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0

당나라 보상화문을 활용한 벽지디자인 개발 연구

Title
당나라 보상화문을 활용한 벽지디자인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allpaper Design Using Tang Dynasty Baoxianghua Pattern
Author
곽문정
Alternative Author(s)
GUO WENTING
Advisor(s)
엄경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세계 디자인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디자인 산업은 일본, 한국에서 점차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중국의 디자인 산업을 빠르게 발전시켰다. 이에 따라 디자인 철학도 중국 고유문화에 적합한 디자인 제품을 개발하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벽지디자인은 실내 공간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차지하기에 효과가 큰 디자인 요소이며 상업공간 차별화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동시에 중국 디자인 시장 트렌드는 중국 문화와 스타일을 갖춘 제품으로 옮겨가고 있다. 보상화문은 중국 전통문양 중 하나로 당나라 때 만들어져 중국 특유의 문양으로 자리 잡았으며, 가장 중국적인 전통을 가진 문양이다. 최근에는 당나라 보상화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벽지디자인 출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문화 연계를 구축하고 최신 트렌드에 발맞춰 유행을 선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문양인 보상화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상업공간 벽지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벽지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더불어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의 새로운 시장 창출과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방법은 선행논문 및 관련 서적, 박물관 자료를 통해 당나라 보상화문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며 보상화문을 응용한 벽지설계의 분석이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크리에이트(Procreate), 포토샵(Adobe Photoshop CC)을 활용한 디자인 리소스 및 모티프를 전개하였다. 또한 시제품 제시를 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연구범위는 당나라 시대 돈황 막고굴의 천장에 있는 보상화문 중 인동문, 석류문, 여의문, 모란문으로 선정하였고 메세 프랑크프루트(Messe Frankfurt) 2022/2023 하임텍스틸의 4가지 트렌드 테마(Heimtextil Trend)를 벽지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당나라 보상화문을 활용한 벽지디자인을 제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시켰다. 첫째, 인동문을 요소로 한 Fusion 벽지디자인은 본래 전통 문양이 갖고 있었던 느낌을 탈피하여 새로운 표현으로 재창조하였다. 둘째, 석류문을 요소로 한 Life
벽지디자인은 생명력을 나타내며, 전통 속에 현재와 미래가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상징한다. 전통문양과 현대 벽지디자인의 관계를 표현하였다. 셋째, 여의문을 요소로 한 Ball 벽지디자인은 간결하고 미래 과학기술적 감각과 상호작용을 표현하였다. 넷째, 모란문을 요소로 한 Continuance 벽지디자인은 전통과 현대가 결합하여, 문화를 다음 세대와 연결하고 지속가능성에 변화를 주도록 나타내었다. 다섯째, 인동문과 모란문을 요소로 한 Swirl 벽지디자인은 꽃문양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실내공간을 부드럽고 안락하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인동문과 모란문을 요소로 한 Bricks of Resistance 벽지디자인은 단단한 벽돌의 패턴으로, 젊은 세대의 고유적인 사고방식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일곱째, 석류문과 여의문을 요소로 한 Shuttle 벽지디자인은 미래를 정기적으로 오가는 느낌을 표현하였다. 여덟째, 석류문과 여의문을 요소로 한 Futuristic 벽지디자인은 전통 문양과 과학기술의 미래적인 느낌을 결합한 디자인을 패턴으로 하여 전통문양을 표현함과 동시에 현대 상업공간에 적합한 벽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당나라의 보상화문을 활용하여 개발 제안한 벽지디자인은 상업공간에 새로운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중국 전통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문화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벽지디자인 개발 제안은 인테리어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디자인 관련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장 창출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전통문양을 벽지디자인 분야에 발전시키는 것은 향후 디자인 측면의 학술적 가치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353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9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