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7 0

여초 직장 내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여초 직장 내 성비 불균형으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Due to the gender imbalance in the workplace A study on job stress factor analysis : Focused on male airline flight attendants
Author
이기은
Alternative Author(s)
LEE KIEUN
Advisor(s)
현성협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ob stress factors of male flight attendants in the female-centered airline cabin crew organ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on mental health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 cabin crew's family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posi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job stress. In domestic airlines, female flight attendants accounted for 90% of the total, and social interest in male flight attendants was somewhat lacking in the perception that service jobs were women's jobs in domestic sentiment. Overseas travel has been liberalized, and prejudice toward service jobs is gradually decreasing, especial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who have been exposed to foreign cultures, and males are becoming more active in the overall service industry, such as nurses, hairdressers, and cabin crew, who were considered only women's jobs. As a result, interest in male airline male flight attendants and customers' response are high,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s gradually increasing. Exist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cabin crew is focused on female flight attendants, 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job stress faced by male flight attendants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 number of male staff is increasing and to seek solutions to problems. Prior to the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 for a total of 46 days, from August 1, 2021 to September 15, 2021, resulted in the No. 1 to No. 6 factors in job stress felt by male flight attendants. Job stress for male cabin crew are gend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employee relationship conflict,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role overload, gender role conflict, and performance Appraisal. Based on the 6 factors derived, research papers in related fields were analyzed in the literature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conceptualized.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ased on relevant prior research to identify the causes of job stress among male flight attendants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mental health and turnover intentions. The sample group was male flight attendants at major domestic airlines and male flight attendants of all rank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202 people from January 1 to February 2, 2022, and a valid sample of 188 copie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14 insensitiv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employee relationship conflict ,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role overload had a direct effect on the job stress of male flight attendants. The job stress of male flight attendants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mental health, and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sponsorship showed a significant result as a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on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ly wh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employee relationship conflict and role overload on job stress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ly wh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as basic data for career exploration of job-seeking students who aspire to become male flight attendants and the job performance of incumbent cabin attendants. Practical implications may be presented. | 본 연구는 여성중심의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조직에서, 남성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남성승무원의 가족지지, 조직후원, 직급이 직무스트레스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항공사는 여성 승무원이 전체 90%를 차지하고 국내 정서상 서비스직은 여성의 직업이라는 인식 속에 그동안 남성승무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다소 부족했다. 해외여행이 자유화되고 해외 문화를 접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서비스직에 대한 편견도 점차 줄어들고 여성만의 직업이라 생각했던 간호사, 미용사, 객실승무원등 사회 전반적인 서비스업에서의 남성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항공사 남성승무원에 대한 관심과 고객들의 호응이 높아 점차 채용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객실승무원 관련 기존 선행연구가 여성승무원 위주로 진행되어, 이에 남성인력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남성승무원이 처한 직무스트레스를 규명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에 앞서 2021년 8월 1일부터 2021년 9월 15일까지 총 46일 동안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남성승무원들이 느끼는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1위부터 6위까지를 도출했다. 남성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이성 간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동료 간 관계갈등, 위계적 조직문화, 역할 과부하, 성역할 갈등, 근무평가제도이다. 도출해낸 6개의 요인을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연구논문들을 문헌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및 개념화하였다. 남성승무원들이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표본 집단은 국내 대형항공사 남성승무원을 대상으로 전 직급의 남성승무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2022년 1월 1일부터 2월 2일까지 총 202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 14부를 제외한 188부의 유효 표본을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이성 간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 동료 간 관계갈등, 위계적 조직문화, 역할 과부하는 남성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로는 조직후원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분석 결과 이성 간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후원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에 동료 간의 관계갈등과 역할 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후원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공사 남성승무원을 지망하는 취업준비생들의 진로탐색과 현직 남성승무원의 직무수행에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항공사 내에서 남성승무원들의 교육 및 인사관리자료 프로그램 개발 및 인사채용 등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99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S](국제관광대학원) > INTERNATIONAL TOURISM(국제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