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홍배-
dc.date.accessioned2022-11-22T07:11:06Z-
dc.date.available2022-11-22T07:11:06Z-
dc.date.issued2021-07-
dc.identifier.citation국토계획, v. 56, NO. 4, Page. 212-219en_US
dc.identifier.issn1226-7147;2383-9171en_US
dc.identifier.urihttp://kpaj.or.kr/_common/do.php?a=full&bidx=2679&aidx=3032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213-
dc.description.abstract효과적인 홍수 저감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방재 시설물 측면과 제도적 측면 그리고 상류지역의 개방성 측면을 고려하여 수립해야 한다. 그러나 문헌을 살펴보면, 이 세 가지 요인을 구체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앞에서 언급한 수해 관련 문헌들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여기에는 수해 요인, 위험도 분석 그리고 수해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다. 연구내용및 한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수해 요인 관련 연구들(최충익, 2004; 고태규·이원영, 2012; 신상영·박창열, 2014; 공혜림, 2017; 하경준·정주철, 2017)에서는 도시적 토지이용과 불투수층을 요인으로 제시하고있다. 그러나 연구들은 제도적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짐에 따라시설물적 측면과 하천의 개방성 측면에서 접근하지 못하였다. 둘째, 수해 위험도 관련 연구들(최충익, 2006; 손민수·박지영· 김홍석;2013, 이상혁·강정은, 2018; 신희재 외, 2019)은 수해 취약성을 통해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지역의 개방성에 따른 상류지역에서 유입되는 홍수량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끝으로, 수해 저감 관련 연구들(안태진 외, 2008; 배상원; 2012; 최수웅, 2013; 이동우, 2014; 박준오, 2018, 황준식, 2018)은 그린인프라와 천변 저류지 그리고 LID시설 설치에 따른홍수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단일 시설물의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어, 제도적 측면의 대책 마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종합하면, 관련연구들이 단일 대책과 이에 대한 효과에 초점을둠에 따라 수해를 종합적 측면에서 다루지 못한 것이 본 논문의배경이 되었으며, 목적은 다음과 같다. 도시하천의 개방성을 고려한 최대 우수처리용량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홍수저감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총 4절로 구성된다. 2절에서는 강우빈도별 범람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최대 우수처리용량 모형을 구축한다. 3절은 정책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수해 저감효과를 분석하며,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논문의 내용을종합하여 요약하고, 논문의 한계를 제시한다.;This paper aims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reducing urban flood hazards. Specifically, the study establishes a runoff carrying capacity model that considers the openness of urban streams and applies it to the city of Seoul, Korea. The policy scenarios are presen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paper accurately forecast 16 of 19 river basins. Moreover, policy scenarios for Seoul are suggested and assessed to mitigate flooding in the area. Thu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expanding an alternative green area while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slope of the local urban stream is an effective policy.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본 논문은 환경부 도시 생태계 서비스 통합 유지·관리 기술 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2020002780001)에 의해 수행됨. 본 논문은 2020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 및 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함.en_US
dc.languagekoen_US
dc.publisher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en_US
dc.subjectRainfall Frequencyen_US
dc.subjectPervious Surfaceen_US
dc.subjectRunoff Carrying Capacityen_US
dc.subjectBuffer Capacityen_US
dc.subject강우빈도en_US
dc.subject투수층en_US
dc.subject우수처리용량en_US
dc.subject완충능력en_US
dc.title도시하천별 우수처리 용량과 수해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The Runoff Carrying Capacity and the Policy Direction of Urban Local Stream : The Case of Seoul, Kore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56-
dc.identifier.doi10.17208/jkpa.2021.08.56.4.212en_US
dc.relation.page212-219-
dc.relation.journal국토계획-
dc.contributor.googleauthor주진호-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홍배-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과대학-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identifier.pidhoki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