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 0

항공사 복직승무원의 양육스트레스 요인과 잔류의도,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배우자 지지의 조절 효과와 함께

Title
항공사 복직승무원의 양육스트레스 요인과 잔류의도,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배우자 지지의 조절 효과와 함께
Other Titles
Parenting Stress and Intention to Stay, Mental Health of Airline Cabin Crew who Reinstated after Maternal Leav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uthor
현성협
Keywords
양육스트레스; 잔류의도; 정신건강; 배우자지지 조절효과; 육아휴직; 복직승무원; Parenting stress; Intention to stay; Mental health; Spousal support; Maternity leave; Reinstated crew
Issue Date
2021-10
Publisher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Citation
호텔경영학연구, v. 30, NO. 7, Page. 129-144
Abstract
본 연구는 육아휴직 이후 복직승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고양육스트레스가 이직의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의지지의 조절효과 확인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양육스트레스의 5개 주요변인은 이론 고찰과 육아휴직과 복직을 경험한 항공사승무원 15명과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피로, 다중역할갈등, 대리양육에 따른 불안감, 자녀의 분리불안, 자녀비용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잔류의도, 정신건강 이라는 후속변수와 배우자지지 조절 변수로 연구모형이 구성되었다. 그리하여 총14개의 가설 검증을 위해 2021년 2월1일부터 2021년4월1일까지육아휴직과 복직을 경험한 항공사여승무원을 대상으로 총227부의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유의미한222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25.0과 AMOS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통한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 분석, 부트스트랩 검증 및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복직승무원의 피로와 대리양육 불안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정(+) 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잔류의도와 정신건강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피로와 대리양육불안감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잔류의도와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경로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승무원의 근무환경을 반영한 양육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였다는데 학문적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비표준근무환경을 가진 객실승무원의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통해 다양한 제도적 개선을 기대할수 있다는데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es of parenting stresses that reinstated cabin crew experience after returning from maternity leav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ir mental health and decision for changing job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The literature reviews of the preceding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which was conducted for 15 female flight attendants working in domestic airlines, presented five major causes of change: fatigue, multi-role conflict, non-parental care anxiety, separation anxiety of child, and cost of children. In addition,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of subsequent variables such as parenting stress, intention to stay, and mental health, as well as variables that moderate spouse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β coefficient),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bootstrap verification,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among the five variables, fatigue and non-parental care anxie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stress. Second, parenting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and intention to stay in a current job. Third, spouse support has a moderating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has academic value in identifying the major stress factors of reinstated crews reflecting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flight service. Also, it implie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quality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services for workers with non-standard work schedule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20667&language=ko_KR&hasTopBanner=tru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299
ISSN
1226-8747
DOI
10.24992/KJHT.2021.10.30.07.12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