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6 0

도널드 워맥의 산조가야금작품 음악적 특징 연구

Title
도널드 워맥의 산조가야금작품 음악적 특징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Sanjo Gayageum pieces by Donald Womack
Author
장지영
Alternative Author(s)
Jang Jiyeong
Advisor(s)
변성금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도널드 워맥은 2009년 한국음악 창작곡인 가야금 독주곡 <줄타기(Highwire Act)>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총 24편의 한국음악작품을 발표하였다. 그의 작품은 서양의 작곡기법을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전통어법과 한국악기의 음향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널드 워맥의 산조가야금을 위한 일곱 개의 작품을 악곡의 전개방식, 선율의 진행과 발전양상, 리듬의 운용, 다이내믹의 사용, 전통주법과 창작주법의 활용양상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의 전반적인 작품경향과 음악적 특징을 밝히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음악적 특징을 선율적 요소와 작곡기법적 요소, 연주기법적 요소로 나누었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널드 워맥 작품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선율적 요소는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 2도 상·하행선율이다. 이 선율은 선율이 상행할 때는 선율을 강조하거나 추진력을 높여주고, 대위적인 기법의 구현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선율이 하행할 때는 대부분이 단2도로 하행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계면조의 ‘꺾는 음’의 음색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미분음들이 사용되는데, 작품에서 나타나는 미분음들은 정확한 음고를 얻기 위함이 아닌 변화되는 불특정 음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미분음의 사용은 한국음악의 특징인 음의 유연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셋째, 도널드 워맥의 작품들에서 동음진행은 동일한 음정을 반복적으로 나열하며 진행하는데 선율적인 기능보다는 리듬적인 기능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특징은 도널드 워맥이 가야금을 선율악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리듬악기로서의 가능성도 고려한 것에 기인한다. 넷째, 선율에 긴장감을 형성하는 증음정과 감음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반음계적 음정도 나타난다. 이러한 선율적 요소는 작곡가가 선율에 긴장과 이완을 주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이며, 표제음악의 모티브가 되는 소재를 표현할 때도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작곡기법적 요소이다. 도널드 워맥은 외국인 작곡가로서 서양의 작곡기법들을 주로 사용하지만 선율구현 방법에 있어서는 전통어법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작곡기법적 요소를 살펴보면 첫째, 모티브 발전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되었는데, 모티브를 활용하여 선율의 진행방향을 설정해주는 기능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모티브를 세 번 반복함으로써 선율을 점차 발전시키며 강조하는 방식이다. 특히 선율을 발전시키면서 확장된 부분은 반음하행과 미분음, 시김새 등을 사용하면서 전통어법의 특징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톤 클러스터의 사용도 주목할 만한데, 톤 클러스터의 강한 불협화음으로 선율악기인 가야금의 역할에서 나아가 타악기적인 효과를 주었다. 셋째, 도널드 워맥은 한국의 전통적인 소재를 형상화하여 표제음악을 작곡했는데, 이러한 곡들은 표제음악의 모티브가 되는 소재들을 음악적 요소인 선율과 리듬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표제로써 제시된 내용을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것 외에도 작곡가가 모티브에 대해 생각하는 추상적인 것들까지 음악적으로 풀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널드 워맥의 산조가야금작품에 나타나는 연주기법적 요소는 크게 전통주법과 창작주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통주법들은 농현과 전성, 추성, 퇴성, 찍어 내리는 음 등으로 이러한 주법들은 전통어법을 잘 드러내고 있으며 산조가야금의 음색적 특징을 부각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점점 가늘어지는 농현’, ‘여러 음 농현’, ‘여러 음 중에서 선택적인 농현 또는 전성’, ‘두 음 함께 전성’ 등은 전통주법을 현대적인 기법으로 사용한 것들로 전통어법의 음색 안에서 현대적 시도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창작주법을 분석한 결과 가야금의 음량보강과 함께 기존에 사용하던 연주법을 세분화 시키면서 음색적, 음향적 가능성을 넓혔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트레몰로’, ‘두 손가락을 모아 함께 뜯기’, ‘두 음 이상의 음 글리산도’는 음향적 기능을 강조한 주법들로 강하고 날카로운 소리와 함께 거친 음색을 구현하면서 개량가야금에 비해 작은 음량을 가진 산조가야금의 음향적 한계를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모든 현 글리산도’와 ‘악기 두드리기’ 주법은 기존의 연주법보다 상세한 연주법을 제시하면서 선율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하였는데, 특히 ‘악기 두드리기’ 주법은 타악기적인 효과를 강조하며 두드리는 악기의 위치와 손가락 부위를 제시하여 다채로운 음색을 얻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손톱으로 현을 긁기’와 ‘손바닥으로 현 문지르기’ 주법은 가야금의 독특한 음색을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창작주법들은 선율을 위한 연주법이 아닌 악기자체로 구현되는 모든 소리를 음악으로써 활용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도널드 워맥의 작품들은 한국음악의 전통어법과 산조가야금의 본질적 특성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있었으며, 창작주법들로 가야금의 음색적 다양성과 음향적 가능성을 넓혔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가 도널드 워맥의 음악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나아가 그의 작품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실질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Including Highwire Act for solo gayageum composed in 2009, Donald Reid Womack has released a total of 24 works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His composition actively expresses the traditional technique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ased on Western composi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7 pieces for Sanjo gayageum, focusing on the musical developments, melodic progressions and developments, rhythmic applications, use of dynamics, and the use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echniques, in order to research the overall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his