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0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타자와 욕망의 양상 연구

Title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타자와 욕망의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 of Other and Desire in Yi, Chung-jun’s Novels
Author
조소명
Alternative Author(s)
Cho So-myoung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 Study on the Aspect of Other and Desire in Yi, Chung-jun’s Novels This paper analyzes the other and desire’s aspects of Yi, Chung-jun’s literature. In Yi, Chung-jun’s novel, the other appears as impenetrable, incomprehensible, or impossible to find any common measure. This is because the desire of the other is presented in the form of question or enigma, not in the form of explicit command that ‘I want this and that’. The subject encountering the enigmatic desire of the other is in a situation where the other has to infer what he/she wants, and he/she will write the destiny of his/her desire by responding to it in such a way. This paper analyzes these aspects and examines a series of answers submitted in Yi, Chung-jun's novel focusing on the question of how to coexist with the neighbor who has fundamental otherness, that is represented as "you". Chapter 2 focuses on the moment of zero point of subjectivity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I', which had stayed in the premodern culture or value system, to the modern subject. First, this thesis examines the aspect of 'I' entering the modernized disenchanted world as the viewpoint of 'I' changes completely to 'multicultur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home to modernized city. And by focusing on novels in which artisans appear as main characters, this thesis analyzes that the artisans experience the extinction of the customs that they have recognized as their substance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which is converted from one discourse to a new discourse, and stay as ‘in-between’ who cannot be identified with any discourse. The extinction of the customs also implies that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it is no longer possible to rely on any "universal order" that determines the behavior of the previous 'I' and the other. Yi, Chung-jun's novel gives the point that ethical work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action by reasoning and reflecting the desire of others properly in this modern life become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chapter 3, this thesis analyzes the aspect of 'I' writing the fate of self-desire while inferring the desire of others in modern society in which everything is negotiation with other. If the other person shares a common scale with 'I', he/she can continue to relate to it, but if such a scale is absent,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other’s desire is properly inferred, also unclear how the other will judge the words and actions of 'I'. Like this situation where the otherness of the other which is incomprehensible and incomprehensible is maximized, ‘I’ try to tame it fit to ‘I’, erupt aggressiveness to the other, form inner distance by acting his/her role according to the response and evaluation of the other, or form a new self by being identical to his/her role acting. Meanwhile, the 1960s was a sort of ‘state of exclusion’ in a political way, when sovereign power arbitrarily suspended the effect of the law and exercised violence. Against this, the writer opens up the possibility of seeking a new order by revealing the obscenity of sovereign power and its illegal origins. However, the writer who wants to promote a new order as a language witnesses that 'word' is separated from referent and is becoming 'rumor'. On the one hand, as the writer dealing with language, he finds room to intervene in the unstable and undetermined layers of desire in the 'rumor' to lead to change. On the other hand, he is asking for permanent purification of human beings to guarantee the solidarity between 'word' and 'referent'. Chapter 4 analyzes the aspects of presenting literary stopgap measures on problems that