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0

구도심 저층 주거 장식과 경험

Title
구도심 저층 주거 장식과 경험
Other Titles
Old Town Low Rise Residential Decor and Experience
Author
박선윤
Advisor(s)
김재경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서울 어디서나 골목길을 걷다 보면 마주치게 되는 건물들이 있다. 규모는 대게 반지하 2~3층의 다가구 주택들이 그러하다. 이러한 주거 형태는 부동산 개발이 시작되며 재개발을 통한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거나 그러지 못한 지역은 두 세필지가 구매되어 빌라라는 이름의 다세대주택으로 개발되고 있다. 2000년대에 이르러 다중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등의 이름으로 원룸 형태의 주거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구도심의 신축, 혹은 리모델링 건물들은 높은 도시의 밀도를 더 불쾌하게 만들고 판석과 드라이비트 등 저렴하고 획일화된 재료의 사용으로 도시를 더욱 삭막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1970년 1980년대에 지어진 다가구 주택들은 다양한 형태의 창문, 난간 디자인, 대문 모양 등과 같은 단순한 장식과 더불어 재료를 이용한 물끊기 형태, 창문의 돌출로 생기는 내부의 공간감 등 건축물 자체로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었다. 어쩌면 20년뒤엔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릴지도 모르는 과거의 건축물을 분석하여 장식과 기능 공간의 경험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건축적 배경과 더불어 본 계획안의 대지는 광진구 화양동으로 1인 가구의 증가와 사회적 개인화로 인한 도시의 파편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세대가 어우러지는 주거를 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도심 속 공동주거 공간에서의 공공성과 개인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70, 80년대의 장식과 그에 따른 공간 요소를 이용하였다. 구도심의 주 재료인 벽돌, 타일, 90년대에 사용된 판석과 드라이비트를 사용하며 오늘날의 용도와 법규에 맞게 과거의 장식과 그에 따른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주거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무분별한 개발로 획일화되고 삭막해지는 구도심 속 주거 디자인의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주요어 : 재료. 장식, 공간, 경험, 도심 속 주거|Everywhere in Seoul, there are buildings that you will come across as you walk down the alleyways. The scale is usually the same for multifamily houses with two or three floors in the semi-basement. In this type of housing, real estate development begins, and in areas where largescale development through redevelopment is not made or not, two or three sites are purchased and developed as a multi-family house called a villa. In the 2000s, one-room housing alternatives have been proposed in the name of multiple houses and urban living houses. The problem is that these new or remodeled buildings in the old downtown make the high density of the city more unpleasant, and the use of cheap and uniform materials such as flagstone and dry bits makes the city even more desolate. Multi-family houses built in the 1970s and 1980s were able to find their identity as a building itself, such as simple decorations such as various types of windows, handrail designs, and gate shapes, as well as water cutouts using materials, and a sense of interior space created by the protrusion of windows. The experience of decoration and functional space was extracted by analyzing the buildings of the past, which may disappear without a trace in 20 years. In addition to this architectural background, the site of this plan is Hwayang-dong, Gwangjin-gu, and in order to respond to the urban fragmentat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ersonalization, a housing where various generations harmonize is selected as the main program. As a method to solve the publicity and individualization in the communal living space in the city center, the decorations of the 70s and 80s and the corresponding spatial elements were used. Using bricks and tiles, which are the main materials of the old downtown, flagstones and dry bits used in the 90s, we would like to propose a residential form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the past and new experiences in accordance with today's uses and laws. I expeact this could be a method of residential design in the old city center, which is becoming uniform and desolat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Key words: material, Decoration, space, experience, living in the cit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6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8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