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 0

휠체어 사용 남성 장애인을 위한 바이오모피즘 기반 어댑티브 클로딩 개발

Title
휠체어 사용 남성 장애인을 위한 바이오모피즘 기반 어댑티브 클로딩 개발
Other Titles
Designing Adaptive Clothing for Male Wheelchair Users based on Biomorphism
Author
하주비
Alternative Author(s)
Jubi Ha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 지체 장애인 비율은 높은 수준이며, 휠체어 사용자 비율 또한 증가 추세이다. 장애인의 1인 가구 증가로 그들의 사회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었으나, 인간에게 필수적 요소인 의복 선택 폭이 좁아 자유로운 의복 착용이 어렵고, 이들을 고려한 의복인 어댑티브 클로딩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남성 장애인을 위해 그들의 의생활 실태와 의복 고려사항을 파악하고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자연의 유기체를 모티브로 한 바이오모피즘 기반의 어댑티브 클로딩 디자인 전개를 통해 심미성을 가미한 의류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첫번째 연구문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이 의생활을 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두번째 연구문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의생활 문제점을 기반으로 한 그들을 위한 의복 디자인 요소는 무엇인가, 세번째 연구문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의복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바이오모피즘 기반의 의류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은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공감, 문제 정의, 아이디어 도출, 디자인 전개 및 평가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의생활을 이해하고, 그들의 조력자인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직원과의 인터뷰를 통한 그들의 의견 파악, 유튜브 컨텐츠 분석을 통한 대상자 간접 관찰의 과정을 통합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삼각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의생활 문제점, 그들을 위한 의복의 고려사항 및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어댑티브 클로딩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한양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IRB)의 승인을 받은 후,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조력자인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직원 5명과 질적연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승인번호: HYUIRB-202208-026). 또한 청장년층 남성 휠체어 사용 장애인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컨텐츠 중 패션 컨텐츠 상위 5개의 영상을 분석하여, 그들의 의생활 문제점과 의류 디자인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인터뷰와 유튜브 컨텐츠 분석 내용을 취합하여 근거이론방식을 통해 개방코딩, 선택코딩, 축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른 디자인 요소 및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휠체어 사용 남성 장애인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 바이오모피즘을 통해 아르마딜로 모티브의 셔츠와 팬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아르마딜로의 형태, 기능, 의미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 전개와 함께,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 및 생활 방식을 고려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함께 충족하는 어댑티브 클로딩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로토타입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착용 평가를 통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의복 고려사항 및 디자인 요소가 적절하게 충족되었는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의생활 실태 및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의류 디자인 제안을 통해, 나아가 그들의 의생활 향상 및 어댑티브 클로딩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조력자인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직원과의 인터뷰 및 유튜브 컨텐츠 분석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직접관찰과 사용자 당사자와의 직접인터뷰가 힘든 연구에서 디자이너가 정보를 공감하는 과정을 새롭게 재해석하여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또한 디자인 설계과정에서 프로토타입 개발 이전에 CLO 3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착의 및 실험과정을 진행해 봄으로써, 소요시간과 재료의 절감 효과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이는 추후 사용자 중심 디자인 설계를 진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줄여주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n South Korea,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imarily constitute a group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rising single-disabled-person household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heelchair users. Despite more emphasis on their social activities driven by a growing number of single-disabled-person households, they have little option to choose appropriate clothes―which is prerequisite for people. As a result, they have challenges to choose and wear suitable cloths they want. In this perspective, it has become important to develop adaptive cloth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lothing mark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clothing behavior for men with disabilities who use wheelchairs, to analyze design factors, and to develop adaptive clothing design based on biomorphism.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male wheelchair users facing problems in clothing behavior? (2) What are design factors of adaptive clothing based on wheelchair users’clothing behavior? (3) How will design researcher develop adaptive clothing for wheelchair users considering design factors based on biomorphism? For answer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mixed-method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Design Thinking process; Empathy, Defining Problem, Ideating, Prototyping, and Evaluation. Relevant previous researches were reviewed to gain understanding of their clothing behavior. To listen overall wheelchair users’ challenges in clothing behavior,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caregivers at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for disabled people upon IRB approval (Approval number: HYUIRB-202208-026). The interview data was interwoven with indirect observation data from top ranked five YouTube contents created by male wheelchair users. These transcribed interview data and indirect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with field notes for triangulation of the research. The multiple layered data analyzed based on the three levels of coding in Grounded Theor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ir difficulties with clothing behavior, their needs in wearing appropriate cloths, and design factors of adaptive clothing for wheelchair users were founded. As a solution, researcher suggested adaptive clothing inspired by Armadillo’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based on biomorphism through analyzed design factors. Materials test and virtual experiments for their functionality and tactile experience were conducted for developing prototypes. Eleven expertise in clothing design joined to evaluate the prototype,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ir satisfaction with clothes based on criteria such as whether consideration regarding clothes for these wheelchair users and design factors were adequately fulfilled. With regard to anticipated eff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understand clothing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s and design factors. It is also anticipated that it would propose clothing design tailored to their situation and needs, make improvements to their clothing life an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adaptive clothing design industry.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a process of exchanging and empathizing information was reinterpreted for designs in studies where direct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actual users are challenging. This study also used the CLO 3D program prior to the development of prototype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went on to the virtual wearing and experiments. In this way, the study was designed to save time and reduce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as intended to offer practical ways to ease difficulties and come up with more effective methods in the way of achieving user-centered desig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7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