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 0

청소년쉼터 거주 여고생들의 진로 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청소년쉼터 거주 여고생들의 진로 준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a Youth Shelter
Author
주혜민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number of runaway and homeless adolescents increased due to rapidly changing social changes and family breakdown, a term of “Runaway Juvenile” has been used after relevant laws were revised in order to improve negative perception of them and to ensure stable protection and support. In particular, the role of youth shelter to accommodate and protect runaway juveniles, who suffer from difficulty returning to their homes,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and it is being expanded quantitatively. As considering the out-of-home juveniles are school-aged adolescents and they are in a critical period of career exploration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youth shelter is not only to provide them housing but also to help them to know their identity and experience career exploration for their futur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ek effective measures by investigating experiences and opinions of adolescents who live in the youth shelter now. This study has a purpose to identify what experience the runaway juvenile have had in their school and youth shelter and what difficulties they have experienced, and then to discuss support measures. This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the best to investigate in-depth opinions and circumstances which are related to career exploration of out-of-home adolescents that prior research has not recognized. As considering the ease of accessibility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help of relevant institution workers, this study selected in-depth interview subjects, who are runaway juvenile, have been in female youth shelters in Gyeonggi province over three months, and are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relevant prior research, this study set three research problems, including ‘what kind of career experiences do runaway juvenile have at youth shelter?’, ‘what kind of career experience do runaway juveniles have at school?’, and ‘what are the supporting measures for successful career experience of the juvenile in youth shelter?’. This study is to derive detailed subcategor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a month in October, 2022,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adolescents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CQR analysis, this study deduced three categories, 11 subcategories, and 40 core concepts. The first category is the career experience in a youth shelter, including ‘career-related activities at the shelte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related to one’s own career’, ‘influence of the shelter on career decision’, ‘beneficial experience related to career at the shelter’, ‘difficulties in career-related activities at the shelter’, and ‘influence of family’. The second category is the career experience in a school, including ‘career-related activities at the school’, ‘beneficial experience related to career at the school’, and ‘difficulties in career-related activities at the school’. The third category is career-related supporting services that adolescents desire, consisting of ‘career-related services that adolescents desire to the shelter’, and ‘career-related services that adolescents desire to the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four discussi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in the shelter experience many financi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runaway juvenile lives in an institution far away from home, their family still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areer path of the adolesc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customized programs related to the careers of runaway juveniles. Fourth, adolescents in school had difficulties because their career path cannot match their school course, so this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that entrusts education in a general school. Since it covers career experiences of runaway juveniles although there is lack of prior research on the career pat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deal with career experience of out-of-home adolesc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in-depth recognition of career experiences of runaway juveniles by focusing on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it is possible to discuss supporting methods and successful career exploration for runaway juvenile based on data from the career experiences of runaway juvenile. Although this study conduct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o compensate for objectiv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t is possible for this study to adopt subjectivity of the researcher, because the main researcher has ever worked at a youth shelter. Therefore, it seem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hole research process by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transferability from a researcher.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n research scope because it only target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a youth shelte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up studies on career experience by reflecting regions and gender ratio of runaway juvenile.  | 급변하는 사회변화와 가정의 붕괴로 인한 가출청소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안정적인 보호와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법이 개정되며 “가정 밖 청소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가정 복귀가 어려운 가정 밖 청소년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쉼터의 역할을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며 양적인 확장도 이루어지고 있다. 가정 밖 청소년들이 발달 단계적 관점에서 학령기의 청소년이며 진로 탐색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쉼터는 단순히 그들에게 주거지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미래에 대한 고민을 통해 진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쉼터에서 거주하는 청소년들의 경험과 의견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밖 청소년들이 쉼터 및 학교에서 어떠한 진로 경험을 하는지,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하고,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면접을 활용하였다. 그간 선행 연구에서 파악되지 못하였던 가정 밖 청소년의 진로 탐색에 관한 심도깊은 의견과 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질적 연구가 가장 적합한 방법이었다. 대상자 접근성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시설 종사자의 도움을 통해 경기도 내 여자청소년쉼터에서 입소한 지 3개월이 경과했으며,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가정 밖 청소년을 심층 면접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관련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 문제로는 ‘가정 밖 청소년은 쉼터에서 어떠한 진로 경험을 하는가?’, ‘가정 밖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어떠한 진로 경험을 하는가?’, ‘셋째. 입소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진로 경험을 위한 지원방안은 무엇이 있는가?’의 세 가지를 수립하였으며, 심층 면접을 진행하면서 세부적인 하위범주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022년 10월 한 달 동안 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윤리를 준수하며 심층 면접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CQR로 분석한 결과 3개의 범주, 11개의 하위범주, 40개의 핵심개념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쉼터에서의 진로 경험으로, ‘쉼터에서 하는 진로 관련 활동’, ‘본인 진로와 관련된 활동 참여’, ‘진로 결정 시 쉼터가 미치는 영향’, ‘쉼터에서 진로 관련 도움이 된 경험’, ‘쉼터 진로 관련 활동 시 어려움’, ‘가족의 영향을 받음’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는 학교에서의 진로 경험으로 ‘학교에서 하는 진로 관련 활동’, ‘학교에서 진로 관련 도움이 된 경험’, ‘학교에서 진로 관련 활동 시 어려움’으로 도출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청소년들의 원하는 진로 관련 지원 서비스로, ‘쉼터에 바라는 진로 관련 서비스’, ‘학교에 바라는 진로 관련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4가지 논의를 제시하였다.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쉼터에서 청소년들은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금전적인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밖 청소년들의 진로에는 가정을 벗어나 시설에서 생활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쉼터는 입소 청소년들의 진로와 관련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에서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진로와 학교의 계열이 일치하지 않아 그에 따른 어려움이 있어, 일반계 고등학교 위탁 교육과정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 진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인데, 본 연구는 그러한 가정 밖 청소년들의 진로 경험에 대해 다뤘다는 점이다. 또한 진로 준비 과정을 집중하여 다뤄, 가정 밖 청소년들의 진로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본 연구의 가정 밖 청소년의 진로 경험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을 위한 지원방안 및 성공적인 진로 탐색을 위한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주 연구자가 청소년 쉼터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주 연구자의 주관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의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는 쉼터 입소 여자 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연구 대상의 한정성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는 가정 밖 청소년들의 지역과 성비가 반영된 진로 경험 연구를 제언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719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65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