human civilization cannot overcome or solve, such as 'death' and 'resentment'. On the hidden grudges and conflicts that have not yet become visible, but if there is an opportunity, can be turned into violence at any time, Yi, Chung-jun's novel presents various alternatives such as 'original guilt', 'accused consciousness', 'ritual', 'myth'. While Yi,’s novel also deal with the situation in which such alternatives become helpless in the face of resentments that are never washed away. What is revealed through this is that there are inevitable, structural and inescapable discontents in civilization. Those who are not legally or institutionally protected, excluded in a society and have not been assigned any position are emboding such discontents. against the others who are only for their special, privileged interests, their very existence as a universal sigular contains the demand to change the whole structure of society. Yi, Chung-jun's novel asks what kind of community is with them or starting from them. |본 논문은 이청준의 문학에 나타난 타자와 욕망의 양상을 분석한다. 이청준 소설에서 타자는 꿰뚫을 수 없고 불가해한 존재로, 혹은 어떠한 공통적인 척도의 모색도 불가능한 존재로 나타난다. 이는 타자의 욕망이 ‘나는 이러저러한 것을 원한다’는 명시적인 명령의 형식이 아니라 물음이나 수수께끼의 형식으로 제시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수께끼 같은 타자의 욕망에 직면한 주체는 타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추론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며, 그것에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응답하면서 자기 욕망의 운명을 써나간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상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이청준 소설이 근본적인 타자성을 지닌 이웃, 곧 “당신들”과 어떻게 적절하게 공존할 것인가 하는 질문을 중심으로 일련의 답변들을 제출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제2장에서는 근대 이전의 문화 혹은 가치체계에 머물러 있던 ‘나’가 근대적 주체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체성의 영점의 계기에 주목한다. 먼저, 고향으로부터 근대화된 도시로 이주하는 과정에서의 ‘다문화적 체험’ 속에서 ‘나’의 관점이 전적으로 변화하면서, ‘나’가 근대의 탈마법화된 세계로 진입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장인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설을 중심으로 그들이 하나의 담론으로부터 새로운 담론으로 전환되는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실체로 인지해왔던 풍속의 소멸을 경험하고, 그리하여 어떠한 담론에도 동일화하지 못하는 ‘중간적인 존재’로 머물게 된다는 점을 분석한다. 풍속의 소멸은 또한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이전에 ‘나’와 타자의 행동을 판단하는 어떤 “보편적 질서”에 더 이상 의존할 수 없게 되었음을 함축한다. 이청준의 소설은 근대적 삶 속에서 이제 타자의 욕망을 적절하게 추론하고 반영하여 행동의 준거를 세워나가는 윤리적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해진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제3장에서는 이처럼 모든 것이 타자와의 교섭에 부쳐진 근대사회에서 ‘나’가 타자의 욕망을 추론하면서 자기 욕망의 운명을 써나가는 양상을 분석한다. 타자가 ‘나’와 어떤 공통 척도를 공유하고 있다면 그것을 중심으로 관계를 이어갈 수 있지만, 그러한 척도가 부재하는 경우라면 타자의 욕망을 적절하게 추론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기 어려우며, 타자가 ‘나’의 말과 행동을 어떻게 판단할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이처럼 불가해하고 꿰뚫을 수 없는 타자의 타자성이 극대화되는 상황에서, ‘나’는 그것을 ‘나’에게 맞게 길들이고자 시도하면서 타자에게 공격성을 분출하기도 하고, 타자의 반응과 평가에 맞춰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면서 내적 거리를 형성하거나 자신의 역할 연기에 동일화되어 새로운 자기를 구성하기도 한다. 한편, 1960년대는 정치적인 의미에서 일종의 ‘예외상태’, 즉 주권 권력이 법의 효력을 임의로 중단시키고 자의적으로 폭력을 행사했던 시기였다. 이에 맞서 작가는 주권 권력의 외설성과 그것의 불법적인 기원을 드러냄으로써 새로운 질서를 모색할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하지만 언어로서 새로운 질서를 도모하고자 하는 작가는, ‘말’이 ‘실체’로부터 분리되어 ‘소문’으로 전락하고 있음을 목격한다. 작가는 한편으로 언어를 다루는 작가로서 ‘소문’ 속에 있는 불안정하고 미결정적인 욕망의 층위에서 개입하여 변화를 이끌어낼 여지를 발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실체’와의 결속이 이루어진 말을 찾기 위한 방황은 계속된다. 제4장에서는 작가가 인간 문명이 극복하거나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 가령 ‘죽음’, ‘원한’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 문학적인 응답을 제시하는 양상을 분석했다. 이청준의 소설은 아직 가시화되지 않았지만 계기만 생기면 언제든 폭력 사태로 비화될 수 있는 숨은 원한과 갈등에 대해 ‘원죄의식’, ‘가해자 의식’, ‘제의’, ‘신화’ 등 여러 대안들을 제시하는 한편, 결코 씻기지 않는 원한 앞에서 그러한 대안들이 무력해지는 상황을 다루기도 한다. 이를 통해 드러나는 것은 문명 속에 필연적이고 구조적이며 피할 수 없는 불만이 있다는 점이다. 한 사회 내에서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배제되어 어떠한 자리도 할당받지 못한 이들은 바로 그러한 불만을 체화하고 있다. 자신들의 특수하고 특권화된 이익만을 위하는 타자들에 맞서, 보편적 단독자로서의 그들의 존재는 사회라는 건축물 전체를 변화시키라는 요구를 담고 있다. 이청준의 소설은 그들과 함께 하는, 혹은 그들로부터 출발하는 공동체란 어떤 것인지를 묻고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3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9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