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 0

금지화행 공손 전략에 대한 한중 대조연구

Title
금지화행 공손 전략에 대한 한중 대조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hibitive Speech Politeness Strategies Act between Korean and Chinese
Author
정람승
Alternative Author(s)
Zheng Lansheng
Advisor(s)
채윤미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the polite strategy that appears when Korean and Chinese speakers utter prohibition was analyzed by contrast based on gender and age, which are social variables. Since prohibited speech entails loss of face of the viewer when speaking,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polite strategy suitable for each language and culture. Gender and age are important social variables of speech and behavior, and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revealing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polite strategies in prohibition.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 of speech act of prohibition, the review of gender and age variables, and the concept and type of polite strategy, and the polite strate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3,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0 Koreans and 10 Chinese for the DCT derived before the main experiment. For this experiment, the Korea-China analysis framework of speech act of prohibition was dreived. In Chapter 4,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a DCT survey was conducted on 60 Koreans and 60 Chine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differences in gender-relative age, gender-relative status, age-relative age, and age-relative status were analyzed. In gender-relative age, KN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he use of polite strategies between men and women, and in the case of CNS, it was suggested that men preferred explicit strategies over women. In gender-relative status, KNS male and female speakers showed similar prohibition speech act patterns, and when their relative status was different, implicit politeness strategies were preferred. This pattern was the same in CNS men and women. In age-relative age, KNS showed similar patterns in their 20s and 30s, and CNS showed similar patterns in their 20s and 40s. In age-relative status, KNS showed the same pattern in their 20s and 40s, and CNS used different polite strategies for each ag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Chapter 5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age-specific variables was greater than that of gender in the use of polite strategies for speech act of prohibition, and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Korea prefers an indirect method when using speech act of prohibition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ndependently conducted research on speech act of prohibition that have been lacking so far to derive the influence of social variables, and it is of practical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points to be careful when educating speech act of prohibi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중국인 화자의 금지화행 발화 시 나타나는 공손전략에 대해서 사회적 변인인 성별과 연령을 기준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금지화행은 발화 시 청자의 체면손실을 수반하기 때문에 각 언어 문화권에 맞는 공손전략 수행이 필요하다. 성별과 연령은 화행의 중요한 사회적 변인으로서 금지화행의 공손전략 수행의 차이를 밝혀내는 데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대상과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금지화행의 개념, 성별과 연령 변인에 대한 검토 그리고 공손전략의 개념과 유형, 금지화행의 공손 전략에 대해서 살펴봤다. 제3장에서는 본실험을 하기에 앞서 도출된 DCT에 대해서 한국인 10명, 중국인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하였다. 본실험을 위한 금지화행 주화행의 한중 분석틀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본실험을 진행하였고 한국인 60명, 중국인 60명을 대상으로 DCT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상대적 나이, 성별-상대적 지위, 연령별-상대적 나이, 연령별-상대적 지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상대적 나이에서 KNS는 남성과 여성의 공손전략 사용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CNS의 경우 여성보다 남성이 노골적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성별-상대적 지위에서는 KNS 남성, 여성 화자의 경우 비슷한 금지화행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 지위가 상이할 경우에는 암시적 공손 전략을 선호했다. 이러한 패턴은 CNS 남성, 여성에게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령별-상대적 나이에서는 KNS는 20대와 30대가. CNS는 20대와 40대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연령별-상대적 지위에서는 KNS는 20대와 40대가 동일한 패턴을 보였고 CNS는 연령대별로 상이한 공손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제5장에서는 대조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금지화행 공손전략 사용에 있어서 성별보다는 연령별 변인의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과 둘째, 중국보다 한국에서 금지화행 사용 시 우회적인 방식을 선호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 동안 부족했던 금지화행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해 사회적 변인의 영향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금지화행 교육 시 주의해야 하는 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를 지닌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45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9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