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0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Title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Other Titles
Development of K-POP Dance Education Using Musical Number Analysis Method : For Dance Major Students
Author
현석훈
Alternative Author(s)
HYUN, Seok Hun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K-POP의 교육적 연구가치와 K-POP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K-POP 전공자들을 위한 안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의의를 둔다.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뮤지컬과 K-POP의 개념, 발생 배경, 구성요소, 구성요소의 유사성, 뮤지컬 넘버의 분석방식을 중심으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뮤지컬과 K-POP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K-POP과 뮤지컬의 구성요소 중 ‘가사’는 관객과 수행자에게 작품에 대한 정보 제공의 기능을 하며 화자의 상황과 감정을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운율의 활용을 통해 음악적 리듬감을 증폭시키는 유사성을 보인다. 둘째, K-POP과 뮤지컬의 구성요소 중 ‘음악’은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주도하며 가사와의 조화를 통해 작품의 의미와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유사성을 보인다. 또한, 안무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유사성을 보인다. 셋째, K-POP과 뮤지컬의 구성요소 중 ‘안무(춤)’은 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가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유사성을 보인다. 또한, 화자의 감정을 시각화하여 단순한 동작의 개념을 넘어서 의미전달과 의사소통의 기능을 갖는다는 유사성을 보인다. 그리고 뮤지컬과 K-POP은 대중적인 종합문화예술의 장르로서 시대와 대중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타 장르와의 융합이 자유롭다는 유사성이 있다. 이를 토대로 전문가들과의 회의를 거쳐 8차시로 구성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은 황금숙이 제시한 방과 후 교육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모형을 참고하였으며 그 중 이해 활동 중심의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작품 분석에 집중된 안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된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에는 조성범의 뮤지컬 넘버 분석접근법과 박선옥의 뮤지컬 넘버 곡 분석표, 그리고 Yi Tae Won의 가사 분석을 위한 접근법을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동작-음악-가사 분석방식을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프로그램이 K-POP의 작품 수행과 분석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8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 후 참여 관찰과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K-POP을 전공을 하거나 희망하는 자 혹은 K-POP을 직업으로 삼고자 하는 자를 선정하였고 주 1회 60분씩 8주간 서울에 위치한 댄스 연습실에서 진행되었다. 심층 면담은 생생하고 다양한 자료를 얻기 위해 개방형 질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참여자들의 캐릭터 창조에 도움을 준다. 둘째,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은 K-POP 동작과 작품 이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은 K-POP 동작과 작품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뮤지컬 넘버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은 K-POP 동작과 작품 수행자의 수행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구참여자들은 해당 프로그램을 8주간 진행한 후 K-POP 작품 속 화자의 성격, 화자가 처한 상황, 화자가 느끼는 감정,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감정, 핵심 단어와 가사가 담고 있는 숨은 의미, 음악적 분위기와 흐름 등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전보다 입체적으로 수행되었음을 밝혔다. 이로 인해 동작과 작품 수행에 있어서 타당성과 이해가 증가하였으며 더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향상되었음을 느꼈다고 밝혔다. 또한, 더욱 주도적인 태도로 작품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여유와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뮤지컬 분석방식을 활용한 K-POP 안무교육 프로그램이 K-POP 교육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내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K-POP 음악, 가사, 안무와 같이 분야별 교육의 세분화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초등부 혹은 중·고등부와 같이 나이대별, 단계별로 구분되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느낀다. K-POP의 문화·교육적 가치는 꾸준히 주목받고 있으며 K-POP을 직업 혹은 전공으로 삼고자 하는 학생들은 지속해서 늘고 있다. 하지만 체계적인 교육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상이기에 본 연구를 계기로 K-POP 교육에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11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0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