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0

한・중 창작무용작품에 나타난 전통성과 현대성 연구-작품<남인(藍印)>을 중심으로-

Title
한・중 창작무용작품에 나타난 전통성과 현대성 연구-작품<남인(藍印)>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radition and modernity in Korean and Chinese creative dance works -Focused on and -
Author
완즈린
Alternative Author(s)
Wang Zi Ling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양 무용이 아시아에 발을 들여놓으면서 한국과 중국의 전통무용이 서양 무용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그에 따른 변화와 발전이 있었다. 이처럼 전통 무용은 시대의 발전에 순응하면서 부단한 개혁과 창조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매시대의 예술가들이 전통 무용에 새로운 피를 불어넣어, 작품 속에 시대적 특성과 사회 현상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문화는 한 나라 문화의 정수이며, 한 나라의 역사적 발전과 사상적 변천을 담고 있어 중요한 존재이다. 한국 전통무용과 중국 민족민간무용의 발전 과정은 바로 역사와 문화가 전승되는 과정이다. 전통무용과 민족무용의 뚜렷한 역사적 전승성에 비해 유럽 근대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무용은 시대감이 뚜렷하고, 삶을 바탕으로 인간의 내면에 가장 깊은 정서를 발굴하며 생명력이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전통과 현대는 융합적 모이게 되는데 우리는 한국 창작 무용을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특징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통성과 현대성의 개념을 정의하며 한국과 중국 창작무용작품의 개념 및 특징, 근대 시기적 발전 변화를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 창작무용작품와 중국 창작무용작품 <남인(藍印)>에서 음악, 움직임, 오브제, 복식으로 나누어 작품에 나타난 전통성과 현대성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른 결과로는 첫째, 작품 속에 음악은 현대적인 재즈랑 전자음악을 사용하였다. 둘째, 움직임에 전통 살풀이 춤을 재창조하고 현대무용과 몽골족 무용을 융합하였다. 셋째, 작품에 오브제는 전통적인 오브제를 활용하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복식은 피부를 과감하게 노출시키고 전통무용 의류에 현대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 <남인>(藍印)의 작품을 분석을 통해 어떻게 현대와 전통이 융합되었는지 알아보면 이후 우리가 창작할 때 나아가야 할 창작 방향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좀 더 통찰력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 창작무용을 다루는 시대에 대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지거나, 현대성과 전통성의 정의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면 한국과 중국의 창작무용의 진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92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9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