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7 0

서울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Middle-Aged and Older-Aged Households
Author
김용욱
Alternative Author(s)
KIM YONGWOOK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초 록 2020년 기준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20대와 30대인 청년 1인 가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 가구는 연령대별(청년, 중장년, 노년)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연령대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 및 정책은 미흡한 상황이며, 특히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청년들은 구체적인 주거가치관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본인이 생활하는 주거공간에 대한 명확한 인지와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다보니 그들만의 주거문화가 구성되지 않으며, 주거 공간에 대한 인식 또한 약한 편이다. 청년 1인 가구는 다른 연령대(중장년, 노년)에 비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나 열악한 거주환경에서 살고 있는 비율이 가장 많으며, 주거만족도 또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은 편이다. 주거공간은 우리 일상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이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삶의 질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주거환경이 청년들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 중인 1인 가구를 인구학적 특성인 연령대별로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하였다. 청년과 다른 연령집단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 주거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다양한 주거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이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다양한 주거환경요인들이 청년, 중장년, 노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집단 간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강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 모형에서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대중교통요인-지역환경요인-치안 및 방범요인-이웃관계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은 지역환경요인-대중교통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노년 1인 가구 모형은 대중교통요인-지역환경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 모형에서 주거환경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이웃관계요인-대중교통요인-지역환경요인-치안 및 방범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은 이웃관계요인-치안 및 방범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노년 1인 가구 모형은 이웃관계요인-지역환경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 및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에서 매개변수인 주거만족도가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다양한 주거환경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년 1인 가구 모형은 주거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청년, 중장년, 노년 1인 가구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년,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주거환경요인에 대한 만족 정도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거만족도가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청년층과 중장년층은 학교, 직장 등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기 위해 형성된 자발적 1인 가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이들의 직주 근접을 실현하기 위해 역세권 주변 개발 시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및 소형 주택의 일정 비율 공급 등 이들이 대중교통 이용 및 직주근접이 용이한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연령별 1인 가구에서 공통적으로 이웃관계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주거 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청년층의 경우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이웃관계에 대한 주관적 만족 정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이웃과 접촉 및 교류할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마련과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 1인 가구가 밀집한 지역에 대해서는 범죄 감소 효과가 나타난 셉테드(CPTED), CCTV 집중 배치 등을 통해 지역의 안전한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청년층의 경우 삶의 만족도로 가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가장 작게 나타났으나, 안전에 대한 만족 정도가 장기적으로 주거만족 요소로써 자리 잡았을 때 삶의 만족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의 야간 보행 및 방범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안전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인구학적 특성인 청년, 중장년, 노년으로 구분하여, 청년과 다른 연령집단의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으로 취약한 청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청년 주거정책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234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95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