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9 0

3D 디지털 가상착의 기반 중국 경극 남성 배역 ‘生’의 복식 특성을 활용한 남성복 디자인

Title
3D 디지털 가상착의 기반 중국 경극 남성 배역 ‘生’의 복식 특성을 활용한 남성복 디자인
Other Titles
Men's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of Chinese Peking Opera Male’s role 'Sheng' Based on 3D Digital Clothing
Author
용절강
Alternative Author(s)
Long Zhe Kang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국의 전통 국수(國粹)인 경극(京劇. Peking Opera)은 전통적, 미학적 전통을 계승 해오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중국 전통극의 배역과 의상의 특성은 현대적인 패션디자인에 적용할 만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전통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 경극의 남성 배우 생(生)의 복식 디자인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성복 디자인에 적용하여 전통문화와 현대가 어우러진 다양한 남성복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중국 전통 경극 복식의 주요 유형, 중국 전통극과 남성 배역 생(生)복식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경극 복식에 색상, 문양 및 특징을 활용하여 CLO 3D 가상착의 시스템을 통해 8벌의 현대적인 남성복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셋째, 8착의 3D 가상착의 디자인중 2착을 실물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생 복식의 문양을 활용하여 디지털 프린트 기술을 이용하여 직물을 개발하였으며 실물 작품에 구현하였다. 경극 복식은 경극 공연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 인물의 특성과 성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등장 인물의 나이, 성격, 신분, 사회적 지위 등을 알 수 있다. 경극 복식의 형태 및 구성은 박시한 H라인이고 인체 운동의 근육 형태에 근거하여 설계된 복식은 대부분 직선형 일체형이다. 경극 복식의 색상은 신분이 높은 사람이나 장군을 상징하므로 상오색으로 사용하며, 습(褶)이나 의(衣)에는 하오색을 주로 활용한다. 경극 복식의 문양은 크게 동물 문양, 식물 문양과 기하 문양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전통 경극 복식 생의 망(蟒), 피(帔), 고(靠), 습(褶), 의(衣)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와 연결하여 경극 전통 복식의 색상과 문양을 응용하여 현대적인 남성복 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디자인에 활용한 문양은 경극 복식에서 볼 수 있는 동물 문양과 기하 문양을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문양의 활용은 아름다운 우의와 축복을 담고자 하였다. 작품의 제작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극 복식 생 배역의 디자인 형태, 색채, 문양 등의 디자인 특성은 현대 남성복의 디자인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경극 복장의 색채 문양을 현대 복장에 잘 융합하여 현대와 전통을 잘 융합시켰으며, 중국 경극의 독특한 중국 미학을 현재 의상 위에 잘 보여주는 새로운 창의성을 구현하였다. 둘째, 경극 복식의 문양을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원단에 디지털 프린트를 활용하였다. 디지털 프린트 효과는 경극 복식 문양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합하였으며, 빠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여 전통문화와 현대 기술을 융합하는 좋은 시도였다. 셋째, CLO 3D 프로그램은 빠른 시간 내에 의상의 패턴 제작, 가상 피팅, 효과 전시 단계를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옷을 제작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하고, 이에 의상의 전체적인 스타일링을 더욱 빠르게 디자인하고 표현하며, 2D 패턴을 즉시 수정할 수 있었다. 원단, 색상 등을 즉시 조정할 수 있어 의류 디자인과 의류 기반 제작에 시간이 절약되고 전반적인 디자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CLO 3D 프로그램을 활용한 2D 패턴을 활용하여 재단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광목 가봉을 통하여 수정된 패턴은 바로 수정이 가능하여, 가상착의 디자인과 실물 작업의 경계를 최소화하여 실물 작업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전통문화 활용의 방향을 제시하고, 창의적이고 다양한 패션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다양한 패션디자인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602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7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