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기-
dc.date.accessioned2022-11-22T05:49:58Z-
dc.date.available2022-11-22T05:49:58Z-
dc.date.issued2022-02-
dc.identifier.citation국토계획, v. 57, NO. 1, Page. 5-25en_US
dc.identifier.issn1226-7147;2383-9171en_US
dc.identifier.urihttp://kpaj.or.kr/_common/do.php?a=current&b=11&bidx=2864&aidx=3229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7185-
dc.description.abstract분당은 다른 1기 신도시와는 다르게 기존 시가지와 연계된 개발이 아닌 독립적인 지역에 위치하여 개발되었다. 분당 신도시는건축행위가 제한되어 있었던 성남시 남단 녹지에 1기 신도시 중가장 큰 규모로 개발되었다. 개발 초기 분당은 수도권 주거 문제해결과 함께 수도권 중심업무지구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자족적이고 쾌적한 주거지를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개발 초기의 분당은 개발 목표와는 다르게 수도권의 중심업무기능 수행 및 자족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기반시설 부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더불어, 경부 개발 축에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분당을 중심으로 수지, 죽전, 보정, 판교 등 다수의 개발지가 위성도시처럼 추가로 개발되었다. 분당 신도시는 내부적으로 백화점 및 대형 할인마트의 입점과함께 대기업의 사무실 이전, 주요 간선도로 개통 및 대중교통 노선 확대로 인하여 25년 전 개발 초기의 모습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지난 25년간 분당 신도시와 주변 지역은 변화에 따라 공간적인위계와 역할도 변화하였다. 따라서 분당 신도시의 성장과 변화는신도시의 개발에 따른 도시의 기능 및 역할의 변화를 확인할 수있는 좋은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의 상업 중심성 및 위계를 확인하고, 선행연구의 결과와비교하여 상업 중심성 변화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The changes in commercial centrality based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mmercial goods in the Bundang new town between 2000 and 2015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t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Bundang new town was criticized because of the bedroom community of Seoul and lack of self-sufficiency. However, the self-sufficiency of new towns has been improved with the expansion of city inf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past 25 years. However,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extensively to analyze the change in self-sufficiency for new tow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Bundang new town and analyzed the changing process in commercial centrality based on purchasing behavior of commercial goods between 2000 and 2015. Consumers in Yongin-si and Seongnam-si, including Bundang and Pangyo new towns, were surveyed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in commercial centrality in the Bundang new town.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Bundang new town became the center of commercial activities in the southern area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showed the long-term changing process in the commercial centrality of new town development and identified improved centrality of commercial activities based on a case study of Bundang new town.en_US
dc.languagekoen_US
dc.publisher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en_US
dc.subject도시성장en_US
dc.subject상업 중심성en_US
dc.subject신도시en_US
dc.subject구매행태en_US
dc.subject구매지역en_US
dc.subjectUrban Growthen_US
dc.subjectCommercial Centralityen_US
dc.subjectNew Townen_US
dc.subjectPurchase Behavioren_US
dc.subjectPurchase Areaen_US
dc.title상품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신도시 상업 중심성 변화 연구 : 분당 신도시를 중심으로(2000-2015)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Changes in Commercial Centrality in a New Town through Analysis of Commercial Goods Purchasing Behaviour : Focused on Bundang New Town (2000-2015)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57-
dc.identifier.doi10.17208/jkpa.2022.02.57.1.5en_US
dc.relation.page5-25-
dc.relation.journal국토계획-
dc.contributor.googleauthor주현태-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창무-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수기-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공과대학-
dc.sector.department도시공학과-
dc.identifier.pidsugiele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