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 0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개발

Title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 Platform via Visualization Design Elements of Cognitive Information
Author
김유정
Advisor(s)
현은령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정보의 유통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내용 정보를 요약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일러스트레이션(lllustration)의 활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시각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와 그래픽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전문 일러스트레이터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을 시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러스트레이터를 위한 작업환경의 구축은 작품의 산출 단계에 집중되어 있으며, 작품 보관이나 전시 등과 같은 전문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활동 영역은 여전히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문명의 시작과 동시에 현재까지 이루어져 온 예술 활동이다.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하여 우리는 인류의 과거를 확인하고 현재를 이해하며,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라도 과거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잘 보존되어야 하며, 현재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미래세대에게 잘 전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작과 보존, 전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아카이브 플랫폼의 개발은 예술 감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러스트레이션의 의의를 제고시킬 혁신적 전환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의 방법론과 그 기대효과에 대해 논하고, 실제적인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특히 아카이브와 플랫폼을 결합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은 단순히 일러스트레이션의 조형적 이미지 산출물만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이 산출되는 과정까지도 감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때 진정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작업 현황과 공유 형태를 국내외 사례로 탐색하고, 그들이 겪는 문제점들이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의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을 통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 실험과 본 실험 통하여 DIOAP(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 Platform)를 개발하고, ‘Checklist, Heuristic Evaluation, Think Aloud, Contextual Inquiry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평가도구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통해 최종 추출된 상위 GUI 구성요소인 ‘①색상, ②타이포그래피, ③레이아웃, ④내비게이션, ⑤그래픽’과 세부 메타디자인 요소 29가지이다. 실험 도구에 대한 효과성 검증은 평가 기준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총 10명의 전문가를 섭외하여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의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내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들은 일러스트레이션 자체에 특성화를 두기보다는 ‘시각디자인, 웹툰, 사진, 캘리그라피, 미디어’ 등 포괄적 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그 형태는 온라인상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사고팔며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중심과 온라인 전시를 목적으로 하는 갤러리 형태의 플랫폼이 대다수였다. 국가 차원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아카이브의 경우, 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문화재를 복원하고 이를 홍보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따라서 일러스트레이션 작가나 그 작품의 탄생하게 된 과정들을 포함하기보다는 작품의 결과에 집중하여 소개되는 경향이 짙었다. 국외 사례 경우, 일러스트레이션의 주제에 대한 범위와 대상이 국내 사례보다 광범위함을 알 수 있었다. ‘해부학, 미디어, 동화책’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걸쳐 작품이 제작되고 있으며, 그 주체도 아마추어 작가부터 학생, 과학자, 식물학자 등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 플랫폼을 통해 분류하거나 보존하는 기술도 국내 사례보다는 비교적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측면에서 일러스트레이션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사례는 국내외 모두 찾기 어려웠다. 이런 사례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의 지속가능한 운영방안에 대한 매뉴얼 및 원칙을 마련하고, 메타데이터를 통해 아카이브 플랫폼의 정보 설계를 수립되어야 할 필요성도 도출되었다. 둘째,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는 어떻게 정의되며,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개발 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 예비 실험도구 DIOAP 에서는 GUI 상위요인 대부분이 간결성 부분에서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메타데이터에 대한 시각적 디자인 요소의 고려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②타이포그래피’와 ‘③레이아웃’의 ‘j.강조, k.타이포 색상, h.언어(영어/한국어), m.타이포 크기, o.정보의 분류’를 강화하여 본 실험도구 DIOAP 로 리디자인하였다. 또한 Heuristic Evaluation 평가에서는 ‘②타이포그래피’와 ‘③레이아웃’이 인지정보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i.서체스타일, k.타이포 색상, q.레이아웃 길이’ 등을 본 실험도구 DIOAP 리디자인 요소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예비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리디자인 된 본 실험 DIOAP의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 용이성, 만족성’과 ‘첫인상’ 모두 ‘②타이포그래피’와 ‘③레이아웃’의 결과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용성 평가를 통해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의 기대효과를 살펴본 결과, ‘색상’에 대한 인지는 사용자 간 주관적 편차가 심하여 플랫폼의 성격과 목적에 부합하기만 하다면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타이포그래피’는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온라인 아카이브가 작품 이미지를 다루는 플랫폼으로 그 중요도가 높지 않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아카이브가 검색을 통한 정보 획득을 주요 기능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전·사후 실시된 사용자 평가에서 그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난 요소였다. 그리고 ‘레이아웃’은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콘텐츠 내용에 따라 가장 많이 바뀌는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는 레이아웃의 그리드와 이미지 배치가 인지정보의 ‘간결성, 효율성, 가시성’ 등에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내비게이션’은 가장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는 직관적으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과 그에 관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지의 여부가 플랫폼의 이탈률과 사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그래픽’ 요소는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에서 오류를 만들어내는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는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많은 이미지가 플랫폼 구동 과정에서 오류를 일으키는 물리적 요소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우리는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을 다른 시각 분야에서 활용되는 데코레이션 같은 개념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였다. 하지만 디지털과 융합되면서 이제 일러스트레이션은 시각 미디어의 중심 전달 매체가 되어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본 연구는 인지정보 디자인 요소를 활용, 일러스트레이션 작업 과정과 그 결과물을 디지털이라는 혁신 기술을 통해 아카이브 플랫폼에 담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역사의 보존은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시대정신과 세대, 문화를 잇는 매개체로서의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가치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인지정보 시각화 디자인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근거가 되길 기대한다.