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기현-
dc.contributor.author임선정-
dc.date.accessioned2022-09-27T16:17:09Z-
dc.date.available2022-09-27T16:17:09Z-
dc.date.issued2022.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807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77-
dc.description.abstractKorean primary schools began with the first curriculum in 1954 and the first standard drawing in 1962. Currently, students are learning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beyond the 7th curriculum, an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s, special practical and multipurpose spaces are requested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rather than the uniform educational space of the past. Creativity is an acquired developable ability, and the time when the ability is most developed is when students attend school. Therefore, for student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school is a very important place. Thus, this study aims to plan an elementary school space that can stimulate students' creativity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space. Components for promoting creativity include cognitive, affective, personality, environmental, behavior, and active elements.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space, not only the knowledge given by the teacher but also the environmental elements, experiences, convergent activities, activities that can be played and imagined, and active elements are appropriate. Therefore, four types of environmental space (stimulus and inspirational space, thinking space, sharing space, and connecting and exploring space) and 12 types of active behavior are explored and appropriately combined. In the stimulation and inspiration space made by applying the behavior, shared spaces between the classroom and the classroom, corridors and break-out spaces are applied, and the space to think is applied to the classroom terraces and break-out spaces. The shared space plans classrooms, shared spaces, corridors, corridor terraces, and break-out spaces, and a space where you can connect, and explore consists of corridors, classroom terraces and break-out spaces. This study proposes an primary school design by applying types to all spaces.|대한민국 초등학교는 1954년 처음 교육과정이 만들어지고 1962년 표준 설계도가 만들어지면서 시작이 되었다. 현재, 학생들은 7차 교육과정을 넘어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을 학습하고 있고, 교육 목표에 따라 과거의 획일적인 교육공간보다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위해 특별한 실과 다목적 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성은 후천적으로 발달 가능한 능력이고 그 능력이 가장 발달하는 시기가 학생들이 학교에 다닐 시기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학생들에게 학교란 장소는 굉장히 중요한 곳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의 획일적인 공간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초등학교 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창의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로 인지적, 정의적, 인성적, 환경적, 행위 및 활동적 요소가 있다. 창의성과 공간간의 관계를 보았을 때, 선생님이 주는 지식뿐 아니라 학생들 간의 교류와 공유가 이뤄지는 환경적인 요소와 경험, 융합적 활동, 놀이와 상상이 가능한 행위 및 활동적인 요소가 적합하다고 본다. 그래서 4가지 환경적 공간 유형(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 생각할 수 있는 공간, 공유할 수 있는 공간, 연결하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과 활동적인 행위 유형 12가지 행위를 탐구하고 적절하게 결합하였다. 행위를 적용시켜 이뤄진 자극과 영감을 주는 공간에는 교실과 교실 사이 공유 공간, 복도와 break-out spaces가 해당되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은 교실 테라스와 break-out spaces에 적용된다.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에는 교실, 공유 공간, 복도, 복도 테라스와 break-out spaces에서 계획되고 연결하고 탐험할 수 있는 공간에는 복도, 교실 테라스, 그리고 break-out spaces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이렇게 모든 공간에 유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계획을 제안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능동적인 행위와 창의성을 유발하는 초등학교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primary school caused by active behaviors and creativ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임선정-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Im, Sunju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건축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건축설계1전공-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