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9 0

불교의 업(業)과 윤회론에 대한 영화적 재현영상에 대한 비교연구-˂삼사라˃, ˂애유내생˃, ˂화엄경˃을 중심으로-

Title
불교의 업(業)과 윤회론에 대한 영화적 재현영상에 대한 비교연구-˂삼사라˃, ˂애유내생˃, ˂화엄경˃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lm image reproduction of Buddhism karma and samsara: taking The Samsara Eternal Beloved The Avatamska Sutra
Author
조민우
Alternative Author(s)
ZHAO LINGSONG
Advisor(s)
이도흠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불교에서의 업론(業論)과 윤회론 사상을 영화 비평에 응용하는데, 크리스티앙 메츠의 영화기호학 이론을 중심으로 <삼사라>, <애유내생>, <화엄경> 세 불교영화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비교한다. 나아가서 불교사상에 바탕을 둔 상징과 현실 사이의 예술적 동태적 관계를 알아본다. 상징은 심상한 의미에서 감독의 주관적인 예술 기호가 아니라 문화적 배경, 이데올로기, 사회정치 등 다양한 측면이 의식 영역에 반영하는 것이다. 비록 불교 사상이 옛날부터 지금까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인 데 증명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서로 다른 문화적 시각에서 동일 불교 사상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업론과 윤회론의 영화적 재현영상은 단지 수단일 뿐인데 세 영화의 텍스트를 변증법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캐릭터, 경물, 대사 등 영상화된 기호를 통해 상징되는 불교문화 기호가 포함하는 의미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불교의 업론과 윤회론의 핵심을 다듬는다. 그중에 업론은 인간 의지의 주체적 능동성을 강조하는 종교철학으로 볼 수 있으며, 윤회론은 업론에 기초한 세상 만물의 법칙을 한층 더 요약한 인과관계 총화이다. 서로 다른 문화를 바탕으로 만드는 불교영화에서 같은 핵심적 사상을 얻어 낸다면 업론과 윤회론이 보편성을 가진다고 하는 논단을 증명하였다. 특히 예술영화가 현실 사회와 사이의 관계에서 불교영화의 창작 논리는 현실을 비판하거나 투영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공했는데 불교영화의 참다운 의미를 구성한다.|This paper applies Buddhism's thoughts of Karma and Sansara to film criticism, then analyzes and compares the texts of three Buddhist films, namely, The Samsara, Eternal Beloved and Hwaomkyung, based on Christian Metz's film semiotics theory, so as to understand the artistic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ymbol and reality based on Buddhist thought. Symbols are not purely subjective artistic creation symbols of directors, but reflections based on cultural background, ideology and social politics in the field of consciousness.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prove that Buddhist thought is an immutable truth, it does not prevent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same Buddhist thought from different cultural perspectives. The visual representation about Karma and Sansara is only a means, while the focus is on the dialectical analysis on the text of the three films, so as to explore meaning of Buddhist cultural symbols through roles, scenes, lines and symbolic images. Finally, it distills the core of Buddhism's theory of Karma and Sansara. The theory of Karma can be regarded as the idealism philosophy emphasizing the initiative of human subjective will, while the theory of Sansara is the conclusion of the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theory of Karma. The extraction of the same ideological core from Buddhist films created under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proves the universal assertion that Karma and Sansara. Especially in the reflection of art films to the real society, the creation logic of Buddhist films can provide a path to criticize or map the reality, which constitutes the real meaning of Buddhist film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03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9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SS MEDIA AND SCENARIO CONTENTS(대중문화·시나리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