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3 0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직장인을 위한 자가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효과

Title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직장인을 위한 자가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Self-Management Mobile Application for Workers with Thyroid Cancer Surgery
Author
김묘연
Alternative Author(s)
Kim, Myo Youn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직장인의 수술 후 질병적응과 사회복귀를 돕고자 자가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개발하고, 환자 적용 후 그 효과를 파악하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연구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에 기반하여 계획, 분석, 설계, 구현 및 평가단계를 거쳐 자가관리 모바일 앱을 개발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임상전문가 자문을 얻어 중재전략 및 내용을 도출하고, 앱 구성항목을 결정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앱의 기능을 정의,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사항을 바탕으로 앱 구조와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시스템 내 데이터의 구조와 흐름을 조직화하였다. 구현단계에서는 1차 자가관리 앱을 개발한 후, 연구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실제 모바일에서 구현이 적절한지 확인하고, 수정·보완 작업을 진행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전문가 7인, 사용자 10인이 앱사용성을 평가하였다. 5개의 하위영역(흥미/기능/심미/정보/주관적 앱의 질)별 5점 만점에서, 전문가들은 흥미성 3.42점, 기능성 3.82점, 심미성 3.90점, 정보성 3.88점, 주관적 앱의 질 3.68점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자들은 흥미성 3.68점, 기능성 3.80점, 심미성 3.93점, 정보성 3.87점, 주관적 앱의 질 3.45점으로 평가하여, 양쪽 다 보통(3점)이상의 사용성을 보였다.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자가관리 앱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무작위 배정된 58명의 갑상선암 수술 후 12주 미만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2022년 1월 13일부터 4월 22일까지 자가관리 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군 대상자의 스마트폰에 자가관리 모바일 앱을 설치하고 스마트워치를 착용하도록 한 후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12주간 자가관리 모바일 앱을 사용하며, 일상활동 중 상담을 원하는 경우 ‘간호사 상담’ 기능을 통해 문자로 상담하였다. 대조군에게도 스마트워치가 제공되었으며 사용법을 교육하였다. 중재 전·후 효과검증을 위해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기본심리욕구, 자율적 동기, 지각된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직장 삶의 질을 조사하였고, 객관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스마트워치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걸음 수, 수면 시간 및 수면 점수, 스트레스 점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개인의 자료는 1회/주 간격으로 연구자가 전송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수신 후 분석하였다.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질병관련 특성을 서술적 통계로 산출하였고,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로 사전동질성을, Paired t-test로 중재효과를, Repeated Measures ANOVA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단 스트레스, 수면 점수, 걸음 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본심리욕구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2, p=.908). 2. 자율적 동기는 대조군의 사전·사후 차이값의 평균이 -0.13±0.87점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0.31±0.88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1, p=.040). 3. 시간의 경과에 따른 대조군과 실험군에 걸음 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은 걸음 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F=19.40, p<.001),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아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시간의 경과에 따른 대조군과 실험군의 수면점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에 따른 수면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F=3.83, p=.025),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향상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94, p=.022). 5. 지각된 스트레스의 경우 대조군의 사전·사후 차이값 평균은 0.14±0.84점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0.55±0.61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18, p=.039). 또한,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스트레스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은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12.00, p<.001),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43, p=.006). 6. 지각된 건강상태는 대조군의 사전·사후 차이 평균은 0.10±1.17점이었으나 실험군에서는 -0.36±0.5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5, p=.048). 7. 일하는 삶의 질에서는 두 군간 사전·사후 차이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1.50, p=.140).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율적 동기가 강화되었고,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호전되어 자가관리 모바일 앱을 통한 정보제공과 지지가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설문에 의한 주관적 효과에 더하여, 스마트워치를 이용해 주요 변수들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갑상선암 수술을 한 직장인의 자가관리 중재로 이 앱을 활용하도록 권장한다. 시·공간적 제약을 감소시키는 간호 중재로서, 환자가 일하는 직장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 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본 앱의 중재전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장기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7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6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