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0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Title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Deviant Behavior
Author
박세현
Alternative Author(s)
Park Sae Hyun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일탈행동은 조직과 구성원들에게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위협을 가하는 부정적 인 행동이다. 이에 조직은 일탈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개인적, 조직적 요인을 파 악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일탈행동은 업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양상에 변화하고 있기에, 일탈행동의 구성요인에 따른 영 향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탈행동을 저해하는 조직적 요인 으로서 상호작용 공정성의 역할을 살펴보고,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으로 가 는 과정에 있어 발생하는 개인적 요인인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의 영향을 살펴 전반적인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다음 네 가지 절차적 목적을 수립했다.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구조적 관계를 검정하고, 둘째, 심리적 주 인의식과 직무몰입의 관계를 밝힌다. 셋째, 직무몰입과 일탈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검정한다. 넷째, 상호작용 공정성이 일탈행동으로 가는 구조적 관계에 있어 심리 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이 이중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한다. 이를 위해 해당 조직 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직장인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을 하기 전, SPSS 21.0을 활용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검증을 수행 하였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가설검 증을 위해 AMOS 21.0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셋째, 직무몰입은 일탈행동 중 조작, 근태, 언어적 적대 행동과는 유의한 관련이 없었으나 업무 외 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 째, 상호작용 공정성이 업무 외 행동으로 가는 관계에 있어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몰입은 조절초점이론에 근거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몰입은 일탈행동 중 업무 외 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몰입의 메커니즘을 밝혀, 일탈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각 변인의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탈행동을 낮추기 위한 조직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을 모두 탐색하고 그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개인과 조직 차원에 서 추구해야 하는 태도와 조직문화의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Deviant behavior is a voluntary act that threatens the well-being of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in finan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way. Accordingly, organizations are paying attention to manage deviant behavior by identifying the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Moreover, as deviant behavior is diversified due to the changes of work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ypes of deviant behavior and its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factor(interactional justice) that alleviate deviant behavior,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 factors(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deviant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ur procedural objectives were established: First,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Seco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Thir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counterfeit, withdrawal, production deviance and verbally hostile behavior. Finally, to verify the path of interactional justice to deviant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f members with a working tenure of 6 months or longer in general business organization, and 292 responses were analyzed. Prior to hypothesis test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SPSS 21.0, and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with AMOS 21.0. Lastly, to verify the hypothesis,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terac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Second, psychological own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work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unterfeit, withdrawal, verbally hostile behavior,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production deviance. Finally,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deviant behavior. Specifically,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on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production devianc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teractional justice is a factor that can foster the employees’ psychological ownership. Second, based on the regulatory focus theory, psychological ownership can lead to work engagement. Third, work engagement plays a role that reduce the productive deviance. Fourth, to decrease the deviant behavior, interactional justic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work engagement should be managed. Therefor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mechanism of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deviant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organizational support and HRD program were offer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18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8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