work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Womack are divided into the elements of melodies, compositional techniques, performance techniques. The typical elements of melodies in Womack’s compositions can be divided into 4 categories. First of all, the 2nd ascending and descending melodies. When the melodies ascend, they not only stress themselves and create the driving force, but also are applied for the counterpoint techniques. When the melodies descend, on the other hands, they tend to descend with minor 2nd which possibly can be analyzed to express ‘the bending notes’ of Gyemyun-jo. Second, Womack uses various types of microtones. They express unspecified notes rather than exact and accurate notes in his works, and it shows the flexibility of the sound,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homophonic progressions list the same notes repeatedly in his works. It seems to emphasize the rhythmic functions more than the melodic functions. This implies that the composer considered the gayageum as both melodic and rhythmic instrument. Fourth, augmented and diminished intervals were used to give more tension in the melodies as well as the chromatic scales. Such melodic elements are of various methods to give the tension and release, and it can also be seen as the motivic elements in the program music. Although Womack generally applies Western compositional techniques, he also stresses the Korean traditional techniques to express melodies. First, there are mainly two different ways in developing a motive. One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music by the motive, and another is to develop and emphasize the melodies by repeating the motive third times. The section where it was extend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lodies especially seek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echniques by using microtones, chromatic descending progression, and sigimsae. Second, he remarkably uses a tone cluster, a simultaneous musical chord comprised consecutive tones separated chromatically. The strong dissonant chords suggest a percussive sound effect furthermore being just a melodic instrument. Third, Womack composed the program music that evokes abstract images or conveys the impression of event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elements. His program music expresses the title with musical elements such as melodies and rhythms. Besides directly describing the elements presented as a title, Womack musically resolves the abstract things about the motive. Lastly, the elements of performance techniques in Womack’s Sanjo gayageum works are largely divided into traditional techniques and contemporary techniques. The traditional techniques are expressed by Nonghyeon, Jeonseong, Chuseong, Toiseong, and pressing notes, and they stress the tone characteristics of gayageum. In addition, he tries the contemporary techniques within the traditional techniques including ‘Nonghyeon gradually thinning’, ‘multi-note Nonghyeon’, ‘selective note Nonghyeon or Jeonseong’, or ‘Jeonseong, two-notes toget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mporary techniques, Womack shows the improvement of the acoustic limits of Sanjo gayageum, which usually has a weak volume compared to the modernized gayageum. For example, he uses the techniques that can stress the acoustic function including ‘tremolo’, ‘plucking together with two fingers’, and ‘glissando using more than two notes.’ Also, the techniques such as ‘glissando using whole strings’ and ‘percussive effect’ suggest more specific performance techniques and help making melodies more clearly. The technique called ‘percussive effect’ especially stresses the use of the instrument like a percussion with presenting specific finger positions to express more colorful tones. Furthermore, the techniques of ‘scratching strings with nails’ and ‘scrubbing strings with a palm’ express the unique sound of gayageum. Such contemporary techniques not only emphasize the unique sound expressed in the instrument, not just for playing the melody, but also utilize all of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instru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omack’s compositions actively embody the traditional language of Korean music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anjo gayageum, and expand the musical and acoustic potentials of gayageum by the contemporary technique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o far will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Womack's music in depth, and also hope that it will be helpful to the performers who play his work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24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8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