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0

한국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예측모형

Title
한국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예측모형
Other Titles
Predictive Models of Cardiovascular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ousehold Unit Data(2015-2019)
Author
이여진
Alternative Author(s)
Lee, Yeo Jin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우리나라는 최근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 등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발생연령이 청소년기까지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기 위험요인은 성인기 뇌졸중, 심근경색증, 만성심부전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청소년기 심혈관건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상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혈관건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예측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을 예측하기 위해 Bruhn과 Parcel(1982)의 가족 중심의 건강증진 모델을 근거로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타당성과 변수 간 경로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증진을 위한 가구단위 중재개발 및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생태체계 중 미시체계에 해당하는 부모요인을 주요하게 본 Bruhn과 Parcel(1982)의 건강증진 모델을 근거로 하여 부모의 심혈관건강, 신체활동, 건강식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외생변수 4개와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신체활동, 건강식이의 내생변수 3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15-2019)에 부모와 함께 참여한 12-18세 청소년으로 청소년과 부모가 연계되도록 가계자료를 생성한 후 청소년-어머니의 쌍 표본이 1,290명, 청소년-아버지의 쌍 표본이 936명으로 최종 선정하고 각 표본에서 가설적 모형이 검증되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분석지침에 따랐으며 기술통계, 차이검정, 상관분석은 IBM SPSS/WIN 25.0를 이용하였다. 경로분석은 Mplu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어머니 표본에서 가설적 모형을 확인한 결과 =9.94(p=.041), CFI(Comparative of Fit Index)=. 93, TLI(Tucker-Lewis Index)= .73, RMSEA (Root Mean Squared Error of Approximation)=.03, SRMR(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 .02로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아버지 표본에서의 가설적 모형은 =3.40(p=.493), CFI=1.00, TLI= 1.04, RMSEA= .00, SRMR= .01로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어머니 표본의 가설적 모형에서 어머니의 심혈관건강은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β=0.21, p<.001). 어머니의 신체활동은 청소년의 신체활동에(β=0.12, p<.001), 어머니의 건강식이는 청소년의 건강식이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β=0.15, p<.001) 총 10개 가설 중 3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셋째, 청소년-아버지 표본의 가설적 모형에서 아버지의 심혈관건강은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0.19, p<.001), 아버지의 신체활동은 청소년의 신체활동에(β=0.08, p=.030) 아버지의 건강식이는 청소년의 건강식이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β=0.20, p<.001) 총 10개 가설 중 3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넷째, 청소년-어머니 표본과 청소년-아버지 표본의 가설적 모형에서 어머니,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신체활동, 건강식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 각 모형에서 청소년의 신체활동, 건강식이도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의 심혈관건강은 청소년의 심혈관건강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어머니, 아버지의 신체활동, 건강식이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건강식이에 각각 직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신체활동, 건강식이 실천과 심혈관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분만 아니라 어머니와 아버지의 신체활동, 건강식이 실천과 심혈관건강 증진을 위한 가구단위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청소년의 심혈관건강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및 학교 기반으로 한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가구단위 중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74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