공간적 밀집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이주민 당사자의 관점에서 정착과 밀집 지역의 형성에 대해 관심을 집중해 왔다. 반면 한국인 주민의 관계 형성과 인식 변화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는 이주민 뿐 아니라 지역의 한국인 주민도 이주로 인한 변화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나타남을 드러낸다. 이는 한국이라는 주류 사회에 이주민이 일방적으로 동화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관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본 연구는 사동 지역의 한국인 주민들이 고려인 이주민과의 접촉을 통해 기존의 인식이 바뀌고 긍정적 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고려인 밀집 거주 지역을 현장으로 한국인 주민이 고려인 이주민과의 일상적 관계 형성을 통해 기존에 갖던 부정적 인식이 줄어들고 긍정적 관계로 발전하는 양상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주민과 지역의 한국인 주민의 소통이 상호 간에 이해를 증가시키고 편견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공존의 기반을 확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이주민 밀집 지역이 늘어나는 동시에 한국인 주민들과 이주민의 접점도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간 한국 사회가 외국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주류 사회로의 동화와 통합의 책임을 요구해 왔다면, 본 연구를 통해 공존을 위한 책임과 실천의 대상을 이주민 뿐만이 아닌 한국인 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68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0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