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2 0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행위 영향요인

Title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행위 영향요인
Other Titles
Influencing Factors on the Care Behavior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 with Dementia at Home
Author
김다미
Alternative Author(s)
Kim, Da Mi
Advisor(s)
장혜영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 descriptive survey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experience evaluatio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ing behavior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t home and make intervention plans to enhance their care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primary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who were registered at dementia care centers in Seoul Special City(five), Gyeonggi Province(one), Jeollanam Province(one), and Daegu Metropolitan City(one), at home on August 1~ September 8, 2022. Research instruments were used to measure care experience evaluation,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are behavio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8.0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a majority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t home were women(103, 82.4%).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7.4±14.16 years. Thirty-eight(30.4%) had a monthly income of 2,010,000~3,000,000. The highest percentage(42.4%) of the primary family caregivers were daughters, who were followed by daughters-in-law(16.8%), sons(15.2%), and others(13.6%), spouses(12.0%) in the order. The respondents scored a mean of 3.02±0.51 points out of five in care experience evaluation, a mean of 3.41±0.44 in family resilience, a mean of 3.15±0.91 out of five in social support, and a mean of 3.89±0.40 out of five in care behavio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are behavior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age of primary family caregivers(F=5.62,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F=4.96, p=.008), and assistance(t=3.91, p<.001).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educational background(F=3.15, p=.046)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are behavior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 experience evaluation(r=.35, p<.001), family resilience(r=.32, p<.001), and social support(r=.32, p<.001). The study found several predictors related to care behavior including assistance(β=.22, p=.015), graduation from middle school or lower educational institu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β=.32, p=.008), graduation from high school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β=.24, p=.045), care evaluation(β=.21, p=.023), and family resilience(β=.22, p=.014). They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5.4% for care behavior.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plans to improve the care experience evaluatio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at home, and such plans are expected to enhance their care behavior. | 노인 고령화로 재가 치매노인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재가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 주 부양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행위는 치매노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유지하는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행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사회 치매간호 실무 적용 및 돌봄행위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경험 평가, 가족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가족 주 부양자들의 돌봄행위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22년 08월 01일부터 09월 08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5곳), 경기도(1곳), 전라남도(1곳), 대구광역시(1곳)의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노인을 재가에서 돌보고 있는 가족 주 부양자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돌봄경험 평가, 가족탄력성, 사회적지지, 돌봄행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는 여성이 103명(82.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7.4±14.16세, 월 수입은 201∼300만원 이상이 38명(30.4%)으로 가장 많았다. 치매노인과의 관계는 딸이 전체의 42.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며느리(16.8%), 아들(15.2%), 기타(13.6%), 배우자(12.0%) 순이었다. 돌봄경험 평가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02±0.51점, 가족탄력성의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1±0.44점, 사회적지지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5±0.91점, 돌봄행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89±0.40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는 가족 주 부양자의 연령(F=5.62, p=.005), 주관적 건강상태(F=4.96, p=.008) 도움 여부(t=3.91, p<.001)이며,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중 학력(F=3.15, p=.04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돌봄행위는 돌봄경험 평가(r=.35, p<.001) 및 가족탄력성(r=.32, p<.001), 사회적지지(r=.32, p<.001)와 양의 상관관계이었다. 본 연구에서 돌봄행위와 관련된 예측요인은 도움 여부(β=.22, p=.015), 치매노인의 학력 중 중학교 졸업 이하(β=.32, p=.008), 고등학교 졸업(β=.24, p=.045), 돌봄평가(β=.21, p=.023), 가족탄력성 (β=.22, p=.014)이며, 돌봄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25.4%이었다. 따라서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의 돌봄경험 평가, 가족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이는 재가 치매노인 가족 주 부양자들의 돌봄행위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11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6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대학원) > DEPARTMENT OF GERONTOLOGICAL HEALTH NURSING(노인건강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