| As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explosively increase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use of Illustration, which summarises and visually represents content information, has been grow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created various devices and software to create visual images, leading to an environment where unprofessional people can easily access illustration work. However, the establishing of a working environment for professional illustrators is focused on the production stage of works, and the area of activity such as storing and exhibition remains unclear. The illustration is the most extended art activity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the present day from the beginning of civilization. Through illustration, people learn from the past, understand the present, and predict the future. Even for this reason, past illustrations should be well-preserved, and current illustrations should be well-delivered to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developing an archive platform that leads the crea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llustration will be an innovative turning poin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rt appreciation and enhance the significance of illustr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methodology of specific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and its expected effects to implement an online archive platform for digital illustration, and a practical 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 platform is proposed. Notably, the 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 platform, which combines archives and platforms, is significant meaningful when it provides service so that users appreciate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rtwork, not only delivering the sculptural image output of the illust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work status and sharing form of illustrators as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it derived the need to improve the problems they face through the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of the online archive platform. Specific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eriments, the 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 platform(DIOAP) i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is verifi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of checklists, heuristic evaluation, think aloud, and contextual inquiry. The 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tool is ‘①Colour, ②Typography, ③Layout, ④Navigation, ⑤Graphic’, and detailed meta-design elements of 29th, which are the top graphical user interface(GUI) component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tool is conducted by recruiting a total of 10 experts to secure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 of deriving problems through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the DIOAP, it contains comprehensive areas such a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eb-toon, photography, calligraphy, and media’ rather than specialising in the illustration itself. Most of the forms are communication-oriented and gallery-type platforms aimed at online exhibitions that buy and sell image data online. In the case of digital illustration archives operating at the national level, they are mainly operated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and promoting cultural assets through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rather than including the illustration artist or the processes that lead to the creation of the work,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focus on the results of the work. In the case of overseas cases, it is found that the scope and target of the subject of illustration are wider than that of domestic cases. Works are produced on various topics such as anatomy, media, and fairy tale books, and their subjects are very diverse, ranging from an amateur illustrators to students, scientists, and botanists. Therefore, the technology of classifying or preserving it through a digital archive platform is also developing relatively differently than in domestic cases. However, in terms of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it was not esay to find cases of delivering illustration-related information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se examples, the necessity of preparing manuals and principl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digital platforms and establishing information design of archive platforms through meta-data was also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 on how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elements are defined and how they can be applied when developing the DIOAP, most of the top GUI factors are evaluated as low in terms of simplicity in the DIOAP. This is interpreted as a lack of consideration of visual design elements for meta-data. Therefore, This the experimental tool DIOAP is redesigned by strengthening of ‘j.Emphasis’, ‘k.Typography’ and ‘h.Language(English/Korean)’, ‘m.Typo size’, ‘o.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of ‘②Typography’, ‘③Layout’. In addition, in the Heuristic Evaluation evaluation, ‘②Typography’ and ‘③Layout’ is the error factors causing cognitive information. ‘i.Font style’, ‘k.Typo colour’, ‘q.Web page layout length’ is derived as an element of this experimental tool, the DIOAP re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reliminary experiments,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is redesign experiment the DIOAP shows that the first impression, satisfaction, learnability all increased in the factors ‘②Typography’ and ‘③Layou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cted effect of the DIOAP with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sation design elements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it was analysed that recognition of ‘①Colour’ is not influential as long as it meets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platform. ‘②Typography’ is considered to be less important as a platform for digital illustration online archives to handle work images, but since archives have a significant function of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search, the deviation is the biggest factor in user evaluation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nd ‘③:Layout’ is evaluated as a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sation design element that changes the mos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digital illustration content. This is analysed because the grid and image placement of the layou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implicity, efficiency, and visibility’ of cognitive information. ‘④Navigation’ is evaluated as a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sation design element that should be most clearly expressed. This is because digital illustration can directly affect the platform's departure rate and usability. Finally, the ‘⑤Graphic’ elements could be seen as a major factor in generating errors on the online archive platform. This is analysed because many images of digital illustration are physical elements that cause error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platform. Until now, we have had a strong tendency to view the concept of illustration as a decoration-like concept used in other visual fields. However, as it converges with digital, illustration is now the central medium of transmission of visual media and exerts a wide range of influence. In the midst of these social chang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utilities cognitive information design elements to contain the illustration work process and its results on an archive platform through an innovative technology called digital. The preservation of history is an important basis for providing ideas for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mankin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confirming the value of digital illustration as a medium connecting the spirit, generation, and culture of the time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in the proces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60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9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